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사회를 위한 새로운 생활방식 – 『마음을 연결하는 집』을 읽고

이웃 간에 현관문을 열고 살던 일상, 서로의 반찬이 오고 가던 정겨운 사회, 지금의 우리는 어떻게 살고 있나? 우리의 지역사회는 이기적으로 변해가고 있다. 현재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공동체이다. 이웃과 더불어 살고 상부상조하는 공동체 마을, 미래사회를 위한 새로운 생활방식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자.

마음을 연결하는 집 - 더불어 사는 공동체, 지역사회편
마음을 연결하는 집 – 더불어 사는 공동체, 지역사회편

자신의 집을 선택하는 데 있어 사생활 보호와 보안이 중요해진 요즘, 판교의 테라스하우스와 강남의 보금자리단지를 설계한 일본인 건축가 ‘야마모토 리켄’이 쓴 책이 눈길을 끌었다. 우리에게 있어서 주택은 더 이상 삶의 보금자리가 아닌 하나쯤 가지고 있어야 하는 상품으로 전락해버렸다. 상품의 값어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보호와 보안, 그리고 방음 등 개인의 사생활을 보장받고 싶어 하는 요소이다. 하지만, 주택 내부의 사생활을 소중하게 여길수록 외부와의 관계가 희박해지고 관계를 소중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최근 논란이 되었던 ‘구리시 아파트단지 택배배달 거부’ 같은 이슈를 예로 들 수 있다.

우리는 공동체로 살아갈 수밖에 없는 필연적 관계이다. 공동체의 의미가 변해가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공동체를 잊고 살아가는 것인지 앞으로 우리가 살아가야 할 미래사회를 위해서 ‘공동체’를 다시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더불어 사는 공동체 : 지역사회권 『마음을 연결하는 집』

‘야마모토 리켄’은 『마음을 연결하는 집』(안그라픽스, 2014)를 통해 내 집의 빗장을 풀고 이웃과 더불어 사는 집, 상부상조하는 공동체 마을, 미래사회를 위한 새로운 생활방식인 ‘지역사회권’을 제안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아직 아무도 경험해보지 못한 ‘지역사회권’을 어떤 체계로 만들어 나갈 것인지,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 상세한 계획과 다양한 관점으로부터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논의를 다루고 있다.

※ 참고 : 지역사회권 모형도 – 출처: Riken Yamamoto 홈페이지

‘1가구 1주택 시스템의 반대인 지역사회권’ 체계

내 집의 빗장을 풀고 이웃과 더불어 사는 집, 상부상조하는 공동체 마을, 미래사회를 위한 새로운 생활방식인 '지역사회권'을 만들어보는 건 어떨까? by Jeffrey Czum  출처 : https://www.pexels.com/ko-kr/photo/2439595/
내 집의 빗장을 풀고 이웃과 더불어 사는 집, 상부상조하는 공동체 마을, 미래사회를 위한 새로운 생활방식인 ‘지역사회권’을 만들어보는 건 어떨까?
사진 출처 : Jeffrey Czum
  1. 가구1주택이 표준가족을 전제로 공급되는 것이라면, 지역사회권은 반드시 가족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
  2. 가구1주택이 사생활과 보안을 중심원칙으로 공급되는 데 반해 지역사회권에서는 그곳에서 생활하는 사람들 전체의 상호관계를 중심원리로 삼는다.
  3. 1주택이 주변 환경, 주변 지역 사회에 대한 무관심으로 성립된다면 지역사회권은 주변환경과 함께 계획된다.
  4. 가구1주택은 궁극적인 소비단위다. 그것을 전제로 국가적인 성장경제전략이 성립된다. 지역사회권은 단순한 소비단위가 아니다. 지역 내부에서 작은 경제권이 성립될 수 있게 계획한다.
  5. 가구1주택에 공급되는 에너지는 모두 외부로부터 온다. 따라서 주택은 단순히 에너지소비단위에 해당한다. 지역사회권은 그곳에서 에너지를 생산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한다. 따라서 단순한 소비단위가 아니다.
  6. 1가구 1주택을 전제로 삼는다. 공공교통이나 자가용이 그것이다. 지역사회권에서는 그 중간적인 교통기반시설을 구축한다.
  7. , 건강보험, 연금제도 같은 사회보장제도는 1가구1주택의 자조노력을 전제로 성립한다. 하지만 1가구1주택의 붕괴와 함께 막대한 사회보장비용이 필요해졌다. 지역사회권에서는 그것을 보완할 수 있게 전체적인 상부상조를 생각한다.
  8. . 분양을 통해 민간주택업자가 이윤을 올리는 현재의 공급시스템은 근본적으로 잘못되었다. 그것은 주택정책이라는 이름을 빌린 경제정책이다.
  9. 75~80퍼센트 정도다. 전용면적으로 가격이 결정되므로 가능하면 공용면적을 줄여 전용면적을 넓히려 한다. 지역사회권의 전용면적은 60퍼센트 정도다. 전용면적과 공용면적 비율을 바꾼다. 그렇게 함으로써 전용면적과 공용면적이라는 의식자체가 바뀐다.
  10. 가구1주택의 각 주택은 외부에 대해 매우 폐쇄적이다. 지역사회권의 주택에는 외부를 향한 개방공간이 마련된다.

– 「마음을 연결하는 집」 본문 26~29쪽

■’지역사회권’ 운영 방식

  1. 시설공유 : 작은 전용부분과 그것을 보완하는 커다란 공용부분으로 구성된다. 각 시설마다 다른 집단이 형성되기 때문에 주민들은 항상 다른 집단과 관계를 맺는다.
  2. 용적임대 : 면적이 아닌 용적단위로 빌리기 때문에 같은 임대가격으로도 천장이 높은 집이나 바닥 면적이 넓은 집 등 다양한 형태의 집을 임대할 수 있다.
  3. 지역 내 일자리 : 자신의 집에 반드시 개방공간이 있기 때문에 이곳을 이용해서 물건이나 음식을 판매하는 등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4. 생활편의시설 : 국민 부담을 증가시키거나 서비스를 제외하는 방식이 아니라 지역에서 서로가 서로를 돋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5. 에너지 절약과 쾌적한 환경 : 집의 절반을 옥외의 공용부분과 연결하는 방법으로 각 집에 바람의 흐름과 전체적인 통풍을 확보한다. 크고 작은 광장을 둘러싼 형태로 바람을 끌어들이고 건물 상부를 흐르는 바람과의 압력 차이를 이용해 바람이 수직공간을 빠져나가는 구조로 만든다.
  6. 조립식 주택 : 프레임과 패널을 조합하는 방식을 통해 작은 침실 공간에서부터 커다란 체육관 공간까지 자유롭게 만들 수 있다.
  7. 공동이동수단 : 장거리나 중거리 이동은 전철이나 버스 등 공공교통을 이용하고 자동차는 주민들이 함께 사용함으로써 유지관리비용이나 주차장을 줄인다. 거주지역 내에서는 공동이동수단을 이용한다.

-「마음을 연결하는 집」 본문 60~73쪽

이 책을 통해 아직 아무도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생활방식을 경험해볼 수 있고 우리에게 ‘공동체’는 누구를 위한 것인지 앞으로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 생각해볼 수 있다.

박상현

안녕하세요. 공간기획자를 꿈꾸고 있는 청년 박상현입니다.
건축을 전공하여 스토리텔링을 통해 공간을 공감하고, 다양한 경험을 해볼 수 있는 기획을 하고 있습니다. 공간을 기반으로 한 문화기획부터 콘텐츠기획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 중입니다.


맨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