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 위기의 시대, 교육은 어디로 가야 할까요?
교육은 단지 능력을 기르는 도구를 넘어, 서로 연결된 존재로서의 인간이 함께 세계를 만들어가는 방식이어야 합니다.
이 책은 ‘응답과 생성의 역량’, ‘정동 기반의 책임과 연대’, ‘아상블라주적 실천’ 등 일곱 가지 교육 원리를 통해 생태 문명으로의 전환을 구체적으로 제안합니다.
이번 북토크에서는 인디고 서원의 사례를 바탕으로, 이러한 교육 원리들이 삶과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를 함께 나눕니다. ‘다르게 배우고, 다르게 살아가기’를 고민하는 모든 분들을 초대합니다.
📖 도서: 『생태 문명을 향한 교육 원리』 (남미자, 이윤영, 이희진, 정용주 저/경기도교육연구원 기획 | 학이시습, 2024)
📅 일시 : 2025년 4월 25일(금) 저녁 7시
📍 장소 : 생태적지혜연구소/온라인 Zoom 회의실 병행
. . . 현장 참석 – 서울 영등포구 여의대방로47길 13, 2층
📍 신청서 : 구글 신청서
👤 함께 이야기 나눕니다
저자 | 남미자(경기도교육연구원 연구위원)
소수자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연구를 통해, 여성, 청소년, 성소수자 등 경계 혹은 경계 바깥의 존재들에게 곁이 되려고 노력한다. 주요 저서로는 『탈성장을 상상하라』(공저, 2023)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청소년의 정치 활동의 현실과 과제: 정치적 기본권 보장을 중심으로”(2024) 등이 있다.
저자 | 이희진(창원남산초등학교)
지배하지도 지배당하지도 않는 교육을 바라며 탈?위계주의, 탈?나이주의, 비폭력, 반차별에 대한 고민을 이어가고 있다. 『연애와 사랑에 대한 십대들의 이야기』(공저, 2016)에서 어린이의 성에 대한 부분을 썼고, 『체벌거부선언』(공저, 2019), 『광장에는 있고 학교에는 없다: 민주주의의 도전』(공저, 2017)에서 교사이자 활동가로서 생각을 나누었다.
진행 | 윤상혁(영림중학교 교장)
전 서울시교육청 장학사. 저서로 『기후위기 시대의 환경교육』(2021, 공저), 『서로를 살리는 기후위기 교육』(2022, 공저), 『교장의 일』(2024, 공저) 등이 있다. 교육의 생태적 전환이 기후위기 시대의 미래교육이라 믿고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참가비 : 무료 (책은 현장에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 참가문의: 이윤경(010-9744-7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