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모 게시판

신승철 선생님 연구, 저술 목록

작성자
후학
작성일
2023-07-10 18:02
조회
730
신승철 선생님께서 집필하셨던 논문, 저술 목록을 올리는 것으로 삼가 추모의 뜻을 표합니다.

신승철 선생님의 연구, 저술목록

I. 학위논문 
  1. 2004. 석사학위논문.

    들뢰즈/가타리의 욕망론과 신체론에 대한 고찰 : 『천개의 고원』6장 '기관 없는 신체'를 만드는 법을 중심으로

  2. 2010. 박사학위논문.

    가타리의 분열분석과 미시정치 = Felix Guattari's Philosophy and Theory of Schizoanalysis and Micropolitics

II. 학술(잡)지

(공저일 경우 필자 표시, 이외 신승철 단독 저술(서평, 리뷰 등 포함))

1."인플레이션과 탈성장", 문화과학 112호 2022 겨울 (2022): 185-197.

2. 김효영, 신승철. "영성 · 정치와 현실의 거리." 뉴 래디컬 리뷰 2.2 (2022): 19-31.
3."들뢰즈 가면의 배후 인물, 가타리 - 질 들뢰즈, 『들뢰즈 다양체』, 서창현 옮김, 갈무리, 2022.." 뉴 래디컬 리뷰 2.3 (2022): 270-276.
4. "인류세와 기후 정의, 왜 지금 당장의 문제인가?." 뉴 래디컬 리뷰 2021.2 (2021): 179-192.
5."카오스모제 다시 읽기, 생태적 주체성 생산을 위하여." 뉴 래디컬 리뷰 -.87 (2021): 209-236.
6. "그린워싱, 녹색과 진보를 위장하다." 뉴 래디컬 리뷰 2021.1 (2021): 72-95.
7. 신승철(서평자). "어셈블리, 더불어 가난한 민주주의는 가능한가? : 안토니오 네그리·마이클 하트, 이승준·정유진 옮김, 『어셈블리』, 알렙, 2020.." 뉴 래디컬 리뷰 -.84 (2020): 267-277.
8.  "가치의 변화." 비정규 노동 141.- (2020): 14-17.
9.  "생태맑스주의: 성장을 넘어선 맑스주의 -『자본론 1장』과 생태경제학의 가능성과 도전-." 뉴 래디컬 리뷰 -.86 (2020): 135-164.
10. "스피노자와 생태주의 -『에티카』를 통해 본 ‘생태적 지혜’(ecosophia)-." 뉴 래디컬 리뷰 -.85 (2020): 216-243.
11. "[기고] 떨어지는 비행기,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모심과 살림 -.13 (2018): 163-178.
12. "생명정치의 관점에서 본 오염과 재생." 오늘의 문예비평 -.110 (2018): 18-36.
13. "생태계 위기와 탄소자본주의." 가톨릭 평론 17.- (2018): 105-112.
14. "[기고] ‘한 사람’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모심과 살림 -.9 (2017): 107-118.
15. "혼자 살아도 괜찮아?." 가톨릭 평론 7.- (2017): 21-30.
16. "[기고] 저성장 시대에 행복 만들기." 모심과 살림 -.11 (2017): 119-133.
17. "‘투명인간 되기’의 비밀 : 우리 안의 보이지 않는 공동체 만들기." 가톨릭 평론 10.- (2017): 69-77.

18.  "[함께읽기] 소농, 미래로 돌아가다." 모심과 살림 -.8 (2016): 145-153.
19. "[자유기고] 마트문명 넘어서기." 모심과 살림 -.7 (2016): 163-175.
20. "[특집] ‘욕망’과 공동체." 모심과 살림 -.4 (2014): 33-47.
21.  "욕망 논의에서 라캉의 구조와 가타리의 기계의 차이점." 시대와 철학 24.1 (2013): 115-145.
22. "논문 : 경계언어와 특이성 생산 -피진에 대한 가타리의 다층기호론적 분석틀 적용을 중심으로-." 시대와 철학 22.2 (2011): 197-228.
23. "사이버스페이스, 그 철학적 쟁점들." 철학·사상·문화 0.5 (2007): 54-88.
24. "칸트의 도덕철학의 논리적 구성과 들뢰즈ㆍ가따리의 비판적 계승 - 정언, 가언, 선언 논리적 구도와 오이디푸스 삼각형의 구성을 중심으로 -." 철학·사상·문화 0.4 (2006): 153-186.

25. "들뢰즈 / 가타리의 욕망론과 신체론에대한 고찰-『천개의 고원』제6장 ‘기관 없는 신체’를 만드는 법을 중심으로-." 철학·사상·문화 0.1 (2005): 133-173.

기타. 학술잡지에 실린 신승철 선생님에 대한 글

1.주요섭. "도표, 자기와 세계를 구하는 기술 - 신승철, 『생태계의 도표』(신생, 2020)." 오늘의 문예비평 -.117 (2020): 242-248

2.편집부.  "일상과 관계를 회복하는 공동체를 꿈꾸는 생태철학자 신승철." 가톨릭 평론 5.- (2016): 62-71.
  • 신승철 선생님을 기리는 글: 경향신문 2023.07.22.자.
한윤정, [세상읽기] 신승철, 정태인을 기리며 (경향신문)

III. 저술 (공저의 경우 공저자명으로 표시, 이외 단독 저술)

1.권범철 외, 돌봄의 시간들. 서울:모시는 사람들, 2023

2.공규동 외, 탈성장을 상상하라. 서울: 모시는사람들, 2023.
3.권희중, 신승철, 기후 전환 사회. 서울: 모시는사람들, 2022.

-<<기후 전환 사회>>에 대한 소개 기사: 교수신문, 2023.7.7.자

'탈성장 인내해야 기후위기 막는다'

4. 떡갈나무 혁명을 꿈꾸다. 서울: 한살림, 2022.
5. 정동의 재발견. 서울: 모시는사람들, 2022.
6.이태영, 신승철, 낭만하는 공동체 넘어서기. 서울: 알렙, 2022.
7.고은광순 외, 지구적 전환 2021. 서울: 모시는사람들, 2021.
8. 지구살림, 철학에게 길을 묻다. 서울: 모시는사람들, 2021.
9. 묘한 철학. 서울: 흐름출판, 2021.
10. 권희중, 신승철, (10대와 통하는) 기후 정의 이야기. 서울: 철수와영희, 2021.

11. 포스트 코로나 시대, 플랫폼 자본주의와 배달노동자. 경기도: 북코리아, 2021.
12.권희중 외, 우리의 욕망을 공유합니다. 서울: 한살림, 2020.
13. 생태계의 도표. 부산: 신생, 2020.
14. 가난의 서재. 서울: 한살림, 2020.
15. 누가 방안의 코끼리를 꺼낼까?. 부산: 신생, 2019.
16. 모두의 혁명법. 경기도: 알렙, 2019.
17. 구도완 외, 세상의 밥이 되는 공동체운동. 서울: 한살림, 2019.
18. 사랑할수록 지혜로워진다. 서울: 사우, 2019.
19. 탄소 자본주의. 서울: 한살림, 2018.
20. 저성장 시대의 행복사회. 서울: 삼인, 2017.
21. 구성주의와 자율성. 서울: 알렙, 2017.
22. 신승철, 이윤경, 체 게바라와 여행하는 법. 경기도: 사계절, 2017. (ePub., 2018)
23. 신승철,이윤경, 철학의 참견. 경기도: 서해문집, 2016. (ePub., 2017)
24. 마트가 우리에게서 빼앗은 것들. 경기도: 위즈덤하우스, 2016.
25. 스마트폰과 사물의 눈. 서울: 자음과모음, 2015.

26.철학, 생태에 눈뜨다. 서울: 새문사, 2015.
27. 욕망 자본론. 서울: 알렙, 2014.
28. 이윤경, 신승철. 달려라 청춘. 서울: 삼인, 2014.
29. 갈라파고스로 간 철학자. 경기도: 서해문집, 2013.
30. 녹색은 적색의 미래다. 서울: 알렙, 2013.
31. 눈물 닦고 스피노자. 경기도: 동녘, 2012.
32. 식탁 위의 철학. 경기도: 동녘, 2012.
33. 루저의 심리학. 서울: 삼인, 2012.
34. (펠릭스 가타리의) 생태철학. 충청남도: 그물코, 2011.
35. 분열과 혁명의 영토. 서울: 중원문화, 2011.
36. 대한민국 욕망보고서. 서울: 당대, 2011.신승철.

37.사랑과 욕망의 영토. 서울: 중원문화, 2011.
38.김경일 외. 인문학박물관에서. 서울: 인물과사상사, 2010.
39. 대한민국 욕망공화국. 서울: 해피스토리, 2008.
40. 에코소피. 서울: 솔, 2008.

41. (눈 밖에 난 철학) 디지털로 본 철학. 서울: 랜덤하우스중앙, 2005.

42. 디지털로 본 철학. 서울: 리좀, 2005.

*번역

Dyer-Witheford, Nick. 사이버-맑스. 류현, 신승철 공역, 서울: 이후, 2003.
  • 출간 저술 상세사항
-인터넷 서점에 안내된 저술 소개:신승철

위 내용 중에서 의도치 않은 실수로 잘못 기재되고, 누락된 저술에 관해서 너그러운 양해 구합니다.  보완이 거듭되어야 할 1차 자료로 목록을 삼가 올려봅니다. 향후 검토와 개정을 거쳐 저술 목록이 완비되기를 바랍니다.

덧붙이는 말씀.

댓글을 통해 적어주신 내용을 읽고 반영하였습니다. (2023.7.11.)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마도 제가 계속 업데이트를 못할 지도 몰라, 미리 양해 말씀도 드려야할 것 같습니다.

생태적 지혜 연구소 선생님들께서 위 자료를 사용해주시면 감사할 따름입니다. 신승철 선생님께서 걸으셨던 학문적 행로를 돌아보며 삼가 추모의 뜻을 전합니다. 아마 다른 분들의 마음이 대부분 그러할 듯이, 생태적 지혜 연구소에 응원 드리고 싶은 뜻도 함께 전하고 싶습니다.
맨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