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레나 노르베리 호지(1946.1.10~)는 〈로컬 퓨처〉(Local Futures)(구. 〈국제 생태와 문명 협회〉 (International Society for Ecology and Culture/ISEC))의 창립자이자 이사이다. 〈로컬 퓨처〉는 “문화적‧생물학적 다양성의 회생(回生), 전 세계의 지역 공동체와 지역 경제의 강화에 헌신하는” 비영리 기구이다.

노르베리 호지는 히말리야 라다크 지역의 전통과 변화를 다룬 국제적인 베스트셀러 『오래된 미래』(1991)─이 책은 에코북과 오디오북 버전을 포함해 다양한 언어로 읽어볼 수 있다─의 저자이다. 『로컬의 미래』 (2019) 의 저자이기도 한 노르베리-호지는 이 책에서 전지구적 경제에 대한 지역화된 대안을 옹호하는데, 이 대안에는 특히 권위주의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탄탄한 지역 식량 제도와 민주주의 구조의 창출이 포함된다. ‘경제적 지구화’를 거침없이 비판하는 그녀는 제리 맨더(Jerry Mander), 더글라스 톰킨스(Doug Tompkins), 반다나 시바(Vandana Shiva), 마틴 코르(Martin Khor) 등과 함께 1994년 〈국제 세계화 포럼〉 (International Forum on Globalization, IFG)를 공동 창립했다. 그녀는 세계화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지역화를 주장하는 주요 인물이며, 2014년 〈지역화를 위한 국제 연맹〉 (International Alliance for Localization, IAL)을 창립했다.
노르베리 호지는 수상 경력이 있는 다큐멘터리 영화 『행복의 경제』(2011)를 제작 및 공동 감독했다. 이 영화는 경제적 지구화에 반대하고, 지역화에 찬성하는 그녀의 논지가 담겨있다. 최근에 그녀는 전 세계에 송출되는 방송을 통해 세계 지역화의 날을 설립했다. 1986년, 그녀는 “관광과 발전의 맹공격에 맞서 라다크의 전통적 문화와 가치를 보존한 점”을 인정받아 〈라이트 라이블리후드 상〉을 받았다. 2012년 그녀는 “지역화 운동에서의 선구적 업적”으로 〈고이 평화상〉을 수상했다.
교육
노르베리 호지는 스웨덴, 독일, 오스트리아, 영국, 미국 등에서 교육받았다. 그녀는 노암 촘스키와 함께 런던대와 MIT에서 언어학 박사 과정을 이수했다. 그녀는 7개 국어에 능통하고, 산업화의 정도가 다른 다양한 문화권에서 살며 공부했다. 노르베리 호지가 세계관을 형성하는 데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지역은 히말라야 라다크였다.
라다크
‘작은 티베트’로 불리는 라다크는 티베트 고원의 외진 지역에 있다. 라다크는 정치적으로는 인도에 편입되어 있지만, 문화적으로는 티베트와 더 많은 공통점을 갖는다. 라다크는 중국-파키스탄과 국경을 접하고 있고, 두 나라와 긴장 관계에 있으면서 잦은 국경 분쟁을 겪기 때문에, 인도 정부는 라다크의 상당 부분을 외부 세계와 고립시켰다. 1962년이 되어서야 라다크와 타 인도 지역을 분리하는 높은 산을 지나는 최초의 도로가 건설되었고, 그조차도 인도 군대 외에는 출입이 금지되었다. 1975년 인도 정부는 라다크에 관광과 ‘발전’을 허용하기로 결정했고, 노르베리 호지는 그곳을 방문한 최초의 서양인 중 한 명─독일 영화 제작진의 통역가로 참여─이었다. 그녀가 인도의 웹사이트 〈인포체인지〉(Infochange)와의 인터뷰에서 설명했듯이, 개방 초창기에 그녀가 관찰한 라다크의 문화는 사회적‧생태적으로 좋은 삶이 이뤄지는 천국과도 같은 곳이었으나, 외부 경제 세력의 영향력 하에 놓이자 빠르게 붕괴되었다. “제가 처음 5,000명이 거주하는 라다크의 수도 레(Leh) 에 도착했을 때, 소들이 교통체증의 가장 큰 원인인 것 같았고, 하늘은 수정처럼 맑았습니다. 마을 중심가에서 어떤 방향으로 걸어가던 5분 거리 안에 보리밭이 있었고, 큰 농가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었죠. 그 후 20년 동안 저는 레가 무분별하게 확장하는 도시로 변해가는 것을 지켜봤습니다. 거리는 교통 체증으로 꽉 막혔고, 공기는 디젤 엔진이 내뿜는 매연을 맛보게 했습니다. 영혼 없는 시멘트 상자들로 이루어진 ‘주택 식민지’가 먼지 날리는 사막 쪽으로 퍼져 나갔습니다. 한때 깨끗했던 시냇물은 오염되었고, 식수로 쓸 수 없게 되었습니다. 처음으로 노숙자들이 생겨났습니다. 점점 늘어나는 경제적 압박은 실업과 경쟁으로 이어졌습니다. 몇 년이 지나자 서로 다른 공동체 간의 마찰이 나타났습니다. 이 모든 것은 이전 500년 동안 존재했던 적이 없던 것들입니다.”
그녀가 영화 버전 『오래된 미래』에서 설명했듯이, ‘발전’이 가져온 많은 변화는 심리적인 것이었다. “라다크에서의 첫 1년간 저는 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다운 마을에 있었습니다. 모든 집은 3층 높이였고, 하얗게 칠해져 있었습니다. 그저 놀라울 뿐이었죠. 그래서 호기심이 생긴 저는 마을의 한 청년에게 가장 가난한 집을 보여달라고 부탁했습니다. 그는 잠시 생각하더니, 이렇게 말하더군요. ‘우리 지역에는 가난한 집이 하나도 없습니다.’ 8년이 지난 뒤 저는 같은 사람이 ‘오 제발 우리 라다크 좀 도와주세요. 우린 너무 가난해요!’라고 관광객에게 말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8년간 그는 서구적 삶의 그 모든 일차원적인 이미지들에 폭격을 당해왔던 것이죠.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그는 빠르게 달리는 차를 가진 사람들, 결코 일하지 않지만 많은 돈을 가진 사람들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그는 불현듯 그것과 비교했을 때 자기 문명은 후진적이고 원시적이며 가난하다고 여기게 되었죠.”
노르베리-호지는 1978년 〈로컬 퓨처〉의 모(母)기구인 〈라다크 프로젝트〉를 창립했다. 지나친 장밋빛 인상을 남기는 도시의 소비문화 생활에 반대하고 전통문화에 대한 존중을 다시 자리잡게 하기 위함이었다. 그녀는 또한 〈라다크 여성연합〉, 〈라다크 환경 및 건강 기구〉, 〈라다크 생태적발전 모임〉 등의 여러 원주민 NGO 단체를 설립하는 데 조력했다. 〈라다크 생태적발전 모임〉은 태양열로 가동되는 온수기와 조리기, 수동 실내 난방기, 온실을 포함한 다양한 소규모 적정기술을 설계, 제작, 설치했다. 1986년 노르베리 호지와 〈라다크 생태적 발전 모임〉은 공로를 인정받아 대안적 노벨상으로도 불리는 〈라이트 라이블리후드 상〉을 수상했다.
출판물
노르베리 호지의 가장 최근 저서 『로컬의 미래』(2019)는 전 지구화된 경제에서 분권화되고 지역화된 경제 네트워크로의 체계적 전환이 어떻게 경제적 불평등에서 기후위기, 정신병 전염에 이르는 여러 문제를 단번에 해결할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로컬의 미래』는 빌 맥키번(Bill McKibben), 더글러스 러시코프(Douglas Rushkoff), 데이비드 스즈키(David Suzuki), 찰스 아이젠스타인(Charles Eisenstein), 앨리스 워터스(Alice Waters) 등 많은 유명인사들로부터 찬사를 받았다.

이전에 출판된 『오래된 미래: 라다크로부터 배우다』 (1991)는 노르베리 호지가 손수 경험한 라다크의 전통 문화 및 그에 기반한 재래식 발전이 미치는 영향력을 다룬다. 해당 책은 매우 호평을 받았고, 그 이후로 계속해서 출판되었다(다른 부제가 붙은 2판 『세계화하는 세계를 위한 라다크의 교훈『 은 2009년에 출판되었고, 부제가 없는 3판은 2016년 4월에 출판되었다.) 〈런던 타임즈〉는 『오래된 미래』에 대해 “영감을 주는 고전” 으로 묘사했고, 작가 수잔 그리핀(Susan Griffin)은 “우리 시대 가장 중요한 책 중 하나”라고 언급했다. 『오래된 미래』는 동명의 영화와 함께 4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노르베리-호지는 또한 『식량 경제를 고향으로 가져오기: 전지구적 농업사업에 대한 지역적 대안』(2002)과 『밑바닥에서 끝까지: 산업적인 농업문화를 다시 생각하기』 (1992) 의 공동 저자이다.
노르베리 호지는 수년에 걸쳐 수많은 글을 썼고, 여러 책에 글을 기고했다. 아래는 온라인에 게시된 그녀의 작품 중 일부다.
• “Resist Locally, Renew Globally”, Great Transition Initiative, August 2019
• “Unlike a Globalized Food System, Local Food Won’t Destroy the Environment”, Truthout, December 2018
• “Localisation: a strategic solution to globalised authoritarianism”, Transnational Institute, May 2018
• “Localization and the Economics of Happiness”, Soka Gakkai International, March 2017
• “Strengthening Local Economies: The Path to Peace?”, Tikkun, 29 July 2015
• “A New Call for Resistance and Renewal”, Resurgence, July–August 2015
• “The Economics of Climate Change” Archived 22 April 2021 at the Wayback Machine Ecotrust, 23 February 2015
강의, 워크숍, 온라인 세미나 및 발표
노르베리 호지는 여러 언어로 광범위하게 강의하는데, 대부분은 영어, 스웨덴어, 독일어, 라다크어, 그리고 드물게 프랑스어, 스페인어, 그리고 이탈리아어로 강의한다. 수년에 걸쳐 그녀는 대학, 정부 기관, 사립 기관 등에서 순회 강연을 했다. 그녀는 독일‧스웨덴‧영국의 국회의원들, 백악관과 미 의회를 상대로 발표했고, 유네스코, 세계은행,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IMF뿐만 아니라 케임브리지‧옥스퍼드‧하버드‧코넬대 등 여러 대학에서도 강연한 바 있다. 그녀는 또한 영국의 슈마허 대학(Schumacher College)에서 정기적으로 강의한다. 그녀는 지역화 문제를 다루는 전 세계 공동체를 대상으로 빈번하게 강의와 워크숍을 진행한다. 여기에 더해 그녀는 전 세계 곳곳의 TV와 라디오에 자주 출연한다. 녹음되거나 촬영된 노르베리 호지의 몇몇 기록은 온라인에서 연람 가능하다.
• December 2019- “Is Localization a Solution to the Crisis of Capitalism?” (interview on the Upstream Podcast)
• October 2018- “Helena Norberg-Hodge on Looking at the Big System” (appearance on the television program Renegade Inc)
• May 2017- “Understanding the Economic Equation for Creating Happiness” (interview on the UPLIFT Podcast)
• March 2016- “Debt and Speculation in the Global Economy” (webinar with Charles Eisenstein).
• December 2015- “Going Local” (webinar with Michael Shuman).
• October 2015- “Economics of Happiness – How Human-Scale Is Essential for Solving Our Social and Ecological Problems” at Lingnan University, Hong Kong
• May 2015- Talk at the ‘Our Community’ Conference in Melbourne, Australia
• July 2011-“The Economics of Happiness.” TEDx, Christchurch, New Zealand
수상
• 〈라이트 라이블리후드 상〉, 〈라다크 생태적 발전 모임〉과의 작업을 인정받아 수상. (1986년)
• 〈어쓰 저널〉(Earth Journal) 에서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흥미로운 환경운동가 10인’ 중 한 명으로 선정. (1993년)
• 칼 맥다니엘(Carl McDaniel)의 저서 『살아있는 행성을 위한 지혜』(Wisdom for a Liveable Planet) (2005) 에서 선정한 오늘날 세계를 변화시키는 8명의 선구자 중 한 명.
• 일본 〈고이 평화 재단〉에서 “더욱 지속 가능하고 공평한 세상을 만드는 데에 기여한 신경제 운동에서의 선구적 업적”을 인정받아” 〈고이 평화상〉 수상. (2012년)
• 이탈리아 토스카나의 티그나노 페스티발(Tignano Festival) 환경상 수상 (2023년)
소속
노르베리 호지는 〈국제 전지구화 포럼〉과 〈세계 생태마을 네트워크〉의 공동 설립자이다. 그녀는 토스카나 주정부의 지원으로 출범한 〈국제 식량 및 농업 미래 위원회〉(Future of Food and Agriculture)의 창립 회원이었으며, 이전에는 〈에콜로지스트〉(The Ecologist) 의 편집위원이었다. 그녀는 현재 호주에 살고 있다.
링크
• 로컬 퓨처
• 영상 『오래된 미래: 라다크로부터 배우다』
• 온라인 인터뷰
• 〈에콜로지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