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본 영케어러의 돌봄과정] ④ 연구참여자3의 돌봄 경험 조명아2023년 5월 18일조회 710 이전 글에서는 여섯 명의 영케어러들에 대한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이번부터는 본격적으로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본 영케어러의 돌봄과정’에 대한 세 번째 연구참여자의 돌봄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가족 돌봄 돌봄청소년 영케어러 정책
‘가족돌봄 청년’ 아젠다 확산을 위한 지역 활동가 간담회 조명아2023년 3월 11일조회 602 리빙랩(Living Lab)이란 시민의 문제를 시민이 해결해보자라는 게 주요한 기조라 할 수 있다. 리빙랩의 기조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가족돌봄 청년’ 문제를 지역사회에서 어떻게 해결할지 지역사회 활동가들이 모여 다양한 담론을 형성하였다. 가족 가족돌봄 청년 돌봄 영케어러 청년돌봄자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본 영 케어러의 돌봄과정] ③ 연구참여자2의 돌봄경험 조명아2023년 1월 11일조회 514 이전 글에서는 여섯 명의 영 케어러들에 대한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이번부터는 본격적으로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본 영 케어러의 돌봄과정’에 대한 두 번째 연구참여자의 돌봄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가족 돌봄 영 케어러 청년 청년 케어러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본 영 케어러의 돌봄과정] ② 연구참여자1의 돌봄경험 조명아2022년 10월 3일조회 866 이전 글에서는 여섯 명의 영 케어러들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이번부터는 본격적으로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본 영 케어러의 돌봄 과정’에 대한 첫 번째 연구참여자의 돌봄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가족 돌봄 사적 돌봄 영 케어러 정상성 관련글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본 영 케어러의 돌봄과정] ① 연구참여자 소개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본 영 케어러의 돌봄과정] ① 연구참여자 소개 조명아2022년 6월 18일조회 1.3K 이 연구는 학술적인 관점에서 영 케어러들에 대한 돌봄과정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이번에는 영 케어러의 돌봄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표집한 6명의 참여자들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다. 가족 돌봄 영 케어러 청년 청년 케어러
일본의 사례를 통해 본 한국의 영 케어러(young carer) 지원정책에 대한 제언 조명아2022년 3월 11일조회 4.6K 정부의 영 케어러 첫 지원정책 발표에 맞추어 조금 더 세부적으로 영 케어러에 대한 정의와 역할을 밝히고, 일본의 지원정책을 소개하면서 이번에 시행될 영 케어러 지원정책에 대한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가족 돌봄 영 케어러 청년 청년 케어러
교차성(intersectionality)과 돌봄, 그리고 영 케어러 조명아2021년 10월 17일조회 6.6K ‘돌봄자’도 교차성 개념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다. 돌봄 수행자들의 정체성이 단일하지 않기 때문에 돌봄은 수행자와 수혜자 모두의 자원, 재능, 권력 및 지위에 의존하며 매우 다양한 조건 속에서 수행된다. 돌봄자의 젠더, 가족적 위치와 역할, 연령, 계층 등이 어떻게 교차하며 돌봄을 수행하는지 탐구할 필요가 있다. 가족돌봄 교차성 돌봄 영 케어러 젠더
돌봄의 여성편중 문제와 남성참여를 위한 제안 조명아2021년 7월 17일조회 1.3K 현재까지 한국사회에서 활발하게 논의되지 않은 남성 돌봄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남성 돌봄자가 불가피하게 등장할 수밖에 없는 사회구조를 제시하고, 남성 돌봄자의 돌봄 특성을 정리하였다. 남성 돌봄자 노인 돌봄 돌봄 돌봄 노동 젠더
소년소녀가장이 아닌 영 케어러, 효자효녀가 아닌 돌봄자 조명아2021년 5월 25일조회 4.1K 영 케어러(young carer)는 만성적인 질병이나 장애, 정신적인 문제나 알콜·약물의존을 가진 가족 등을 돌보고 있는 18세 미만의 아동 또는 젊은 사람을 가리킨다. 본고는 이전과는 다른 돌봄 관점을 통해 어린 혹은 젊은 가족 구성원이 주 돌봄자가 된 현재가 이후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함께 의논해보고자 한다. 가족 돌봄 돌봄자 영 케어러 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