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그리세미나_『야만적 별종』(online)
■커리큘럼 : 네그리, 『야만적 별종』, 윤수종 역, 푸른숲, 1997
■일시 : 2021년 6월 15일 (화요일) 오후 1-4시
* 「저자 서문」: 스피노자의 문제의식 3가지.
(1) “스피노자는 근대 유물론을 최고의 형태에서 기초지운다. 이 유물론은 내재적이고 주어진 존재철학 안에서 근대적․동시대적인 철학적 사변의 지평을, 그리고 존재의 구성이나 인간 행동에 대한 모든 전제된 질서를 거부하는 것으로 정의된 무신론의 지평을 규정한다.”(47/번역수정)
(2) “스피노자는 정치적 질문들과 대면했을 때, 비신비화된 민주주의 형태를 정립한다. 다시 말해 그는 민주주의 문제를 유물론의 지형 위에서 제시하고, 그럼으로써 국가가 지닌 모든 법적 관념을 신비화라고 비판한다. … 스피노자적 내재주의 속에서, 스피노자 정치의 고유한 관념 속에서, 민주주의는 생산 속에 조직된 ‘다중’의 정치이고 종교는 민주주의 속에서 조직된 ‘무지자들’의 종교이다. 이 스피노자적 정치의 구축은 근대사상에서 근본적인 계기를 구성한다.”(47-48)
(3) “스피노자는 형이상학의 역사가 발본적 대안들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형이상학의 색다른 역사가 존재하며 저주받은 역사에 대항하는 축복받은 역사가 존재한다.”(49) 즉 계급투쟁의 대안을 포함하는 형이상학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단지 회의주의나 냉소주의와는 다른 ‘부정적 사유의 긍정적 형태’로, 그것은 “사유의 구성적 긴장과 다중의 역사적 활동의 물질적 매개로서 작용하는 능력으로서만 존재한다.” 스피노자적 대안의 두 계기는 그런 점에서 하나는 비판적(부정적)인 것이며, 다른 하나는 구성적(긍정적)인 것이다. 이때 구성적 역능은 “자유에 대한 규정”이다.
– 스피노자를 혁명적 역능에 관점에서 보는 여러 문헌적 근거가 있다. 마르셜 게루, 마슈레이, 들뢰즈, 헤커와 마트롱 등의 해석이 그것이다.
– “스피노자는 현재에 앞서 미래를 비판한다. 그의 철학의 우리의 미래에 관한 철학이기 때문에 그는 현재적인 철학자이다.”(51)
■다음일정 : 2021년 6월 22일 (화요일) 오후 1-4시
■다음커리큘럼 : 네그리, 『야만적 별종』, 윤수종 역, 푸른숲, 1997.
네그리세미나_『야만적 별종』(online)
■커리큘럼 : 네그리, 『야만적 별종』, 윤수종 역, 푸른숲, 1997

■일시 : 2021년 6월 8일 (화요일) 오후 1-4시
* 하트의 「영역자 서문」: 두 개의 힘과 두 개의 조직화, 즉 “권력은 집중화된, 매개적인, 초월론적인 지배의 힘을 가리키는 반면, 역능(활력)은 국지적인, 직접적인, 현실적인 구성의 힘이다.”(39)
– 스피노자의 적대에 대한 네그리의 인식은 그가 당시 감옥수감이라는 현실에 있었기 때문에 더욱 구체적이었을 것이다.
– 스피노자의 세 가지 명제, 1) 신의 본질은 신의 역능과 동일하다, 2) 우리가 인식할 수 있는 모든 것이 신의 권능 안에 있다, 3) 모든 원인으로부터 어떤 효과가 반드시 따라야만 한다.> 그런 점에서 신의 본질은 세계 속에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제외하면 어떤 것도 가능하게 하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스피노자의 형이상학 안에서는 권력과 역능의 구별이 있을 수 없다. “형이상학에서는 권력은 환상이다.”(41) 그러나 역사적이고 정치적인 전망에서 볼 때 권력은 스피노자의 세계관 속에서는 현실적이고 물질적인 존재를 가진다.
– 스피노자 기획의 전략: “한 전략은 역능에서 권력으로, 형이상학에서 정치학과 역사로 나아간다. 다른 전략은 그 반대방향인 권력에서 역능으로, 정치학에서 형이상학으로 나아간다.”(42)
– 스피노자는 공통되는 사회적 행위를 통해 공통 욕망을 나타내는 집단적이고 사회적인 주체를 묘사하기 위해 ‘다중’ 개념을 썼다. 민주주의적 전망의 주역인 다중은 구성과정을 통해 사회적 권위를 창출한다.
– “민주주의는 절대적이고 무제한적인 정부형태이며, 그 정부에서 최고권력은 전적으로 다중이 지닌 역능에 의해 구성된다. 스피노자의 민주주의는 다중적 권위라는 역동적 형태인 구성권력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이다.”(44)
* 「저자 서문」 : “스피노자의 유물론적 형이상학은 17세기의 강력한 별종이다. 패배한 또는 주변적 별종이 아니라 오히려 승리를 구가하는 유물론이라는, 항상 전진하는 그리고 스스로를 구성함으로써 세계를 변혁하기 위한 이상적 가능성을 제시하는 존재라는 별종이다.”(46)
■다음일정 : 2021년 6월 15일 (화요일) 오후 1-4시
■다음커리큘럼 : 네그리, 『야만적 별종』, 윤수종 역, 푸른숲,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