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들의 탈성장 외침, 우리의 ‘안녕’과 관계의 풍요를 위하여 남미자2022년 4월 26일조회 939 얽혀있는 관계망 속에서 자신을 인식한다는 것은 현재의 내가 어떤 관계들에 의해 실존하고 있는가에 대한 답이다. 근대 인간이 배제하고 소외시킨 존재들과의 관계 맺기를 통한 자기제작의 과정은 자연과 노동의 착취를 토대로 가능했던 성장 이데올로기로부터의 탈출, 곧 탈성장을 존재론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관계망 교육 신유물론 얽힘 탈성장
마음생태모임_『트러블과 함께 하기』(online) 생태적지혜2022년 3월 18일조회 817 도나 해러웨이 저 『트러블과 함께 하기』(2021, 마농지)에 관한 마음생태모임이 2021년 3월 15일(화) 오전10시 온라인 ZOOM을 통해 진행되었다. 2022년 4월 18일(월)로 예정된 다음 모임에서는 이리가레의 『식물의 사유』(2020, 알렙출판사)를 읽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참여 문의: 010.9칠44.칠칠56 involution 순환성 얽힘 탈성장 전환사회 페미니즘
놀이에서 공간의 얽힘과 리좀 서풍2021년 10월 2일조회 3.2K 유치원 공간은 유아들이 궁금한 것을 시도하고, 실험하는 가운데 놀이와 의미로 채워지기를 기다리는 그릇이다. 유아에게 자유로운 공간이 허용된다면 유아는 공간에서 만나는 많은 신호들을 기호로 읽어내며 감응한다. 아이들의 놀이는 리좀을 닮았다. 유아와 공간이 함께 얽혀져 놀이가 되고 다시 얽혀지는 유아~공간~놀이의 얽힘은 유아의 삶이며 배움이 된다. 공간 놀이 리좀 배움 얽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