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나를 모르고
나도 그를 모른다
스쳐간 기억 한조각도 없지만
어쨌든 몇 년은 같은 국민학교 동급생이었음을
2024년 지방뉴스에서 알게 되었다
이미 저명했던 그가 노벨문학상 수상으로
이제 세계의 살아있는 전설이 되었을 때,
마침 나는 예전 그 도시 그 국민학교의 이름 없는 비정규직 돌봄노동자였다.
돈이 없다며 10분 무급노동을 제도화하고
돌봄노동자를 8시간과 5시간으로 쪼개놓았던
5ㆍ18 민주인권도시의 교육청이
빛의 속도로 한강 현수막과 기념물을 설치하고
껌값인 양 1억 5천만원 학교예산이 책정되는 것을
나는 멍하니 침 흘리며 목격했다
그 후 365일 동안 출근할 때마다
교문 앞 사진 속 그의 미스테리한 미소와 마주치며
서로 다른 꿈과 삶을 생각한다
그는 작가가 되고 싶었고
나는 시인이 되고 싶었고,
헤어짐 후 한 아이의 엄마였던 그와
헤어짐 후 한 아이의 엄마였던 나는,
그는 개인과 사회의 상처와 고통을 시와 소설로 썼고
나는 개인과 사회의 상처와 고통에 거리와 공장에서 투쟁했고,
이제 오래 전 초등학교에서
일찌감치 떠난 그의 문학은 별이 되어 높게 빛나고
남겨진 나의 비정규직노동은 그늘 속 차별로 처박혀
서로 만나지 못한다
이어질 듯 끊어질 듯
비슷한 듯 전혀 다른 듯
아는 듯 모르는 듯
서로를 껴안을 수 없는
두 아이의 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