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 논쟁에서 우리가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은new 박숙현2023년 3월 26일조회 28 최근 기후운동진영 내에서 불거진 전기요금 논쟁의 주요 논점을 짚어보고, 에너지 전환과 전기화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전기요금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올바른 전기요금 책정을 위해 필요한 제도적 요건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 알아본다. 기휘위기 에너지전환 재생에너지 전기요금 탄소중립
지속가능한 월경을 꿈꾸며new 김캐롤2023년 3월 26일조회 10 일회용 생리대의 쓰레기 문제를 깨달은 뒤 다른 여러 월경용품을 사용해 보았다. 지속가능한 월경을 꿈꾸는 이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나의 월경용품 연대기를 나열해 본다. 대안용품 생리대 쓰레기 에코페미니즘 월경
가정과 돌봄-영케어러의 아버지 돌봄 기록지④new 동그랑2023년 3월 26일조회 7 2020년, Covid-19 팬데믹이 닥쳐왔다. 때마침 아버지는 「산재보험 보상·재활 서비스」 절차상 치료 및 요양 기간이 종결되었다고 판단, 장해등급 심사를 받게 되었다. ‘장해등급심사’란 더이상 치료와 요양을 해도 뚜렷하게 나아지지 않을 상태에 이르렀다고 판단(통상 재해 발생 2년 뒤), 그럼에도 신체 등에 장해가 남은 경우 해당 장해의 등급을 결정하기 위한 심사를 말한다. 아버지는 한 차례 요양 기간을 연장하여 거의 4년이 지난 뒤에야 장해등급 심사를 받게 되었다. 해당 등급에 따라 장해급여가 달라지므로 긴장할 수밖에 없었다. 노동 돌봄청년 영케어러 위기 관련글 가정과 돌봄-영케어러의 아버지 돌봄 기록지① 가정과 돌봄-영케어러의 아버지 돌봄 기록지② 가정과 돌봄-영케어러의 아버지 돌봄 기록지 ③
학교 현장에서 배치의 재배치를 통한 미시정치과정new 투모로우2023년 3월 26일조회 11 자신의 ‘욕망’을 성숙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다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공교육의 책임이자 의무이며, 학교는 과거의 경쟁과 입시지옥으로 살벌한 공간이 아닌 미래지향적이며 자유로운 상상력의 토대가 되는 삶의 공간이어야 한다. 공교육 공동체 민주시민 민주주의 학교
스스로를 먹어치우는 식인자본주의를 넘어 – 『좌파의 길』을 읽고new 이환성2023년 3월 26일조회 7 미국의 정치철학자이며 사회 이론가인 저자는 건강한 사회를 위하여 ‘좌파의 길’을 제시한다. 먼저 저자는 자본주의 체제의 모순을 지적하면서 오늘날의 자본주의를 식인 자본주의라고 말한다. 식인 자본주의란, 현 체제의 자본주의가 그 본성상 자신을 지탱하고 있는 문명적 토대를 포식함으로써 자본 자체만이 아니라 인류 전체를 파멸로 몰아넣고 있다는 것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돌봄 생태계악화 생태사회주의 식인자본주의 좌퐈
자연농으로의 초대new 곽선미2023년 3월 18일조회 148 자급을 꿈꾸는 이들의 가장 중요한 도전은 주곡(主穀) 농사가 아닐까 싶다. 경칩을 이틀 앞둔 봄날, ‘홍성자연농학교’ 첫 만남이 있었다. 자연농 방식의 벼농사와 보리(밀)농사를 한 해 동안 함께 짓는다. 올해로 8년째 이어오고 있는 홍성자연농학교는 금창영 농부의 초대로 시작되었다. 농사 도시농부 자연농 텃밭보급소 홍성자연농학교
미생물의 공생을 닮았다 – 다양한 도시농부의 소통방식new 어치2023년 3월 18일조회 127 도시농부들의 몇몇 에피소드를 통해 본 그들의 이야기 방식과 상호작용방식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본다. 농부들은 농작물과 소통하며 동료 농부들과 소통한다. 농작물 도시농부 상호작용 소통방식 텃밭
인플레이션 시대, 생산과 소비 사이에서 생협의 균형잡기new 꼼지2023년 3월 18일조회 99 코로나19에 이어 후폭풍으로 찾아온 인플레이션은 기후위기와 더불어 생산자와 소비자가 함께 넘어야 할 거대한 위기다. 생협은 어떻게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를 이어갈 수 있을지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야 할 때다. 농부 생명 생협 소비 인플레이션
농산물 꾸러미와 생협이 손을 잡으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new 초록주의2023년 3월 18일조회 107 농부에게는 안정적 수입이 보장되어 농사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소비자는 원하는 농산물을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게 운영하고 공동체를 지원할 수 있는 공동체지원농업센터가 필요하다. 공동체지원농업 꾸러미상자 농산물유통 유기농업 지원센터
김밥과 떡볶이를 보다가 공장식 축산을 떠올리다new 소박감자2023년 3월 18일조회 147 우리의 식탁에는 어떤 재료가, 어떤 에너지를 담고 올라와 있을지 생각해 보면 어떨까? 공장식축산 마음 먹을거리 몸 채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