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살아 있다...우리의 가슴 속에 영원히
작성자
김용휘
작성일
2023-07-10 13:12
조회
1181
안녕하세요. 경주에 사는 김용휘라고 합니다. 며칠전 마른 하늘에 날벼락 같은 소식을 듣고 아내와 함께 열차를 타고 조문을 다녀왔습니다. 윤경샘 얼굴을 보니 더 기가 막혀서 어쩔 줄을 모르겠더군요.ㅠㅠ 막차를 타고 내려오는 내내 감정을 어떻게 주체해야 할지 몰라 하루 종일 정신줄 놓고 있다가 그래도 뭔가 표현을 해야 이 먹먹함을 조금이나마 추스릴 수 있을 듯 해서 몇자 남깁니다.
저와 신승철 소장님은 2012년 무렵 생명학연구회라는 모임에서 처음 만났습니다. 생명학연구회는 동학과 장일순, 김지하의 생명사상을 바탕으로 동서양의 생명담론을 공부하면서 이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생명담론과 한국적 생명운동을 모색해 보자는 취지의 모임으로 결성되었어요. 당시 신 소장님은 "가타리의 생태사상"에 대해서 귀한 발표를 해주셨지요.
그것으로 인연이 되어서 저도 "철학공방 별난"에서 가타리의 <세 가지 생태학>과 베이트슨의 <마음의 생태학>을 같이 공부하기도 했습니다. 늘 진지하고 진실된 학자의 모습으로 '생명'에 대한 깊은 탐색은 물론 후배들과 청년예술인들에게 생각의 길을 열어 주고 영감을 주는 모습을 보면서, 많은 생명들이 기대 살 수 있는 큰 나무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러다 저는 몇년 인도 오로빌을 다녀오고, 경주에 정착하면서 자주는 못 뵈었지만, 일년에 몇 차례는 꼭 원고 청탁도 하고, 안부 전화도 하면서 "김용휘 선생님 잘 지내시죠? 늘 응원합니다. 김용휘 선생님 화이팅!"이라고 소년같은 순수한 목소리로 격려해 줄 때마다 참 훈훈함을 느꼈습니다. 그래서 <생태적 지혜>에 몇 차례 기고도 하고, 특강과 발표도 두 세 차례 했던 것 같습니다. 바로 얼마전에도 공동체 포럼에서 기조발제를 하기도 했는데요. ㅠㅠ
올해 초에 '생태철학' 전공자를 뽑는다는 전임교수 공고가 났길래 꼭 원서 넣어보라고, "이 분야는 당신이 최고 아니냐" 라며 권했었는데, 며칠 후에 전화가 와서 "원서 안내기로 했어요, 저는 제도권 바깥에서 묵묵히 제 방식대로 길을 갈려고 합니다"라고 하더군요. 정말 말과 행동이 일치된 참 드문 철학자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와 할 일이 많이 남았는데 너무 아쉽고, 하늘이 원망스럽니다. 늘 흔들림 없는 큰 바위처럼 시대를 아파하되 묵묵히 자신의 자리를 지킨 그가 벌써 그립습니다. 하지만 저는 그가 멀리 가지 않았다고 믿습니다. 비록 육신은 없지만 '영과 혼으로써' 그는 우리 곁에서, 우리 가슴 속에서 영원히 함께 할 것을 믿습니다. 부디 우리들 가슴 속에서 그 선하고 환한 미소로 거룩한 빛을 밝혀주시길 빕니다.
2023년 7월 5일 서라벌에서 김용휘 심고
저와 신승철 소장님은 2012년 무렵 생명학연구회라는 모임에서 처음 만났습니다. 생명학연구회는 동학과 장일순, 김지하의 생명사상을 바탕으로 동서양의 생명담론을 공부하면서 이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생명담론과 한국적 생명운동을 모색해 보자는 취지의 모임으로 결성되었어요. 당시 신 소장님은 "가타리의 생태사상"에 대해서 귀한 발표를 해주셨지요.
그것으로 인연이 되어서 저도 "철학공방 별난"에서 가타리의 <세 가지 생태학>과 베이트슨의 <마음의 생태학>을 같이 공부하기도 했습니다. 늘 진지하고 진실된 학자의 모습으로 '생명'에 대한 깊은 탐색은 물론 후배들과 청년예술인들에게 생각의 길을 열어 주고 영감을 주는 모습을 보면서, 많은 생명들이 기대 살 수 있는 큰 나무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러다 저는 몇년 인도 오로빌을 다녀오고, 경주에 정착하면서 자주는 못 뵈었지만, 일년에 몇 차례는 꼭 원고 청탁도 하고, 안부 전화도 하면서 "김용휘 선생님 잘 지내시죠? 늘 응원합니다. 김용휘 선생님 화이팅!"이라고 소년같은 순수한 목소리로 격려해 줄 때마다 참 훈훈함을 느꼈습니다. 그래서 <생태적 지혜>에 몇 차례 기고도 하고, 특강과 발표도 두 세 차례 했던 것 같습니다. 바로 얼마전에도 공동체 포럼에서 기조발제를 하기도 했는데요. ㅠㅠ
올해 초에 '생태철학' 전공자를 뽑는다는 전임교수 공고가 났길래 꼭 원서 넣어보라고, "이 분야는 당신이 최고 아니냐" 라며 권했었는데, 며칠 후에 전화가 와서 "원서 안내기로 했어요, 저는 제도권 바깥에서 묵묵히 제 방식대로 길을 갈려고 합니다"라고 하더군요. 정말 말과 행동이 일치된 참 드문 철학자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와 할 일이 많이 남았는데 너무 아쉽고, 하늘이 원망스럽니다. 늘 흔들림 없는 큰 바위처럼 시대를 아파하되 묵묵히 자신의 자리를 지킨 그가 벌써 그립습니다. 하지만 저는 그가 멀리 가지 않았다고 믿습니다. 비록 육신은 없지만 '영과 혼으로써' 그는 우리 곁에서, 우리 가슴 속에서 영원히 함께 할 것을 믿습니다. 부디 우리들 가슴 속에서 그 선하고 환한 미소로 거룩한 빛을 밝혀주시길 빕니다.
2023년 7월 5일 서라벌에서 김용휘 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