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평등의 재구성 -『쌀 재난 국가』를 읽고

『쌀 재난 국가』의 저자는 우리 사회가 불평등을 어떻게 인식하게 되었으며 실제로 불평등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다루면서, 문화적 차원에서 불평등이 구조화되는 과정을 ‘먹거리’에 근거하여 검토하였다. 즉 우리의 먹거리 주식인 ‘쌀’ 생산을 위해서는 반복되는 ‘재난’을 개개인이 아니라 ‘국가’ 주도로 극복해야만 하는 과정에 불평등 구조가 내재했었다고 보았다.

다람쥐회 대안경제모임_『세계사의 구조』 2회(online)

가라타니 고진 『세계사의 구조』(2012, b)에 관한 대안경제모임이 2021년 12월 7일(월) 오후6시 온라인 ZOOM을 통해 진행되었다. 2022년 1월 5일(수)로 예정된 다음 모임에서도 『세계사의 구조』(2012, b)를 이어서 읽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참여 문의: 010.9칠44.칠칠56

역사와 정치 세미나(8월 모임후기)

연구공간L 주최로 〈역사와 정치 세미나〉가 새롭게 시작되었다. 이 세미나에서는 첫번째 책인 에릭 홉스봄의 『자본의 시대』를 가지고 2021년 8월 한달간 매주 일요일마다 오후2시 온/오프라인을 통해 진행되었다. 9월 모임에서도 『자본의 시대』를 이어서 읽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참여 문의: 010.2716.0746

[류하의 사유정원]⓶국가 그리고 자율적 공동체

인류는 정착이 시작되고도 4천여 년 이상을 국가 없이 부분적 정착농업, 수렵채취, 화전, 유목 등을 통해 생계를 이어가는 자율적 공동체의 삶을 살았다. 자율성은 국가를 비롯한 어떠한 권력도 사람과 공동체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생명 그 자체의 내재율이다. 이는 생명이 우주적 신령스러움에 기반하여 탄생하고 소멸하며 지속한다는 우주적 본성에 기초한 것이다. 이에 비해 국가를 비롯한 권력이 지배하는 현대문명은 외재율(外在律)의 문명이며, 이 문명을 넘어서고자 하는 사람들과 공동체적 삶은 국가권력을 비롯한 권력에 저항하거나 탈주를 모색하는 탈근대문명이다. 이는 내재율에 기초한 자율성의 문명이며 자각과 배움을 통한 공진화(共進化)의 길이다.

맨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