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다양성이 미래 국가경제에 큰 영향을 준다고? 홍순용2024년 6월 3일조회 1.5K UN 생물다양성협약의 GBF 흐름과 생태경제학 관점, 생물다양성 리스크 및 생물다양성 소송 사례를 살펴보고, 앞으로 인간과 자연이 공생하기 위해 어떤 방향으로 우리가 만들어가야 하는지 알아보자. 생물다양성 생태경제학 자연법 자연자본 회계적 가치
대의제를 넘어, 인간을 넘어 이나미2024년 4월 11일조회 1.3K 4월 10일,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 장 자크 루소가 말했듯이, 선거는 4년이나 5년에 한 번씩 투표할 때만 주인과 자유인이 되는 제도일까? 과연 현재의 투표 방식으로 국회의원과 대통령을 선출하는 것이 민주주의 실현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이 글에서는 대의제 정당 정치의 한계를 넘어서, 지구의 모든 구성원들이 자신의 권리를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민주주의 시민의회 에코크라시 인간중심 자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