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승철 2주기 추모(축)제 후기] 가까이서 만나 따뜻하고 자유로운 시간을 나누다new 이유진2025년 7월 11일조회 296 떠나간 누군가를 추모한다는 것은, 잊어서는 안 되는 누군가를 기리는 것이기도 하지만, 잊지 않겠다는 생각을 함께 하는 사람들이, 그 누군가를 떠나보낸 이후, 이전보다 더 나아져서, 잊지 않기 위한 앞으로의 모임들을 즐거운 만남의 장으로 만들어가려는 다짐이어야 할 것이다. 공생 나눔 성선설 신승철 추모 관련글 축제를 혼자 미완성으로 만들고 온 사람의 보고서- 故 신승철 소장 1주기 추모축제 참여 후기
[한국철학 조각모음] 복은 어디에서 오는가?new 이유진2025년 7월 3일조회 641 말의 의미가 변화되는 것은 계속 이어지고 반복되는 현상이다. 즉 말의 의미는 고정되어 있어야 할 것 같지만, 그렇지가 않으며, 오히려 가변적인 것이기에 그 말의 의미가 강화되는 경우도 있는 듯하다. 이러한 사정은 세상 사람들이 간절히 이루고 누리고자 하는 복이나 행복이라는 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인 듯하다. 동양철학 복덕 복전 해피니스 행복 관련글 [한국철학 조각모음] 오늘도 무사히, 별일 없이 산다 [한국철학 조각모음] 한국적 수양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철학 조각모음] 굿(Good)이란 무엇인가?
[한국철학 조각모음] 오늘도 무사히, 별일 없이 산다 이유진2025년 6월 18일조회 687 ‘무사하다’는 말과 ‘일없다’는 말은, 뜻이 같아야하는 것 같으면서도, 실제 사용에서는 다른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더 많은 듯하다. 이 말들을 보다 세심히 살펴보고, 이 말들이 지금 여기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여러 고민들과 어떻게 연관되어있는지 살펴본다. 노동 무사 일 장기하 한국철학 관련글 [한국철학 조각모음] 박혁거세 이야기로 읽는 자기객관화 [한국철학 조각모음] 한국적 수양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한국철학 조각모음] K컬처는 21세기 한국판 화이론인가?
[한국철학 조각모음] 박혁거세 이야기로 읽는 자기객관화 이유진2025년 6월 3일조회 683 역사적 상상력을 발휘하는 데 있어서, 비교는 대단히 유용한 수단 내지는 계기가 되어줄 수 있다. 이는 일상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비교는 자기객관화와도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또한 균형 잡힌 사고를 위하여 유용하다. 『삼국사기』의 첫 부분을 읽어보며 비교와 자기객관화에 관하여 고찰한다. 박혁거세 비교 삼국사기 자기객관화 한국철학 관련글 [한국철학 조각 모음] 대동(大同), 차이를 인정한 연대 [한국철학 조각모음] K컬처는 21세기 한국판 화이론인가? [한국철학 조각모음] 동인(東人), 주변이었기에 중심이 되다
[한국철학 조각모음] 한국적 수양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이유진2025년 5월 11일조회 1.2K 고대 그리스를 발원지로 하는 철학이 비판과 반성의 태도를 견지하여온 것에 대비되게, 한국사상을 이루는 다양한 흐름들은 수양과 깨달음을 핵심으로 한다고 볼 수 있다. 그 가운데 수양은, 깊은 산 속에 숨어 도를 닦는 것인 양 세간에 알려지기도 하였으나, 실제로는 참회와 도덕적 실천을 적극적으로 행하고 권하는 행위라는 주장도 있다. 사인여천 수양 인내천 적선 참회 관련글 [한국철학 조각 모음] 대동(大同), 차이를 인정한 연대 [한국철학 조각모음] K컬처는 21세기 한국판 화이론인가? [한국철학 조각모음] 동인(東人), 주변이었기에 중심이 되다
[한국철학 조각모음] K컬처는 21세기 한국판 화이론인가? 이유진2025년 5월 3일조회 862 “오직 한 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김구의 「나의 소원」의 한 구절이다. 이 말을 인용할 때 한국 사람들이 한국문화가 타문화에 비하여 우월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을 듯하다. 그러나, 의도하지 않았다 할지라도, 한국인들의 사고를 문화에 우·열이 있다는 사고관습에 머무르게 하는 역사가 있는 듯하다. 화이론을 통하여 그 역사를 알아본다. K컬처 가부장제 문화우열론 중화 화이론
[철학 조각모음] 굿(Good)이란 무엇인가? 이유진2025년 4월 18일조회 883 모든 단어와 가치기준들이 그러하듯, ‘Good‘도 다양한 의미로 해석해 온 말이다. 그런데 그 말이 어떤 의미로 통용되느냐에 따라 개개인에게 가해지는 사회적 압력이 달라졌다. 개인에 대한 적정한 사회적 압력을 모색하기 위하여, 그 단어의 다양한 의미를 살펴본다. 68운동 개인 도덕 반문화 영화
[한국철학 조각모음] 동인(東人), 주변이었기에 중심이 되다 이유진2025년 4월 3일조회 1.3K 동인(東人)이라는 말이 있다. 최치원의 글 속에 이 말이 보인다. 이 말은 어떤 사람들을 가리키는데, 그들은 지리적으로 한쪽 주변인 동쪽에 사는 사람들일 수밖에 없다. 최치원은 이 말을 사용하여 그 사람들의 자부심을 북돋으려 한 듯하다. 그와 같은 시도의 논리적 얼개를 알아본다. 고대 동인 신라 최치원 한국철학 관련글 [한국철학 조각모음] 화(化), 연대를 통해 모두 함께 더 나아짐 [한국철학 조각모음] 새로움이 가치인 세계의 명암 [한국철학 조각 모음] 대동(大同), 차이를 인정한 연대
[한국철학 조각 모음] 대동(大同), 차이를 인정한 연대 이유진2025년 3월 11일조회 899 대동은, 중국과 한국에서, 오랜 세월에 걸쳐, 정치적·사회적 변화에 따라 재정의되면서, 집권세력 내부에서의 정치적 관계의 매개가 되거나, 인민이 주도하는 변혁의 동력이 되었다. 그 과정을 살펴보면서, 지금 여기에서 대동을 어떻게 재정의하는 것이 적절할지 생각해 본 바도 제안하여 본다. 결사 대동 대동제 변혁 연대 관련글 [한국철학 조각모음] 새로움이 가치인 세계의 명암 [한국철학 조각모음] 화(化), 연대를 통해 모두 함께 더 나아짐
[한국철학 조각모음] 새로움이 가치인 세계의 명암 이유진2025년 3월 3일조회 1.2K 새로움 추구는 자본주의가 그럭저럭 굴러가게 하는 힘들 가운데 하나이다. 한국의 경우에는 고대에서부터 새로움 추구를 중시하는 역사를 이어온 듯하다. 그 결과, 자본주의 속에서 한국이 긍정적인 의미로 돋보일 때도 꽤 있다. 이럴수록 한국의 새로움 추구의 연원과 그늘을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가치 새로움 신라 역사 한국철학 관련글 [한국철학 조각모음] 화(化), 연대를 통해 모두 함께 더 나아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