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신승철 선생님께 숙제를 받은 지 두 달이 되도록 머릿속에만 맴돌던 글을 한 자 쓰지도 못했는데, 조언 구할 선생님은 이제 안 계신다는 사실이 나를 더 무기력하게 만든다. 순례길에서나 들어봄직한 ‘환대’라는 단어가 나에게 익숙하지 않음은 분명했다. 그러다 곰곰이 생각해보니 주변 사람들에게 적잖이 들어본 적도 있는 것 같았다. 마구 엉켜있는 내 머릿속 실타래를 풀어보자는 다짐을 하며 커피 한 잔을 손에 들고 책상 앞에 앉았다.

몇 달 전 일이다. 이른 아침부터 개 짖는 소리가 그치지 않아 밖으로 나갔더니 낯선 차량 몇 대가 보였다. D동에 살던 불편한 이웃이 얼마 전 이사를 나가고 몇 주 동안 비어있었는데, 공사를 하는가 보다. 혹시 입주할 사람들도 나왔나 궁금한 마음에 시원한 음료수를 몇 병 챙겨들고 D동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분주하게 왔다 갔다 하는 작업자들 사이로 한 여성이 보였다. 아무래도 새로 이사할 안주인인 듯하여 인사를 건넸다. 서로 음료수를 나눠 마시며 이런저런 얘기를 나눴다. 아들 셋과 신랑 이렇게 다섯 식구라고 했다. 현명하게도 작년 한 해 동안 시골살이를 해 보고 이사오기로 결심했단다. 점점 학생 수가 줄어드는 시골 작은 학교 학부모인지라 나는 더할 나위 없이 반가웠다. 그로부터 꼭 3주 뒤에 그들은 이사를 왔다. 요새는 ‘어쩌다 이웃’인 우리 마을에 아이가 총 6명이 되어 하교 후에는 재잘재잘 아이들 말소리, 웃음소리, 자전거 타는 소리 등이 우리의 귀를 간지럽힌다. 지난주에는 이웃들이 모두 모여 함께 닭백숙을 끓여 먹으며 환영식을 대신했다. 아이들이 다 커 부부만 사는 이웃들은 오랜만에 아이들 웃음이 곳곳에서 넘쳐나니 좋다고 하셨고, D동 안주인은 나에게 처음 봤을 때 따뜻하게 환영해줘 너무 기분이 좋았다고 했다.
몇 해 전에는 울산시에서 주최하는 ‘일반인 건축 투어’에 우리 집이 포함되어 얼굴도 모르는 방문객 30여 명을 맞이한 적이 있다. 날짜와 시간만 전해 듣고, 내 집을 방문하는 낯선 이들을 위해 다과를 준비했다. 정성을 기울여 떡과 컵과일을 하나씩 준비하고 있자니 쓸데없는 오지랖이 또 발동했구나 하는 생각도 잠시 했지만, 몇 개의 건물을 차로 이동하며 관람하는 사람들이 잠시라도 맛있는 음식을 먹으며 행복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더 컸다. 아이도 더러 섞여 있는 방문객들은 와~ 하는 감탄사를 연발하며 환대해 줘서 고맙다는 말을 하였다. 그 모습을 보며 나도 행복한 웃음을 지었던 기억이 있다. 이처럼, 더듬어 보니 삶에서의 환대의 기억이 제법 있었다.
선생님은 “우애는 가까이에 있는 친밀함을, 환대는 멀리 있는 낯섬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고 말씀하셨다. 이 글을 쓰기 전에는 ‘친절’과 ‘우애’라는 말에서 풍겨나오는 이미지가 선명하게 구분되었으나 이 글을 쓰다 보니 점차 더 모호해졌다. 환대와는 다른 것인가?
몇 해 전 내가 살고 있는 지자체에서 ‘아프가니스탄 이주민’ 몇백 명을 받아들여서, 이들은 근무할 기업이 위치한 모 구에 집중적으로 살게 되었다. 뉴스를 잘 보지 않아 자세한 내용을 몰랐는데, ZOOM으로 함께 활동하는 동아리 소속 다른 학부모들을 통해 이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해당 구에 살고 있는 몇 학부모는 흥분했고, 주민동의 없이 이래도 되는 거냐며 불만 섞인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또 다른 학부모는 그들이 무리 지어 다닐 때는 애들 밖에 내놓기가 겁이 난다고도 했다. 그때 내심, 너무나 놀랐다. 우리가 잘 알지 못한다는 사실 만으로 얼마나 타인을 함부로 평가하고, 위험하리라 추측하며, 타자에게 인색한지를.
그러한 상황에서도 당시 교육감의 대처가 무척 인상적이었다. 그는 이주민들의 자녀가 낯선 곳에서 학교를 잘 다닐 수 있도록 등교 전에 여러 차례 교육청으로 초청하고 자료를 준비해서소통을 하였고, 등교 첫날은 직접 자리를 함께해 응원해 주기도 하셨다. 그분이 보여준 것이야말로 최고의 ‘환대’인 듯하다.

사진출처 : pixundfertig
우리의 삶은 순간순간 사람과의 만남에서 시작되고 이어진다. 코로나19로 잠시 그 만남이 단절되던 때도 있었다. 하지만 거리두기는 풀렸으나 그 이후로도 우리 사회는 여전히 심리적 거리두기를 하는 듯하다. 남녀노소가 서로 갈라지고, 부자와 가난한 자는 더 멀어지는 등 이런 것들로 발생하는 사회문제가 심각해 보인다. 어쩌면 타자에 대한 환대가 이러한 문제들을 조금은 줄여 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생각이 달라도 피부색이 달라도 따뜻한 마음으로 대하는 것만으로 서로의 빗장을 조금씩 열고, 때로는 연대할 수 있는 이웃이 되지 않을까? 쉽지 않지만 그럼에도 환대가 우리 삶의 방식이어야 하는 이유이지 않을까?
정현종 시인의 ‘방문객’이라는 시를 필사하며 다짐해본다.
사람이 온다는 건 실은 어마어마한 일이다.
그는 그의 과거와 현재와 그리고 그의 미래와 함께 오기 때문이다.
한 사람의 일생이 오기 때문이다,
부서지기 쉬운 그래서 부서지기도 했을 마음이 오는 것이다,
그 갈피를 아마 바람은 더듬어 볼 수 있을 마음,
내 마음이 그런 바람을 흉내 낸다면 필경 환대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