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 조각모음] ⑭ 도덕적 정당화new 이유진2025년 11월 26일조회 42 선의(善意)를 발휘하려는 노력에 대하여 위선(僞善)이라고 하면서 냉소를 보내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 사람들 가운데 더 극단적인 사람은 차라리 위악(僞惡)이 위선보다 나으며 솔직해서 멋있다고 하기까지 한다. 그렇지만 선의가 더 나은 세상을 만든다는 믿음 또한 쉽게 무뎌지지 않는다. 역사서에서 도덕적 정당화의 사례를 찾아보면서 그것을 통하여 선의가 가진 순기능에 관하여 생각해 본다. 냉소 도덕적 정당화 선의 위선 위악 관련글 [동양철학 조각모음] ⑬ 입장(立場)은 어떻게 윤리적 판단이 되는가 [동양철학 조각모음] ⑫ 공부(工夫)와 쿵푸(功夫/Kung-fu)
[동양철학 조각모음] ⑬ 입장(立場)은 어떻게 윤리적 판단이 되는가new 이유진2025년 11월 18일조회 419 별 것 아닌 것 같아도, 입장 차를 인정한다는 것이 쉽지 않을 때가 있다. 인정 이전에 누군가의 입장을 파악한다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닐 경우가 많다. 만약 역사 읽기가 입장 파악과 인정의 훈련이 될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역사 공부는 가치있는 일이 될 듯하다. 동양철학 선택 역사 윤리 입장 관련글 [동양철학 조각모음] ⑩ 모꼬지 노래, 그리고 일 [동양철학 조각모음] ⑪ 연대 범위 넓히기 문제와 맞닥뜨린 서(恕) [동양철학 조각모음] ⑫ 공부(工夫)와 쿵푸(功夫/Kung-fu)
[동양철학 조각모음] ⑫ 공부(工夫)와 쿵푸(功夫/Kung-fu) 이유진2025년 10월 11일조회 790 생이 20세기 후반에 조금이라도 걸쳐있는 사람이라면 쿵푸라는 말을 들어보기는 하였을 것이다. 그것을 소재로 한 영화들은 좀처럼 예술적으로 고평가를 받지는 못하였지만, 쿵푸는 곧 공부(功夫)이며, 이는 공자나 주희 같은 사상가들이 중시하였던 수양(修養) 그리고 공부(工夫)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개념이다. 이 개념들에 대하여 살펴본다. 공부 권선징악 수양 영화 중국 관련글 [동양철학 조각모음] ⑨ 다시 만난 노래, 다시 만난 세계 [동양철학 조각모음] ⑩ 모꼬지 노래, 그리고 일 [동양철학 조각모음] ⑪ 연대 범위 넓히기 문제와 맞닥뜨린 서(恕)
[동양철학 조각모음] ⑪ 연대 범위 넓히기 문제와 맞닥뜨린 서(恕) 이유진2025년 9월 18일조회 651 기소불욕 물시어인(己所不欲 勿施於人), 역지사지(易地思之), 추기급인(推己及人), 극기복례(克己復禮) 등등 오랜 세월 동안 사람들에게 일상의 지침이 되어주던 말들이 세계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이전과 다르게 자리매김될 듯하다. 서(恕) 개념을 통하여 이런 변화에 대처하는 데 있어서 짚어보아야 할 지점들을 살펴본다. 극기복례 연대 용서 증강 휴머노이드 관련글 [동양철학 조각모음] ⑩ 모꼬지 노래, 그리고 일 [동양철학 조각모음] ⑨ 다시 만난 노래, 다시 만난 세계 [동양철학 조각모음] ⑧ 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동양철학 조각모음] ⑩ 모꼬지 노래, 그리고 일 이유진2025년 9월 3일조회 931 『삼국사기』 「신라본기」 ‘유리(儒理) 이사금(尼師今)’에는 모꼬지와 노래가 주된 이야기들 가운데 하나로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길지 않은 그 기사를 되풀이해 읽다보면, 일에 관한 이야기, 특히 왕명에 따라 행한 여자의 고된 일에 관한 이야기가 보인다. 그 이야기들이 얽히면서 빚어낼 수 있는 다양한 상상과 추론을 펼쳐본다. 가배 길쌈 노래 모꼬지 회소 관련글 [동양철학 조각모음] ⑦ 오늘도 무사히, 별일 없이 산다 [동양철학 조각모음] ⑧ 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동양철학 조각모음] ⑨ 다시 만난 노래, 다시 만난 세계
[동양철학 조각모음] ⑨ 다시 만난 노래, 다시 만난 세계 이유진2025년 8월 11일조회 931 아이돌 그룹 소녀시대의 〈다시 만난 세계〉는, 어쩌면 최근 200년간 일어난 전지구적으로 가장 극적인, 정치적 변화의 중심에 있었던 노래로 재발견되는 영광을 누렸다. 모든 노래는 두 얼굴 아니 여러 얼굴을 가진다. 먼 과거의 잔재들 속에서도 그런 노래를 찾아낼 수 있다면, 역사 인식은 더 깊고 의미 있어질 것이다. 노래 도솔가 삼국유사 정치 지배이데올로기 관련글 [동양철학 조각모음] ⑥ 박혁거세 이야기로 읽는 자기객관화 [동양철학 조각모음] ⑦ 오늘도 무사히, 별일 없이 산다 [동양철학 조각모음] ⑧ 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철학 조각모음] ② 물(物)과 아(我) 그리고 세계 이유진2025년 8월 3일조회 1.3K 몸과 마음, 물질과 정신, 과학과 도덕, 기술과 정치 심지어 문과와 이과를 나눠 생각하는 것은 널리 그리고 쉽게 받아들여지는 버릇[아비투스(Habitus)]이다. 이러한 버릇에 젖어 사는 것이 비난받은 일은 아니고 일상을 편하게 하여주기도 하지만, 때로는 이러한 버릇을 둘러싼 갈등이 질투·원한·열등감 등이 뒤섞인 복잡한 감정[르상티망(Ressentiment)]을 빚어내기도 한다. 이런 버릇과 그것이 유발한 복잡한 감정에 가려졌던 오래된 개념 하나를 살펴보면서 오늘날에 유익할 수 있는 시사점을 찾아본다. 과학 사물 이원론 철학 학술
[신승철 2주기 추모(축)제 후기] 가까이서 만나 따뜻하고 자유로운 시간을 나누다 이유진2025년 7월 11일조회 1.4K 떠나간 누군가를 추모한다는 것은, 잊어서는 안 되는 누군가를 기리는 것이기도 하지만, 잊지 않겠다는 생각을 함께 하는 사람들이, 그 누군가를 떠나보낸 이후, 이전보다 더 나아져서, 잊지 않기 위한 앞으로의 모임들을 즐거운 만남의 장으로 만들어가려는 다짐이어야 할 것이다. 공생 나눔 성선설 신승철 추모 관련글 축제를 혼자 미완성으로 만들고 온 사람의 보고서- 故 신승철 소장 1주기 추모축제 참여 후기
[동양철학 조각모음] ⑧ 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이유진2025년 7월 3일조회 1.3K 말의 의미가 변화되는 것은 계속 이어지고 반복되는 현상이다. 즉 말의 의미는 고정되어 있어야 할 것 같지만, 그렇지가 않으며, 오히려 가변적인 것이기에 그 말의 의미가 강화되는 경우도 있는 듯하다. 이러한 사정은 세상 사람들이 간절히 이루고 누리고자 하는 복이나 행복이라는 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인 듯하다. 동양철학 복덕 복전 해피니스 행복 관련글 [동양철학 조각모음] ⑦ 오늘도 무사히, 별일 없이 산다 [동양철학 조각모음] ⑤ 한국적 수양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철학 조각모음] ① 굿(Good)이란 무엇인가?
[동양철학 조각모음] ⑦ 오늘도 무사히, 별일 없이 산다 이유진2025년 6월 18일조회 931 ‘무사하다’는 말과 ‘일없다’는 말은, 뜻이 같아야하는 것 같으면서도, 실제 사용에서는 다른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더 많은 듯하다. 이 말들을 보다 세심히 살펴보고, 이 말들이 지금 여기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여러 고민들과 어떻게 연관되어있는지 살펴본다. 노동 무사 일 장기하 한국철학 관련글 [동양철학 조각모음] ⑥ 박혁거세 이야기로 읽는 자기객관화 [동양철학 조각모음] ⑤ 한국적 수양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동양철학 조각모음] ④ K컬처는 21세기 한국판 화이론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