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하트의 Prison Time] ② 노출의 성스러움

이 글은 예일대출판부에서 정기발행하는 저널 『Yale French Studies』 1997년(No. 91)에 실린 마이클 하트의 「감옥의 시간(Prison Time)」에 대한 번역이다. 총 5회로 나누어 연재할 예정이다.

도둑질하는 동안 내 몸이 노출된다.
내 모든 몸짓마다 빛이 난다는 것을 나는 알고 있다.
세상이 내 모든 움직임에 주의를 기울인다. …

『도둑 일기』

주네에게 존재의 충만함은 그가 결코 다른 곳에서 본질을 찾지 않는다는 사실로 시작된다. 즉 존재는 오로지 그리고 직접적으로 우리의 실존에만 의거한다. 실존의 노출은 존재를 나타나게 하는 것이다. 이것이 주네의 변형적인 존재론적 기획을 이해하는 첫 번째 열쇠이다. 예컨대 절도의 주된 매력은 도둑이 행동하면 완전히 노출된다는 데에 있다. 주네의 도둑은 사회질서 안팎에서 지각되지 않은 채 슬며시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몸도 아니고, 자신이 세운 규칙에 세상이 강제로 복종하도록 만드는 주권적 범죄자도 아니다. 이렇게 도둑은 세상에 개방된 노출된 몸이다. 주네가 죄수들의 몸에서 이와 같은 노출을 발견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1 죄수들은 정말 혼자가 아니며, 항상 다른 수감자나 교도관과 접촉하도록 개방된다. 두 명의 죄수가 계단 통로를 엇갈려 지나면서 친밀한 순간을 공유할지 모르지만, 다른 수감자가 가로질러 가거나 교도관이 딴죽걸기까지는 오래 걸리지 않는다. 사실상 죄수는 감옥 자체로 노출되는데, 감옥이 벽‧문‧수감자‧교도관 등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유기체이기 때문이다. 도둑의 몸과 마찬가지로, 수감자의 몸도 세상에 개방되어 노출된다. 이러한 노출을 통해 신체들은 완전히 실현되고 그것들이 행하는 모든 몸짓에서 빛이 난다.

사실상 죄수는 감옥 자체로 노출되는데, 감옥이 벽‧문‧수감자‧교도관 등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유기체이기 때문이다. 
사진 출처 : Denx arman 
https://www.pexels.com/ko-kr/photo/shirtless-5546427/
사실상 죄수는 감옥 자체로 노출되는데, 감옥이 벽‧문‧수감자‧교도관 등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유기체이기 때문이다.
사진 출처 : Denx arman

주네의 노출은 부분적으로는 물질적 힘이 지닌 실재성의 수용, 숙명의 수용이다. 세상으로의 노출은 다른 곳에서 본질을 찾는 것이 아니라, 이 세상에서의 충만한 거주, 이 세상에 대한 믿음이다. 노출되지 않은 자는 내면세계, 즉 깊이와 심연을 가진 분리된 영역을 구축할 것이다. 그에 비해 노출은 모든 존재를 똑같이 표면 위에, 살(flesh)에 놓아둔다. 노출된 존재는 일의적(univocal)이다. 즉 존재는 늘 어디서나 같은 목소리로 말해진다. 그것은 자신 안에서는 차이나는 존재로 규정되지 않는다. 우리 자신을 사물의 힘에 노출할 때, 우리는 이러한 존재론적 조건, 즉 실존하는 존재의 내재성을 실현한다. 우리는 우리가 살고 있는 운명에 합류하고 그것의 강력한 흐름에 휩쓸린다. 여기서 우리는 “돌이킬 수 없는 우주”로 들어간다. “그것은 우리가 거기에 있었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한 가지 독특한 차이를 지닌다. 즉 우리는 행동하거나 우리가 행동하고 있다는 것을 아는 대신, 행동하게 된다는 것을 안다.”2 세상은 있는 그대로 있고, 사물들도 있는 그대로 있기에, 돌이킬 수 없는 것이다.3 사물들은 항상 그런 방식으로 있어왔지만, 지금은 그것들의 표면이 반짝이고 빛나는 것처럼 보인다. 돌이킬 수 없게 노출된 우리는 분리성, 우리 자신의 이탈(detachment)을 상실한다. 고정된 정체성들은 녹아내리고, 우리의 경계들은 해체되며, 그래서 우리는 세상의 일의적 표면으로 들어가 사물들의 힘에 합류한다. 노출은 일종의 숭고한 수동성이자 기쁜 비체화(abjection)이다. 비행 청소년들은 감호소(colony)에 합류하고, 수감자들은 감옥의 하나됨에 들어간다. 도둑의 몸짓은 세상의 통일성 안에서 반짝인다. 노출은 정확히 존재의 일의성과 특이성의 실현이자, 그 안으로의 우리의 동등하고 절대적인 몰입이나 참여이다.

노출은 주네가 신으로 가는 길의 첫걸음이다. 하지만 그는 왜 실존 안에서 존재의 내재성, 존재의 일의적 하나됨에 관한 존재론적 주장에 종교적 어휘의 짐을 씌우는가? 그것은 그저 고통을 야기했던 가톨릭교회에 대한 반작용적인 종류의 이단, 조롱, 복수인가? 일부는 사실일 수 있지만, 그러한 반작용적 몸짓은 결코 주네가 겪은 경험의 강도를 설명해주지 못한다. 주네가 신성함을 찾는 곳은 삶이 고조된 강도를 지는 곳, 형을 선고받은 곳, 세상이 반짝이는 것처럼 보이는 곳, 그 표면의 노출에서 존재의 하나됨이 빛을 발하는 곳이다. 신성함은 어떠한 내세나 초월론적 공간에도 숨겨져 있지 않으며 사물들의 표현에 내재하면서 노출되어 있다. “우리는 신의 힘인 사물들의 힘에 의해 나온 성인이다!”4 신의 힘은 다름 아닌 사물들의 힘, 실존의 물질적 표면이다. (스피노자가 말했듯이, ‘신 즉 자연’) 그러므로 성인다움은 정확히 사물들의 힘에서부터 나오는 우리의 개방성, 세상으로의 노출에 있다. 성인은 사물들의 힘에 관한 특정한 비체화, 수동적인 환경 수용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주네는 비체화를 신격화한다. 그러나 성인의 이러한 ‘비천한 몸’(abject body)은 단순히 사물의 힘에 종속되거나 지배되는 것으로 생각되어서는 안 된다. 그것을 분리된 것으로 생각할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성인의 살은, 그것이 띠는 개방성과 노출을 통해, 사물들의 힘에 스며들고 그와 함께 하나가 된다. 노출은 살의 신성함을 현실화한다. 성인의 실존은 늘 형을 선고받고 운명의 힘에 휩쓸린다. 주네는 이 성스러운 노출이 도둑의 몸짓에서, 유죄판결을 받은 비체의 몸에서, 그리고 사형을 선고받은 살인자들의 얼굴에서 가장 강렬하다는 것을 발견한다. 다만 이것들은 유일무이한 심급은 아니며, 대신에 그것들은 우리로 하여금 존재의 표면, 세계 전체를 가로질러 신을 인식하게 하는 사례이자 특이성이다. 그리고 이것은 역으로 주네의 화자들이 가진 감옥에 대한 신비한 사랑을 설명하도록 돕는다. “나는 나의 살로써 나의 감호소를 사랑했다…”5 이 사랑은 노출의 최후 기호이다. 성인의 살에서 본질(신의 힘)은 실존(사물들의 힘)과 완전하고도 되돌릴 수 없게 일치한다. 이러한 신적 일치는 몸을 빛나게 만든다. 바로 이것이 성인의 살이 늘 후광에 휩싸여 있는 이유이다.

이 노출은 그것이 분리성, 자기-점유, 개별 사물의 불연속성을 해소하고, 따라서 존재를 가로질러 절대적 연속성을 열어젖힌다는 의미에서 에로틱하다. 신체들은 운동과 정지 속에서 특정한 관계를 해체하고, 욕망들의 물질적 흐름의 지배하에서 다른 관계를 합성한다. 이러한 작용은 자아라는 감옥 및 그것의 고립을 극복한다. 아니 오히려 그것을 녹여버린다. 주네는 에로틱한 노출로 자기 자신을 상실한다. 더 정확히 말해 그의 경계들은 사물들의 힘이 지닌 신적 조류에 휩쓸려 흐름과 강도에 개방되는 문턱으로 변형된다. 주네는 신비주의자들의 오랜 전통과 함께, 에로틱한 노출로 신적 에너지를 드러낸다.

※이 글의 원문은 온라인으로 다운로드 가능하다. Michael Hardt, 「Prison Time」, Yale French Studies, No. 91, Yale University Press, 1997, pp. 64-79.


  1. “물론 일반적으로 수감자는 온전히 홀로 있는 경우가 없다. 그는 늘 [감시의] 시야 안에 혹은 누군가—동료 수감자일지라도—의 가청 범위 안에 있다. 철창을 벽으로 사용하는 감옥은 그러한 노출을 완전히 실현한다.” Goffman, ibid, p. 25. [한글본] 어빙 고프먼, 〈수용소〉, 40-41쪽.

  2. Genet, Our Lady of the Flowers, p. 246.

  3. “만회불가능하다는 것은 사물들이 이런저런 방식으로, 그저 있는 그대로 있으며, 어떤 치료도 없이 자신들의 존재방식에 맡겨져 있다는 점이다. 사물들의 상태는 그것들이 어떻든 간에, 슬프든, 행복하든, 끔찍하든, 축복받든 만회불가능하다. 당신이 어떻게 있는지, 세계가 어떻게 있는지—이것이 바로 만회불가능한 것이다.” Giorgio Agamben, The Coming Community, trans. Michael Hardt,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3, p. 90. [한글본] 조르조 아감벤, 〈도래하는 공동체〉, 이경진 옮김, 꾸리에, 2013, 124쪽.

  4. Genet, Miracle of the Rose, p. 264(translation modified). [한글본] 장 주네, 〈장미의 기적〉, 337쪽.

  5. Genet, Miracle of the Rose, p. 237. [한글본] 장 주네, 『장미의 기적』, 303쪽.

박성진

영문학을 전공했으며, 전공분야인 영문학에서는 낭만주의에, 비전공분야인 철학에서는 맑스주의와, 탈구조주의에 관심이 많다. 문학과 철학의 접목에 관심이 많다. 특히, 자연에 대한 철학적 통찰이 빗발쳤던 낭만주의 시대에 쓰인 시들을 좋아하고, 자연에 대한 아름다운 묘사와 상상력을 좋아한다.

이승준

형식적으로는 시간강사이자 독립연구자이며, 맑스주의자, 페미니스트, 자율주의 활동가 등등일 수 있다. 하지만 그보다는 특이체이자 공통체이면서, 풀과 바다이고, 동물이면서 기계이고, 괴물이고 마녀이며, 그래서 분노하면서도 사랑하고, 투쟁하고 기뻐하며 계속해서 모든 것으로 변신하는 생명체이고 싶다.

댓글

댓글 (댓글 정책 읽어보기)

*

*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맨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