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두루미의 비행 시동new 한승욱2023년 5월 26일조회 63 3월 둘째 주 서산에서 만난 흑두루미들은 아지랑이 속에서 사람이 뿌린 먹이를 먹고 볕을 쬐고 노래하고 있었다. 힘을 비축하는 것처럼 보였고 먹이터 두 곳을 번갈아 날아다니며 비행 시동을 거는 것도 같았다. 대이동을 앞둔 수천 마리의 흑두루미들이었다. 서산 자연관찰 탐조 탐조태도 흑두루미
구독 경제 속 사물들 – 편리함을 통해 버려지는 것들new 고은경2023년 5월 26일조회 37 정기적으로 금액을 지불하고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제 활동인 구독 경제는 다양한 방면에서 일상에 녹아들기 시작하여 이제는 고도화된 기술과 배송시스템의 혁신 등으로 삶의 전반을 지배하는 새로운 경제체제로 급성장하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시스템에서 무엇을 놓치고 있는지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구독경제 소유의종말 장난감 폐기물
마음이 가난한 자는 누구인가?new 송기훈2023년 5월 26일조회 39 마음이 가난한 자는 누구일까요? 기독교 성서에 나타나는 ‘마음이 가난한 자’라는 표현을 통해 소수자성에 대한 긍정을 발견하고, 오늘날 마음이 가난한 자들은 누구인가를 밝혀내어 소수자성이 긍정되던 성서의 자리를 현재의 시점에서 재현하는 시도를 해보았습니다. 기독교 마음이 가난한 자 마이너리티 성서 소수자
[듣기의 윤리] ② 그림자를 드리운 말new 보배2023년 5월 26일조회 48 내 것이 아닌 불투명한 언어로 말하기는 필연적으로 그림자를 동반한다. 그림자를 드리운 말을 어떤 태도로 들어야 할지, 스피박의 서발턴 연구와 레비나스의 윤리학, 그리고 상담의 경험을 통해 고민해본다. 상담 서발턴 스피박 타자 환대
자연으로부터 배우는 자율성과 자기생산 – 마투라나와 바렐라new 신승철2023년 5월 26일조회 49 마투라나와 바렐라의 저작 『앎의 나무』를 통해 생명의 구성주의에 대해 알아본다. 두 인지생물학자는 생명의 자율성과 자기생산을 강조하는 오토포이에시스 개념을 바탕으로 어떤 공동체가 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묻는다. 구성주의 생명 생태사상가 오토포이에시스
[나의 간디학교 일지] ① 시작하는 글 – 대안이 뭐길래!new 이재형2023년 5월 18일조회 114 나의 10대를 고스란히 함께 보낸 곳은 ‘제천간디학교’, 대안학교입니다. 그곳의 냄새와 소리와 공간과 시간과 사람이 만든 사건들을 풀어내 보려 합니다. 이야기를 전하듯이, 적당히 재미나게 읽을 수 있도록 말이죠. 그러면서 묻습니다. 나는 무엇을 배웠을까? 대안학교를 졸업한 나는 대안적인 인간이 되었을까? 간디학교 관계 교육 대안학교 청년
생명자본은 어떻게 우리 몸을 지배하게 되었나?new 강성욱2023년 5월 18일조회 98 자본은 끊임없이 인간의 몸을 통해 각종 이윤을 창출하고 있다. 생물학과 IT과학기술, 의학의 콜라보인 생명자본이 우리의 몸에 어떻게 침윤되어 왔는지를 살피고, 자본에게 빼앗긴 우리의 몸을 되찾을 방법이 무엇인지 고민해보고자 한다. 몸 생명 생명자본 자본 현대인
[어쩌다 이장] ⑲ 예지몽(叡智夢), 일장춘몽(一場春夢)new 이상영2023년 5월 18일조회 85 이빨이 빠지는 꿈은 흉몽인가, 예지몽인가, 일장춘몽인가. 불길한 꿈을 꾸고 난 후 마을에 불길한 일이 닥쳤지만 한편으로는 시원하게 해결되었으니, 이 ‘어쩌다 이장’에게도 미래를 예지하는 능력이 생긴 게 아닐까? 마을 선흘2리 이장 제주 주민동의 관련글 [어쩌다 이장] ⑱ 마라도 고양이와 비행기 [어쩌다 이장] ⑰ 주민의 안부를 묻다 [어쩌다 이장] ⑯ 마을주민이 원하는 상생협약 체결기
가정과 돌봄-영케어러의 아버지 돌봄 기록지 ⑦new 동그랑2023년 5월 18일조회 66 2023년 설날 연휴, Covid-19 펜데믹 이후 3년 만에 위험과 절망을 끌어안은 아버지와 내가 서로의 곁에 머무르기로 했다. 3년 만에 3박 4일의 병원 내 아버지 돌봄이 서로에게 어떤 시간이 될지 기대하며 글을 맺는다. 돌봄 돌봄청년 영케어러 자립 책임 관련글 가정과 돌봄-영케어러의 아버지 돌봄 기록지 ⑥ 가정과 돌봄-영케어러의 아버지 돌봄 기록지 ⑤ 가정과 돌봄-영케어러의 아버지 돌봄 기록지 ④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본 영케어러의 돌봄과정] ④ 연구참여자3의 돌봄 경험new 조명아2023년 5월 18일조회 68 이전 글에서는 여섯 명의 영케어러들에 대한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이번부터는 본격적으로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본 영케어러의 돌봄과정’에 대한 세 번째 연구참여자의 돌봄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가족 돌봄 돌봄청소년 영케어러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