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의 지역 순환, 소농을 키운다 초록주의2022년 12월 18일조회 608 농사를 돈을 벌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해서는 안 된다. 농부는 농업 금융화의 먹잇감이 될 뿐이다. 농부는 물론 농촌이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소농들끼리 지역화폐를 사용하는 자급자족형 마을을 만들어야 한다. 돈을 벌기 위한 농사가 아닌 행복해지기 위한 농사를 위해 우리는 지역 순환 공동체 경제를 만들어야 한다. 농업금융화 소농 자급자족 지역 지역화폐
기후화폐를 시작하며 – 기후위기 시대 다람쥐회의 도전과 혁신 홍승하2021년 11월 10일조회 1.5K 전 국민이 탄소감축을 위한 노력을 하고 하나의 통합된 마일리지 관리체계로 적립하여, 제로페이의 한 축으로 ‘기후화폐’를 장착하는 건 불가능한 일일까? 기후위기 시대를 대비해 다람쥐회가 기후화폐라는 새로운 도전에 나선다. 기후위기 기후화폐 다람쥐회 대안금융 지역화폐
문래예술가공부모임_〈지역화폐이야기〉(online) 생태적지혜2021년 6월 10일조회 752 〈지역화폐이야기〉에 관한 문래예술가공부모임이 2021년 5월 25일(화) 오후7시 온라인 ZOOM을 통해 진행되었다. 6월 22일(화) 오후7시로 예정된 다음 모임에서는 주요섭 생명사상연구회 대표를 모시고 〈생명운동사〉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참여 문의: 010.9칠44.칠칠56 공동체 문래동 증여 지역화폐 한밭레츠
다시, 마을로 초록주의2021년 5월 10일조회 1.0K 필요한 물건을 구입하기 위해서가 아닌 돈을 벌기 위한 장거리 유통체계는 값싼 화석연료에 의존하면서 생태계와 공동체를 파괴하는 등 많은 문제를 일으킨다. 이를 극복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기 위해서는 자급자족을 바탕으로 한 호혜의 지역순환경제가 필요하다. 생태적 삶 자급자족 지역순환경제 지역화폐 호혜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