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폭염과 장마 속에 달려간 배달노동자를 기억한다

신승철, 이승준, 장윤석, 전병옥 지음 | 북코리아 | 2021년 08월 15일 출간
한때 우리 사회에 회자되던 사진 한 장이 있다. 때는 2020년 8월, 비가 무던히 많이 내리던 부산의 물에 잠긴 도로를 뚫고 배달 오토바이 한 대가 멈춰 서 있다. 허리까지 물이 차는 상황에서 한 배달노동자가 배달음식을 머리 위로 들고 배를 흠뻑 맞으며 배달하고 있다. 이는 그 한 배달노동자만의 상황이 아닐 것이다. 배달노동자는 기후위기와 코로나19 사태가 가장 심각할 때, 생명줄처럼 배달음식을 곳곳에 운반하고 있다.
코로나19가 엄습했던 그 시기에 경찰청과 국토교통부 통계에서는 2020년 기준 한 해 이륜차 사고 사망자가 446명으로 코로나로 죽은 사람보다 더 많았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지금, 그리고 향후 기후위기 상황을 온몸으로 겪어야 하는 배달노동자의 상황은 또 얼마나 심각할 것인가?
이 책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플랫폼 자본주의의 현실을 배달노동자를 통해 규명하고, 플랫폼 자본주의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 책이다. 신속한 배달과 기후위기 등으로 인한 배달노동자의 사고위험, 배달음식 주문 증가 및 가상공간, 무선연결로 인한 탄소배출량 증가, 플랫폼 자본주의의 낙관주의적 전망과 우리가 처한 사회적·물리적 한계 등 우리 사회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또한 플랫폼 자본주의에 대한 대안으로 지역 플랫폼과 공공 플랫폼의 도전을 제시한다.
이 책을 통해 열악한 상황에서도 분투하는 배달노동자의 노동조건이 나아지길 바란다. 더불어 이 책이 플랫폼 자본주의를 넘어 탈성장 전환사회로 향하는 데 하나의 특이점으로 자리 잡았으면 한다. 희망은 우리 가까이 있는 공동체에 있다. 빠르고 효율적인 플랫폼이 아니라 느리고 탄력적인 공동체와 커먼즈에 희망을 걸어본다. 이 책이 보여주는 ‘플랫폼 자본주의와 배달노동자’의 현실과 이상 사이에는 언제나 열악한 노동 현실을 개선하고 바꾸고자 하는 실천과정이 있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이 라이더 유니온의 배달노동자와 수많은 플랫폼 노동자, 로지스틱스 노동자의 현실을 개선하는 데 조금이라도 기여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 서문 중에서
목차
서문: 우리는 폭염과 장마 속에 달려간 배달노동자를 기억한다
01 배달플랫폼의 문제: 신종코로나 시대와 플랫폼 자본주의 _ 이승준
- 신종코로나 시대의 경제위기와 플랫폼 자본주의
- 코로나19와 물류·배달노동자의 현실
- 호출노동으로서의 배달노동
- 배달노동의 불공정 계약 분석
- 기계가 가하는 명령
- 자동화된 명령시스템
- 플랫폼 자본주의
- 플랫폼의 다섯 가지 세부 유형
- 플랫폼의 내적 특징
- 고정자본의 재전유
- 플랫폼과 오늘날 노동의 형상
02 로지스틱스 문제: 생산과 유통의 통합과 그에 따른 사회의 보안화 _ 이승준
- 디지털 경제의 우울한 노동
- 그림자 노동의 병리학
- 오늘날의 자본 형태
- 오늘날의 노동 형태
- 로지스틱스와 새로운 지도 제작
- 정치와 경제의 통합으로서의 ‘공급보안사슬’
- 코로나19와 물류·배달노동
03 플랫폼 노동의 그림자: 위험의 외주화와 실상의 비가시화 _ 장윤석
- 서론: 멈추지 않은 이들
- 플랫폼 노동, 정의와 쟁점
- 배달의민족과 쿠팡을 통해 본 플랫폼 노동
- 플랫폼 노동의 성격: 위험의 외주화와 실상의 비가시화
- 플랫폼 노동과 청년
- 코로나 시대의 ‘필수노동자’
- 플랫폼 노동과 그림자 노동
- 기후위기 시대의 플랫폼 노동
- 결론: 덧붙이는 대안 스케치
04 기후위기 시대의 플랫폼 자본주의와 정의로운 녹색전환 _ 장윤석
- 서론: 무한의 꿈을 꾼 유한자와 유한한 행성
- 플랫폼 자본주의와 성장
- 플랫폼 자본주의와 그림자 경제
- 플랫폼 자본주의의 물리적 한계: 탄소발자국과 녹색분칠
- 플랫폼 자본주의의 사회적 한계: 자동화된 불평등
- 적정기술과 적정경제
- 그린 뉴딜: 플랫폼 자본주의의 이중 한계를 풀어가는 녹색전환
- 정의로운 전환
- 결론: 전환을 일구어낼 수 있는가
05 플랫폼 사업모델의 특성과 독점규제 방안 _ 전병옥
- 들어가며: 플랫폼 사업모델의 거래독점 현상
- 네트워크 효과에 목을 매는 플랫폼 기업들
- 플랫폼 사업모델의 특징
- 오랜 기간 인내가 필요하다
- 네트워크 효과는 데이터 독점으로, 데이터 독점은 거래 독점으로 진화한다
- 버텨야 한다, 혼자 남을 때까지…
- 이익은 내가, 손해는 모두가
- 새로운 사회 계약의 시작
- 결론: 플랫폼을 효과적으로 규제해야
06 정동자본주의: 플랫폼 내부의 정동, 그 외부의 정동 _ 신승철
- 들어가며: 플랫폼 자본주의에서의 정동 양상
- 플랫폼 자본주의에서의 공공영역 포획
- 정동자본주의에서 가속주의 전망은 유효한가?
- 코드의 잉여가치를 흐름의 잉여가치로 전환
- 정동이란 무엇인가?
- 플랫폼 노동과 정동노동
- 플랫폼 자본주의의 정동의 포획양상
- 정동자본주의의 외부는 있는가?
- 대안적인 플랫폼, 정동자본주의에서의 내파
- 결론: 플랫폼을 넘어선 정동자본주의, 플랫폼 자본주의를 넘어선 정동
07 사회적 배달: 사회적 배달 논의의 가이드라인과 사회적 합의 _ 신승철
- 출발점에 선 사회적 배달 논의
- 공공 플랫폼과 지역 플랫폼의 실험, 사회적 배달
- 사회적 배달이 되기 위한 소비자와 배달노동자 관계의 변화
- 배달노동자의 권리, 상호부조, 자율성
- 사회적 배달: 배달노동을 둘러싼 가이드라인과 사회적 합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