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가능성과 잠재력이 기후 위기로부터 우리를 구출할 것인가?”
왠지 모르게 ‘있어 보이는’ 질문을 받았다. 이 질문에 대한 나의 답변은 질문만큼 어렵지 않다. 그냥 나스럽게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을 고민하다 보면 인간이 저질러놓은 기후 위기에서 한 발자국 멀어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이는 곧 조화로움에 대해 집중하게 되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싶다.
대부분 사람이 동일성을 추구하고 있는 지금의 이 세계는 과연 조화로운가? 누군가를 배제하고, 미워하고, 혐오하고, 무시하고, 차별하는 일들이 가득한 세상이지 않은가? 인간 중심적인 세상에서 비인간 동물들은 인간의 편의를 위해 착취당하고, 삶의 터전을 빼앗긴 채 살아가야만 하며, 인간 사회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가 뚜렷해 배제되는 존재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이 세상에는 불안들이 가득하다. 수많은 불안 중에서도 서로가 서로에게 가하는 불안함이 유독 눈에 띈다. 흔히 ‘정상’이라고 이야기하는 동일성을 추구해야 하고, 그 동일성에서 벗어나면 불안함을 느끼게 만든다. 그런 불안함이 나를 포함한 주변을 살피지 못하게 만들고 나의 고유함을 잊게 만드는 것 같다. 내가 나를, 내가 너를, 내가 우리를 돌보지 못하는 상황은 지금의 기후 위기의 상황과도 닮아있다.

어른들은 나에게 항상 하고 싶은 것만 하고 살 수 없다고 이야기한다. 이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나의 일부분을 포기해야만 한다고 이야기한다, 왜 그래야만 할까? 왜 나의 일부를 버리면서까지 타인의 삶과 비슷해져야만 하는 걸까? 그래서인지 요즘 나는 나스러운 것이 무엇일까 하는 고민에 내 시간의 대부분을 쓰고 있다. 길을 걸을 때도, 밥을 먹을 때도 문득 나스럽다는 것이 뭘까, 어떻게 하면 나스럽게 잘 살아갈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나의 모양 그대로 살아가는 것에 집중한다면, 서로의 모양과 나의 모양 그대로에 집중한다면, 누군가를 혐오하거나 배제하는 일은 없을 것 같다. 인간이 가진 가능성과 잠재력을 믿기에 모두가 잘살아갈 수 있는 세상이 될 거라는 작은 믿음으로, 나는 나스럽다는 것이 무엇인지부터 질문해보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