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wiki번역] ⑥ 인간 지식의 손아귀에서 객체들을 빼내자 – 티머시 모턴new 이승준2023년 5월 26일조회 96 [생태사상가 시리즈]는 녹색운동, 생태운동, 대안운동의 주요 저자와 활동가들에 대해서 위키피디아 항목을 토대로 탐색하는, 2023년 봄에 스타트한 생태적지혜연구소의 프로젝트이다. 여섯 번째 인물인 티머시 모턴은 미국 라이스 대학 영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객체지향적 사유와 생태학 연구를 교차시키는 작업을 한다. 객체지향존재론 공생 불교 생태사상가 생태학
[생태wiki번역] ⑤ 모든 존재의 공존을 위한 지혜 -아르네 네스의 삶과 사상 권범철2023년 5월 3일조회 121 아르네 네스(Arne Dekke Eide Næss, 1912.1.27 ~ 2009.1.12)는 “심층 생태학”(deep ecology)이라는 용어를 만든 노르웨이의 철학자다. 그는 20세기말 환경 운동 내에서 지적이면서 영감을 주는 중요한 인물이며 다른 다양한 철학적 쟁점에 대해서도 많은 글을 남긴 저자다. 생태사상 생태사상가 생태지혜 심층생태학 아르네 네스
[생태wiki번역] ④ 물리학자, 철학자, 환경운동가 – 프리초프 카프라(Fritjof Capra) 이승준2023년 4월 26일조회 113 물리학과 동양의 신비주의 간의 유사점을 연구한 카프라는 전통적인 선형적 사유와 데카르트의 기계론을 비판하며, 전체론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한다. 모든 체계의 그물망 구조와 부분들 간의 상호연결성에 초점을 맞추어 전체를 이해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물망 생태사상가 신비주의 전체론 지구헌장 관련글 [생태wiki번역] ③ ‘지속가능한 발전’의 사상가 – 레스터 R. 브라운 [생태wiki 번역] ② 루돌프 바로(Rudolf Bahro)의 생애와 사상 [생태wiki 번역] ① 독일 녹색운동의 시작, 페트라 켈리
[생태wiki번역] ③ ‘지속가능한 발전’의 사상가 – 레스터 R. 브라운 이승준2023년 4월 11일조회 146 [생태사상가 시리즈]는 녹색운동, 생태운동, 대안운동의 주요 저자와 활동가들에 대해서 위키피디아 항목을 토대로 탐색하는, 2023년 봄에 시작한 생태적지혜연구소의 프로젝트다. 세 번째 인물인 레스터 브라운은 농업에 대한 열정에서 시작해 토양, 삼림, 재생 에너지, 인구 문제 등 전 지구적으로 펼쳐지는 다양한 환경 문제에 대해 다뤄온 ‘가장 영향력 있는 사상가’ 중 한 명으로 꼽힌다. 농업 레스터브라운 생태사상가 생태운동 환경운동가 관련글 [생태wiki 번역] ① 독일 녹색운동의 시작, 페트라 켈리 [생태wiki 번역] ② 루돌프 바로(Rudolf Bahro)의 생애와 사상
[생태wiki 번역] ② 루돌프 바로(Rudolf Bahro)의 생애와 사상 권범철2023년 3월 3일조회 231 [생태사상가 시리즈]는 녹색운동, 생태운동, 대안운동의 주요 저자와 활동가들에 대해서 위키피디아 항목을 토대로 탐색하는, 2023년 봄에 스타트한 생태적지혜연구소의 프로젝트이다. 그 두 번째 인물인 루돌프 바로는 독일녹색당의 대표적인 인물이었으며, 공산주의자이면서 근본파 생태주의자라는 특이한 이력의 소유자였다. 근본파 녹색당 루돌프바로 생태사상 생태사상가
[생태wiki 번역] ① 독일 녹색운동의 시작, 페트라 켈리 김은제2023년 2월 26일조회 215 [생태사상가 시리즈]는 녹색운동, 생태운동, 대안운동의 주요 저자와 활동가들에 대해서 위키피디아 항목을 토대로 탐색하는, 2023년 봄에 시작한 생태적지혜연구소의 프로젝트다. 여기서 페트라 켈리는 독일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정치인이자 국제 녹색 운동에서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기억되고 있다. 그녀는 평화, 환경, 인권이라는 대의를 위한 헌신과 헌신의 상징이 되었다. 녹색당 생태사상가 에코페미니즘 페트라 켈리 현실파
들뢰즈의 「바틀비 혹은 상투어」 ④ 패치워크의 미국과 치료사 바틀비 이승준2023년 1월 11일조회 203 이 글은 1993년 『Critique et Clinique』에 실린 질 들뢰즈(Gille Deleuze)의 「Bartleby, ou Formule」(Paris: Les Éditions de Minuit, 1993. Chapitre Ⅹ, pp. 89-114.)를 번역한 것으로, 2000년에 한국어판 「바틀비, 혹은 상투어」(김현수 옮김)라는 제목으로 『비평과 진단: 문학, 삶 그리고 철학』(인간사랑, P125-163)에 실린 적이 있다. 이번에 「바틀비 혹은 상투어」라는 제목으로 재번역되어 앞으로 총 4회에 걸쳐 연재되고 있으며, 이번이 그 마지막회이다. 공동체 도주선 들뢰즈 리토르넬로 탈주 관련글 들뢰즈의 「바틀비 혹은 상투어」 ① : I WOULD PREFER NOT TO 들뢰즈의 「바틀비 혹은 상투어」 ② : 이상한 배치에 놓이게 된 바틀비 들뢰즈의 「바틀비 혹은 상투어」 ③ : 정당화될 필요가 없는 삶, 그리고 소설
들뢰즈의 「바틀비 혹은 상투어」 ③ : 정당화될 필요가 없는 삶, 그리고 소설 이승준2023년 1월 3일조회 253 이 글은 1993년 『Critique et Clinique』에 실린 질 들뢰즈(Gille Deleuze)의 「Bartleby, ou Formule」(Paris: Les Éditions de Minuit, 1993. Chapitre Ⅹ, pp. 89-114.)를 번역한 것으로, 2000년에 한국어판 「바틀비, 혹은 상투어」(김현수 옮김)라는 제목으로 『비평과 진단: 문학, 삶 그리고 철학』(인간사랑, P125-163)에 실린 적이 있다. 이번에 「바틀비 혹은 상투어」라는 제목으로 재번역되어 앞으로 총 4회에 걸쳐 연재될 예정이다. 강렬도 되기 들뢰즈 비결정성 식별불가능함 관련글 들뢰즈의 「바틀비 혹은 상투어」 ① : I WOULD PREFER NOT TO 들뢰즈의 「바틀비 혹은 상투어」 ② : 이상한 배치에 놓이게 된 바틀비
[Nature논문] 탈성장, 1.5 °C 시나리오 실현을 위한 유력한 선택지로 고려되어야 김현우2022년 12월 26일조회 1.2K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다양한 시나리오적 경로에 있어서 탈성장 경로는 공식적으로 검토되고 있지 않다. 하지만 이 논문은 실현가능성과 지속가능성을 고려할 때 탈성장 경로가 유력한 해법으로 고려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탈성장을 고려해야 한다는 매우 과학적인 기사가 있어 번역・공유한다. IPCC 기후위기 네이처 시나리오 탈성장
들뢰즈의 「바틀비 혹은 상투어」 ② : 이상한 배치에 놓이게 된 바틀비 이승준2022년 12월 11일조회 596 이 글은 1993년 『Critique et Clinique』에 실린 질 들뢰즈(Gille Deleuze)의 「Bartleby, ou Formule」(Paris: Les Éditions de Minuit, 1993. Chapitre Ⅹ, pp. 89-114.)를 번역한 것으로, 2000년에 한국어판 「바틀비, 혹은 상투어」(김현수 옮김)라는 제목으로 『비평과 진단: 문학, 삶 그리고 철학』(인간사랑, P125-163)에 실린 적이 있다. 이번에 「바틀비 혹은 상투어」라는 제목으로 재번역되어 총 4회에 걸쳐 연재될 예정이다. 도주선 되기 들뢰즈 배치 비정형 관련글 들뢰즈의 「바틀비 혹은 상투어」 ① : I WOULD PREFER NOT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