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어한 자연, 퀴어한 생태윤리 오귤희2022년 10월 18일조회 1.6K 생태윤리에서 말하는 ‘자연으로부터의 배움’은 생물학적 본성을 앞세우는 이성애중심의 기존 규범을 강화할 여지가 있다. 이러한 ‘자연’은 늘 영구불변의 고정성을 전제한다. 반면에 들뢰즈의 자연은 자기동일성을 부정하는 차이를 생성하며, 여기서 인공적인 것과 자연적인 것은 상호중첩된다. 해러웨이는 여기서 더 나아가 ‘기이한 친족’ 형성의 윤리를 제시한다. 기이한 친족 도나 해러웨이 생태윤리 자연 퀴어
정동과 팬데믹 오귤희2021년 10월 17일조회 1.3K 팬데믹을 둘러싼 주류 담론들은, 1) 국민국가의 경계선을 토대로 하는 주권국가 중심의 통제 전략, 2) 인간중심주의적 세계 이해, 3) 신체에 대한 수동화 및 개체화, 4) 도구적 합리성의 언어(자연에 대한 과학적 통제, 통계와 예측을 통한 수량화에의 집착)의 득세, 5) 팬데믹을 기준으로 한 시간성의 단절과 그에 따른 노스텔지아의 낭만화 등으로 요약된다. 정동의 정치학은 이러한 주류 지배 담론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술이 될 수 있으며, 팬데믹의 상황 속에서 집단적 신체의 힘을 증대시켜 슬픔의 연결망을 기쁨의 연결망으로 전환시킬 단초를 제시할 수 있다. 기쁨 스피노자 연구공간L 정동 팬데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