‘사람人’들이 16길을 공간1616으로 만들다

노숙 유경험자들이 모여서 경제적・정신적인 자립을 꿈꾸며 만든 마을기업이자 협동조합 노느매기가 ‘공간1616’이라는 이름으로 당산로 16길 16번지에 새 보금자리를 마련했다. ‘진정 사람답게 돌봄을 받는 길은 바로 다른 이들을 삶을 돌보고 세우는 일에 기여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담은 ‘사람人’ 간판을 보며 공동체의 돌봄에 대해 생각해본다.

노노케어(老老-care) 단상

우리 사회는 이미 2018년 고령사회로 진입한 후 빠른 속도로 초고령사회에 다가가고 있다. 독거노인의 증가와 가족 구성원들의 고령화로 인한 돌봄의 위기가 사회문제로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협동조합이나 마을 안에서 노인들이 서로 돌봄을 나누며 노노케어를 실현하고 있는 사례들을 찾아보았다.

『어디 아픈 데 없냐고 당신이 물었다』(청림출판, 2011 김선우 저) 서평

우리는 행복해지기 위하여 열심히 공부하고 열심히 일한다. 그런데 이상하지 않은가. 미래의 행복을 잡기 위하여 현재의 행복을 희생해야 하니 말이다. 무언가 모순되는 듯하지 않은가. 우리에게 진정한 행복이란 무엇이며, 행복은 어떻게 얻어지는가를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인도의 오로빌에서 찾아볼 수 있다.

[지역의 발명] ③ 지역에 있어야 할 10가지 원칙

지역은 성장을 놓지 못한 채 끊임없이 규모를 키우고, 모든 것을 평균에 맞추어 수도권으로 빨아들이는 고장난 문명을 바꿀 수평적이고 개성적인 대안이다. 지역이 ‘여러 사람이 생활하면서 함께 살아가는 곳’이라는 사실에 공감한다면 지역을 정의하는 이 말 속에 중요한 단어와 어울리는 적정한 것들을 연상하면서 지역의 원칙을 발견해 나갈 수 있다. ‘여러 사람’, ‘생활’, ‘함께’, ‘살아가는’ 이 네 가지가 연상을 시작하는 중요한 단어가 된다.

미래사회를 위한 새로운 생활방식 – 『마음을 연결하는 집』을 읽고

이웃 간에 현관문을 열고 살던 일상, 서로의 반찬이 오고 가던 정겨운 사회, 지금의 우리는 어떻게 살고 있나? 우리의 지역사회는 이기적으로 변해가고 있다. 현재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공동체이다. 이웃과 더불어 살고 상부상조하는 공동체 마을, 미래사회를 위한 새로운 생활방식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자.

[코로나19와 사회적 경제] 코로나19 이후 어떤 사회적 경제가 되어야 할까?

최근 마케팅커뮤니케이션협동조합 살림에서 사회적경제 각 단위들과 만나 코로나19사태에 관한 연속대담을 하면서 느낀 점을 정리했다. 활동가들과의 대담을 통해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타격을 입은 사회적경제의 실상을 알아보고 앞으로의 대안을 전망해보고자 했다. 코로나19 사태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 호혜적 경제 활동을 통해 지역에서 관계를 회복해가는 사회적 경제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증여론

마음생태모임- 마르셀 모스의 『증여론』

마음생태모임은 5월 25일 아침 10시에 온라인 줌 세미나로 『증여론』(한길사, 2011)을 읽고 이야기 나누었다. 선물을 주고받는다는 증여와 호혜에는 어떤 공동체의 미시정치가 숨어 있는지를 알아가는 시간이었다. 다음 세미나는 6월 29일 월요일 10시에 온라인 회의 플랫폼 zoom으로 미치오 카쿠의 『마음의 미래』(2015, 김영사)를 읽고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가지려 한다. ※참여 문의: 010.9칠44.칠칠56

[『우리의 욕망을 공유합니다』] ⑤커뮤니티와 생활양식을 닮은 공간 만들기

『우리의 욕망을 공유합니다』(2020, 도서출판 한살림)에 담긴 특이점청년 이야기를 여러 편에 걸쳐 소개하고 있다. 사회적기업이든 공동체운동이든 공간을 얻어야만 한다. 하지만 쉽게 손댈 수 없는 자산과 부동산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서, 청년들은 나름의 전략으로 공간을 얻고 활용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들이 생각하는 공동체와 그것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은 무엇일까?

[『우리의 욕망을 공유합니다』] ④개인과 관계를 바라보는 시선

『우리의 욕망을 공유합니다』(2020, 도서출판 한살림)에 담긴 특이점청년 이야기를 여러 편에 걸쳐 소개하고 있다. 함께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해본 적이 있는가? 우리는 그저 ‘함께하는 건 원래 힘든 것’이라 여기고 관계를 기피하거나, 혹은 끊임없이 부당함을 강요받아오지는 않았는가? 이번 편에서는 ‘개인’과 ‘관계 맺기’를 특이점청년들의 시선으로 바라본다.

맨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