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력의 위기, ‘상상력’을 찾아서 최정훈2022년 4월 10일조회 1.1K ‘상상력의 위기를 극복하는 자신만의 해법’을 소개해달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처음 3초간은 설렜으나 그 후로는 오랫동안 좌절했다. 상상력이 풍부하지 않은 나는, 하루하루가 상상력의 위기다. 요새는 스마트폰에 빠져 살고 있어서 그 위기가 더욱 고조되고 있다. 이 글은 상상력 위기를 벗어날 ‘해법’이라기보다는 나의 위기 상황에서의 ‘상상력’에 가까운 글이다. 공감 상상력 스마트폰 아이디어 해법
멈출 수 없는 탈핵 운동 -『체르노빌의 목소리』를 읽고 최정훈2021년 10월 2일조회 1.4K 체르노빌도, 후쿠시마도, 핵 발전소 사고는 아직 진행 중이다. 사고로 누출된 방사성 물질들은 지구 생태계에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더 많은 방사성 물질들이 누출될지 모르는 위험 속에서 살고 있다. 우리는 재난과 재앙을 피할 수 있는 길을 선택할 수 있고, 그 선택을 주저해서는 안 된다. 재난 체르노빌 체르노빌의 목소리 탈핵 탈핵운동
완벽한 공동체 어디 없나요? 최정훈2021년 6월 25일조회 1.4K ‘피스오브피스’라는 작은 공동체에서 활동을 하면서 공동체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을 때, 오르빌에서 거주했던 대구대 김용휘 교수를 온라인으로 만나게 되었다. 과연 완벽한 공동체란 존재할 수 있을까? 공동체는 완성형일까, 아니면 끊임없는 과정형일까? 공동체 과정형 오르빌 자율 피스오브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