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턱대고 비건] ⑨ 닭 죽이기new 김이중2025년 7월 26일조회 233 고통을 느끼는 존재를 직접 죽이는 것, 그에 따른 책임을 느껴보고 싶다는 이유로 닭을 죽이는 것은 과연 합리화가 가능한 일일까요? 그에 관한 고민을 썼습니다. 고통 닭 동물권 비건 존재 관련글 [무턱대고 비건] ⑥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느타리버섯(전편) [무턱대고 비건] ⑦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느타리버섯(후편) [무턱대고 비건] ⑧ 고래와 종차별주의
[무턱대고 비건] ⑧ 고래와 종차별주의new 김이중2025년 7월 18일조회 643 고래를 좋아하는 친구와 대화를 나눴습니다. 그는 고래를 아끼면서도, 고래와 비슷한 인지 능력을 가진 다른 동물은 먹고 있다는 점에서 모순을 느꼈습니다. 이 대화로 저는 종차별주의에 관해 생각했습니다. 돌고래 동물권 비건 생명 종차별주의 관련글 [무턱대고 비건] ⑤ 비건과 돌봄 [무턱대고 비건] ⑥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느타리버섯(전편) [무턱대고 비건] ⑦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느타리버섯(후편)
우리가 숨기고 싶어 하는 진실 – 낙농업 유제품과 동물권 홍순용2024년 8월 11일조회 1.9K 이스라엘 와이즈만과학연구소에 따르면 포유류의 60%는 가축이며, 한 해 700억 마리가 넘는 가축이 인간의 단백질 공급원으로 희생되고 있다고 한다. 특히 낙농업은 인권과 동물권이 걸린 광대한 생태계다. 낙농업이 처한 오늘날의 문제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알아보자 ESG 낙농업 동물권 동물복지 지속가능성
[지금 여기 가까이] ⑬ 먹는다는 것은 무엇일까? 故신승철2023년 9월 3일조회 1.3K [지금 여기 가까이] 시리즈는 단행본 『저성장 시대의 행복사회』(삼인, 2017)의 내용을 나누어 연재하고 있다. ‘저성장을 넘어 탈성장을 바라보는 시대에, 가난하고 평범한 사람들은 어떻게 행복해질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지금, 여기, 가까이’에서 찾고자 하는 이야기다. 공장식축산 동물권 생명 생활 채식 관련글 [지금 여기 가까이] ⑩ 성공주의밖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을까? [지금 여기 가까이] ⑪ 무한 속도를 즐기면 어떤 일이 생길까? [지금 여기 가까이] ⑫ 작은 행복은 어디에 있을까?
[생태사상가]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론과 가장자리 상황논증 故신승철2023년 4월 18일조회 15.8K 피터 싱어는 모든 고통을 느낄 수 있는 존재는 생명권을 인간과 동등하게 가진다고 말한다. 인간은 동물을 단지 도구로 이해한다. 동물실험과 공장식 축산과 같이 동물의 고통으로부터 혜택을 보고 있다. 하지만 이 문명은 결국 인간이 인간을 도구로 취급하고 만다. 따라서 채식주의와 종차별주의 극복을 바탕으로 하는 동물해방이 인간해방의 전제조건이다. 가장자리논증 동물권 생명 생태사상가 피터싱어
당신이 아픈 이유 – 함께 건강(원 헬스, One-Health)에 대하여 박기헌2022년 12월 11일조회 1.7K 동물, 인간, 에코시스템 모두의 건강, 특히 인간과 야생동물의 접점을 살피는 것은 ‘원 헬스(One health)’의 중요한 역할이다. 서식지 파괴가 야생동물에게 주는 영향 그리고 그것이 인류에게까지 어떠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는지 알아본다. 건강 동물권 야생동물 원헬스 환경
기후‘정의’에는 인간만 포함되나요? – 동물해방이라는 가능 세계 랑2022년 8월 3일조회 2.9K 동물권 활동가로서 기후정의운동을 하며 느꼈던 감정들을 글로 풀어 보았습니다. ‘기후정의운동’ 이라는 거대한 연대의 테이블에서 인간동물뿐 아니라 비인간동물의 정의가 함께 이야기될 때 우리의 상상력이 얼마나 확장될 수 있는지 함께 생각해보면 좋겠습니다. 교차성 기후정의 동물권 동물정의 연대
동물원이 아닙니다, 감옥입니다 김캐롤2022년 5월 26일조회 5.3K 프릭쇼와 동물원을 비교하며, 동물원의 비윤리성을 따져 보았다. 동물원은 존재해야 하는가? 우리는 그들을 구경할 권리가 있는가? 대상화 동물권 동물원 비거니즘 윤리성
어떤 옷인지가 곧 환경이다 김캐롤2022년 3월 11일조회 2.9K 일상에서 비건을 실천하고 싶나요? 비건은 단순히 채식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동물 착취가 없으면서도 환경을 파괴하지 않는 의생활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동물권 미세 플라스틱 비건 에코워싱 옷
나는 어떻게 비건이 되었나? 김캐롤2022년 3월 3일조회 948 육식정상성 사회에서 살아온 청소년이 어떻게 비건을 다짐했는지, 실천에는 어떤 어려움이 있었는지 기억을 되짚어 보았습니다. 이 글을 읽는 당신이 다음 끼니에는 동물의 죽음을 먹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그렇게 점점 변하기를 바랍니다. 동물권 비건 채식 채식급식권 청소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