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조각모음] 굿(Good)이란 무엇인가?new 이유진2025년 4월 18일조회 531 모든 단어와 가치기준들이 그러하듯, ‘Good‘도 다양한 의미로 해석해 온 말이다. 그런데 그 말이 어떤 의미로 통용되느냐에 따라 개개인에게 가해지는 사회적 압력이 달라졌다. 개인에 대한 적정한 사회적 압력을 모색하기 위하여, 그 단어의 다양한 의미를 살펴본다. 68운동 개인 도덕 반문화 영화
‘죽임의 경제 모델’ 끌어내리기 희음2025년 4월 3일조회 1.4K 『이 세계의 식탁을 차리는 이는 누구인가』는 산업농 시스템이 초래한 ‘죽음의 경제 모델’을 비판하며, 사회적 책임에 대해 묻고 있다. 기업들의 이윤 추구가 인간과 자연에 미친 피해를 고발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작은 실천과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녹색혁명 보팔 참사 사회적 책임 생물 다양성 죽임의 경제
[한국철학 조각모음] 동인(東人), 주변이었기에 중심이 되다 이유진2025년 4월 3일조회 1.1K 동인(東人)이라는 말이 있다. 최치원의 글 속에 이 말이 보인다. 이 말은 어떤 사람들을 가리키는데, 그들은 지리적으로 한쪽 주변인 동쪽에 사는 사람들일 수밖에 없다. 최치원은 이 말을 사용하여 그 사람들의 자부심을 북돋으려 한 듯하다. 그와 같은 시도의 논리적 얼개를 알아본다. 고대 동인 신라 최치원 한국철학 관련글 [한국철학 조각모음] 화(化), 연대를 통해 모두 함께 더 나아짐 [한국철학 조각모음] 새로움이 가치인 세계의 명암 [한국철학 조각 모음] 대동(大同), 차이를 인정한 연대
더 늦지 않게 서로를 구하기 위해 희음2025년 3월 26일조회 1.2K 비폭력 저항은 단순한 도덕적 선택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도 효과적인 전략임을 강조한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같은 상황에서도, 무장 저항보다 비무장 투쟁이 장기적으로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주장하며, 폭력의 순환을 끊기 위한 급진적인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군사주의와 폭력에 의존하지 않는 저항과 연대를 통해, 보다 지속가능한 평화의 가능성을 탐색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군사주의 비폭력 연대 전쟁 평화
기후 위기 세상에서 탈출구 찾기 – 『폭염 살인』을 읽고 이환성2025년 3월 26일조회 460 제프 구델은 이 책을 통해 ‘폭염’을 ‘눈에 보이지 않는 살인자’라고 정의하며, 이제라도 우리가 폭염의 위험성에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경고한다. 더위는 이제 단순히 환경 문제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불평등과 부정의라는 깊은 균열을 만들기에 절대로 가볍게 보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기후위기 불평등 인권 자연재해 폭염
[한국철학 조각 모음] 대동(大同), 차이를 인정한 연대 이유진2025년 3월 11일조회 789 대동은, 중국과 한국에서, 오랜 세월에 걸쳐, 정치적·사회적 변화에 따라 재정의되면서, 집권세력 내부에서의 정치적 관계의 매개가 되거나, 인민이 주도하는 변혁의 동력이 되었다. 그 과정을 살펴보면서, 지금 여기에서 대동을 어떻게 재정의하는 것이 적절할지 생각해 본 바도 제안하여 본다. 결사 대동 대동제 변혁 연대 관련글 [한국철학 조각모음] 새로움이 가치인 세계의 명암 [한국철학 조각모음] 화(化), 연대를 통해 모두 함께 더 나아짐
[한국철학 조각모음] 새로움이 가치인 세계의 명암 이유진2025년 3월 3일조회 1.1K 새로움 추구는 자본주의가 그럭저럭 굴러가게 하는 힘들 가운데 하나이다. 한국의 경우에는 고대에서부터 새로움 추구를 중시하는 역사를 이어온 듯하다. 그 결과, 자본주의 속에서 한국이 긍정적인 의미로 돋보일 때도 꽤 있다. 이럴수록 한국의 새로움 추구의 연원과 그늘을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가치 새로움 신라 역사 한국철학 관련글 [한국철학 조각모음] 화(化), 연대를 통해 모두 함께 더 나아짐
불평등의 재구성 -『쌀 재난 국가』를 읽고 이환성2025년 2월 26일조회 974 『쌀 재난 국가』의 저자는 우리 사회가 불평등을 어떻게 인식하게 되었으며 실제로 불평등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다루면서, 문화적 차원에서 불평등이 구조화되는 과정을 ‘먹거리’에 근거하여 검토하였다. 즉 우리의 먹거리 주식인 ‘쌀’ 생산을 위해서는 반복되는 ‘재난’을 개개인이 아니라 ‘국가’ 주도로 극복해야만 하는 과정에 불평등 구조가 내재했었다고 보았다. 국가 먹거리 불평등 식량 재난
《콘크리트 유토피아》, 두 겹의 대한민국 × 두 가지 가능성 조원식2025년 2월 26일조회 975 한국사회의 새로운 주체인 백래시 홍위병들의 행위자성을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와 그에 대한 반응을 통해 확인하고, 이들의 재교육 가능성에 대해 묻는다. 백래시 홍위병 심층적응 재난공동체 콘크리트 유토피아 포스트 아포칼립스
[한국철학 조각모음] 화(化), 연대를 통해 모두 함께 더 나아짐 이유진2025년 2월 18일조회 1.0K 오래 전 한국 사람들의 생각들은, 그들이 아직 문자를 사용하지 않았던 시절부터 지금까지, 변형을 겪으며 이어져오거나 소멸되었을 것이다. 그 생각들은 지금 여기의 한국 사람들에게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그 생각들을 한글과 여러 문자로 된 기록들 속에서 추려내서 다각적으로 검토하는 것은 지금 여기의 한국 사람들의 생각을 한 겹이나마 더 섬세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삼국사기 신라 풍류 한국철학 화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