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힘을 빌려 신이 된다는 것- 〈바람운과 고산국(서귀본향당본풀이)〉 독후기

신화가 오롯이 신들의 이야기라 할지라도, 신화는 오랫동안 사람들의 삶의 문제를 풀어나가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그럼에도, 때로 사람들은 신화에 압도되고, 이에 따라 삶의 도구가 되어야 할 것이 이성적·논리적 비판이 허용되지 않는 독단적 교리로 굳어져, 오히려 더 나은 공동체를 열어가는 일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되기도 하는 것 같다. 사람의 힘을 빌려 신이 되는 사연이 깃든 서귀 본향당 본풀이를 읽는 것은 이런 장애물 피하기 위한 훈련의 기회가 되어줄 것이다.

제주 동신들의 이야기는 계속 변화한다

〈바람운과 고산국(서귀본향당본풀이)1〉은, 제주도 남부 해안에 있는 서귀골에서 모시는 마을 신의 내력을 노래로 풀어낸 것이다. 이 노래에는 제주도 남부 해안의 작은 마을들이었던 서홍골·서귀골·동홍골2의 마을 신들의 내력이 다 담겨있다. 이야기 속에서 고산국은 서홍골의 마을 신, 바람운은 서귀골의 마을 신, 지산국은 동홍골의 마을 신이다. 이 노래는 바람웃또[바람운]와 지산국이 좌정한 서귀포본향당 뿐만 아니라 고산국이 좌정한 서홍본향당에서 굿을 할 때에도 불렀다고 한다.3

이야기 속에서 고산국은 서홍골의 마을 신, 바람운은 서귀골의 마을 신, 지산국은 동홍골의 마을 신이다. 사진 출처 : CharlVera

지금 제주특별자치도는 북반부의 제주시와 남반부의 서귀포시로 나뉘어져 있다. 이 가운데 서귀포시를 동서로 양분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분할선이 그어질 만한 위치의 남쪽 해안에 서귀포동이 있으며, 서홍동과 동홍동이 서귀포동을 감싸고 있다. 서귀포동의 남쪽은 새섬과 문섬을 넘어 태평양을 향하여 열려 있고, 북쪽은 일주서로를, 서쪽은 연외천을, 동쪽은 동홍천을 각각 경계로 하고 있다. 연외천은 천지연폭포를 거쳐 태평양과 만나고, 동홍천은 정방폭포를 거쳐 태평양과 만난다. 이렇듯 서귀포동은 동서남북이 동홍천/정방폭포·연외천/천지연폭포·태평양·일주서로로 둘러싸인 사각형에 가까운 모양의 땅이다. 이에 비하여 서홍동과 동홍동은 한라산 정상 부근에서 좁게 시작하여 태평양 연안까지 이어지면서 점차 넓어져 서귀동을 감싸는 길쭉한 모양의 땅이다. 노래 속의 서홍골·서귀골·동홍골은, 지금의 서홍동·서귀동·동홍동과 꼭 같은 세계는 아닐 것이지만, 전혀 다른 세계도 아닐 것이다. 이 동네들의 지형을 머릿속에 그리고 있으면, 왠지 서귀 본향당 본풀이가 더 잘 이해될듯한 생각이 들었다.

노래에 등장하는 ‘일문관바람웃님[바람운/보름웃님]’과 ‘지산국’ 부부4를 모신 서귀본향당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이중섭로 23-11, 문섬이 내려다보이는 곳에 있다. 이곳에는 마을 사람들이 섬겨온 나무[신목]와 신을 모시는 집[신당]이 있고 당에 딸린 무당[매인 심방]이 살고 있다. 지금은 이중섭 미술관, 서귀포 극장, 서귀포 기상관측소, 서귀포 우체국 수련원, 모멘토 호텔, 모멘토 게스트 룸/카페 등이 이 본향당을 둘러싸고 있다.5

이 이야기가 담긴 본풀이들을 채록하는 작업은 1930년대에 아카마쓰 지죠(赤松智城)와 아키바 다카시(秋葉隆)가 시작하였고, 현용준, 진성기, 장주근이 1970년대까지 거듭하였다고 한다. 언제 시작되었는지는 모르지만, 채록 이전에도 본풀이의 내용은 조금씩 변하였을 것이며, 채록을 하는 50년간 여러 심방[무당]이 조금씩 다른 본풀이를 노래하였으며, 1970년대 이후에도 본풀이의 내용은, 그 사이 제주와 제주 사람이 겪은 변화가 반영되면서, 변화하였을 것이다. 이 이야기가 완전히 소멸되지 않는 한, 앞서 말한 바와 유사한 변화는 이어질 것이다.6

마을 신들의 이야기와 마을의 생활방식·행위규범

〈바람운과 고산국(서귀본향당본풀이)〉7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제주땅 설매국에 일문관(日文官) 바람운이 솟아났다. 바람운은 바람을 다스리는 신이었다. 그는 홍토나라 홍토천리의 미인 고산국을 찾아가서 청혼하였고, 둘은 부부가 되었다. 행복한 시간이 지난 뒤에 또 하나의 미인인 고산국의 동생 나타났다. 바람운과 고산국의 동생은 청구름을 타고 도망쳐 한라산에 이르렀다. 바람운과 동생이 사라진 것을 안 고산국은 영기(令旗)를 따라 한라산으로 추적하여 가서 돌창으로 동생과 바람운을 죽이려 했다. 동생이 도술로 안개를 일으켰다. 바람운이 향나무 가지를 꺾어다가 층암절벽에 찌르니 향나무가 커다란 닭이 되어 목을 높이 빼고 소리쳐 울었다. 그러자 밤이 새고 동방에 고운 달이 솟아올라 세상을 분별할 수 있게 되었다. 고산국은 동생에게 성을 갈아서 지(地) 가로 하라 하고는, 홍토나라로 돌아가는 대신 서홍골에 좌정해서 인간을 맡아보는 신이 된다. 좌정할 곳을 찾다 제주 사람 김봉태를 만난 바람운은 자신들을 ‘설매국에서 솟아난 일문관 바람운’과 ‘홍토나라 홍토천리 비를 내리게 하는 지산국’이라 소개하고, 김봉태는 웃서귀[동홍골]·하서귀[서귀골]·서홍골을 좌정할만한 곳으로 소개한다. 바람운과 고산국이 웃서귀에 이르렀는데 좌정할 곳이 적당하지 않았다. 먹고흘이라는 동굴로 가서 자리잡아 봤지만 그곳 역시 시냇물이 시끄럽고 수풀이 적막해서 싫었다. 바람운과 지산국은 가시머리웨돌[상효(上孝)마을]에서 고산국을 만나, 여전히 화를 풀지 않고 있는 고산국에게, 경계를 가르고 땅과 인물을 나누어 차지하자고 사정했다. 고산국이 돌창을 날리자[뿡개질을 하자]8 학담에 이르고, 바람운이 활을 쏘자 문섬 한가운데에 이르렀다. 고산국이 말했다. “나는 학담을 경계로 서홍골을 차지할 테니 당신네들은 문섬 위로 위아래 서귀를 차지하시오. 그러나 앞으로 서홍골 사람과 서귀골 사람이 서로 혼인을 못할 것이니 그리 아시오.” 바람운과 지산국9은 위 아래 서귀[우알서귀/동홍골과 서귀골]의 본향신이 되어 마을을 돌보게 되었다. 이때 먼저 서귀에 자리잡고 있던 수진포의 금상황제부인이 찾아와 바람운과 지산국이 위아래 서귀포를 다스리면 자기는 배와 해녀를 맡아서 다스리겠노라고 하고 용궁으로 갔다.10

이 이야기는 다음과 같이 몇 개의 사건으로 정리하여 볼 수 있다;

(1) 바람을 다스리는 바람운은 돌을 사용하는 고산국과는 갈등하였지만 비를 내리게 하는 지산국과는 함께하였다.

(2) 일문관(日文官) 바람운은 ‘세상을 분별할 수 있게 함’ 즉 천지개벽과 유사한 일을 함으로써 도전자를 제압하였다.

(3) 바람을 다스리는 힘과 비를 내리게 하는 힘을 가진 바람운과 지산국이었지만, 작은 마을의 신[동신(洞神)]으로 좌정하기까지, 사람의 도움과 돌을 사용하는 고산국의 양보를 필요로 하였다.

(4) 바람운과 지산국이 지상의 작은 마을의 신으로 좌정하면서, 금상황제 부인은 용궁으로 가서 배와 해녀를 맡게 되었다.

지금과 같은 시대에도, 더 나은 공동체를 위해서, ‘신화 문해력’ 같은 것이 필요한 것이다. 사지 출처 : cocoparisienne

위의 사건들은 다음과 같은 생활방식들의 충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a) 돌창 혹은 뿡개질 등 돌의 사용이 중요한 생활방식. (b) 비 바람의 변화에 민감한 생활방식. (c) 바다 만이 삶의 원천인 생활방식. 충돌 a↔b는 고산국과 바람운/지산국 사이의 것이다. 충돌 b↔c는 바람운/지산국과 금상황제 부인 사이의 것이다. 충돌 a↔b가 더 극적이다. 이 충돌은, ‘(2)’가 보여주는 무질서에서 질서로의 크고 본질적인 변화에서부터 애정 갈등까지, 다양한 화소(話素)들로 짜여져있다. 이에 비하면 충돌 b↔c는 단순하고 밋밋해 보인다. 그러나, 이야기 전체 속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면에서는 충돌 b↔c가 충돌 a↔b 보다 더 무겁다고 할 수도 있다. 뭔가 더 구체적인 생활방식의 교체와 관련되어 보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보이는 까닭은 충돌 b↔c가 충돌 a↔b 보다 가까운 과거에 일어난 생활방식의 변화를 보여주기 때문일 수도 있다. 이 충돌들은, 이를테면, 석기를 사용한 수렵과 농경과 어로라는 서로 다른 생활방식 사이의 충돌과 이행(移行)을 시사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이 이야기가 생활방식의 변화라기보다는 생활방식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동홍동과 서귀동은 서홍동에 견주어 동일한 사회문화적 양상을 띤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제주도 당본풀이에는 신들의 불화나 식성 차이 때문에 땅과 물을 가르고 서로 좌정처를 달리하는 예가 종종 나타난다. 이 가운데 <서귀포본향당본풀이>는 인근 마을의 역사적 형성과 교류 양상까지 드러내고 있어 주목할 만하다.”11 이는 갈등의 바탕에 깔려있는 것이 변화라기보다는 바꾸기 어려운 풍토 차이 같은 것임을 시사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고산국이 양쪽 마을 사이의 혼인을 금지하는 것을 행위규범의 제시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런 연유로 인해서 양쪽 마을 간에는 근래에까지 서로 혼인도 않고 사이가 좋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처럼 이 본풀이는 신의 내력담을 설명하면서 마을 사이의 불화를 신의 행위에 연유된 것으로 설명하여, 주민의 행위규범을 규정하고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12 이런 견해는 본풀이가 지나간 일이나 현존하는 차이를 설명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행위규범으로써의 강제력을 가진다는 주장에 다름 아니라 할 수 있다.

마을 신들의 이야기 속에서 사람

이쯤에서 지금의 제주를 돌아보고, 그럴 때 그려지는 풍경 속에 제주 동신들의 이야기를 놓아보는 것도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20세기의 제주는 태평양 전쟁을 아슬아슬하게 피했지만 4·3이라는 참사를 피할 수는 없었다. 21세기의 제주는 평화의 섬인 동시에 거대한 해군 기지가 되었다. 마을마다 신들의 이야기로 생활방식의 변화나 충돌을 설명하고 이해하거나 행위규범을 전수하던 제주 사람들은 20~21세기에 걸친 시기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도 생활방식의 변화나 충돌을 설명하고 이해하거나 행위규범을 전수하는 일을 계속하여 왔다. 신들의 이야기를 도구로 사용하는 것은 아름답기만 한 것도 아니고 대체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다만 옛날에는 그것이 그나마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이었다고 하는 것이 적절한 평가일 것이다. 지금 여기에서 우리는 신들의 이야기보다 훨씬 더 정교하고 효율적인 수단들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급격한 변화에 대처하는 데 있어서 신들의 이야기에 매달릴 까닭은 없을 듯하다. 그럼에도, 제주의 마을 신들의 이야기 가운데 하나인 ‘서귀 본향당 본풀이’ 속에 오늘날 뽑아 써 볼만한 그 무엇이 없을 수는 없다.

그것은 다름아닌 ‘사람’이라 하겠다. 앞서 중요 사건을 꼽을 때, ‘바람을 다스리는 힘과 비를 내리게 하는 힘을 가진 바람운과 지산국이었지만, 작은 마을의 신[동신(洞神)]으로 좌정하기까지, 사람의 도움과 돌을 사용하는 고산국의 양보가 필요하였다’고 주장한 바 있다. 바람을 다스리는 힘과 비를 내리게 하는 힘을 가진 존재라 할지라도, 그가 제주의 작은 마을의 신이 신이 되는 과정에서, 사람의 힘을 빌리지 않을 수 없었음을 이야기가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사람의 힘을 빌린다’는 말은 사실 말 같지 않은 말이라 해야 마땅할 것이다. 왜냐하면 제주도 마을 신 이야기의 실질적인 주인공은 애당초 사람이었겠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습은, 작은 공동체에 있어서라 할지라도, 그 속에서 일어나는 모든 변화는 결국 사람의 힘에 의존하여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는 생각을 가지게 한다. 사람의 일을 설명하기 위해서 신화가 만들어진 것은 아닐 수도 있다. 단지 사람이 처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람들이 신성한 사건을 ‘사용’하고 있는 것일는지도 모른다. 신성성이 수단화되는 것일는지도 모른다.

그러고 보면 모든 것은 수단이 될 수 있다. 아니 수단으로 삼을 수 있는 것을 적절히 수단으로 삼지 않으면 그것은 이성적·논리적 비판이 허용되지 않는 독단적 교리[Dogma]가 되어 부패하기 시작할런지도 모른다. 고산국이 서홍골 사람과 위아래 서귀 사람 사이의 통혼을 금지하였다고 해서 지금도 두 동네 사람들이 사귀는 것을 꺼린다면, 그것은 꽤나 어이없는 일일 것이다. 물론 이와 비슷한 어이없는 일이 일어나 당사자들의 사고능력의 지체를 의심하게 하는 경우는 현실 속에서 빈번하다. 지금과 같은 시대에도, 더 나은 공동체를 위해서, ‘신화 문해력’ 같은 것이 필요한 것이다.


  1. 2023년 12월에 열어 본 [네이버 지식백과]에 ‘바람운과 고산국(서커본향당본풀이) (문화원형백과 새롭게 펼쳐지는 신화의 나라, 2004.,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이라는 항목이 있었다. 여기에서 ‘서커’는 ‘서귀’를 잘못 적은 것이다.

  2. 여기에서 서홍·서귀·동홍은 西烘·西歸·東洪을 표음한 것이다. ‘홍(烘)’은 “횃불, 횃불을 켜다, 불을 쬐다, 그을리다” 등으로 풀이한다.

  3. [네이버 지식백과] ‘서귀포본향당본풀이’ (한국민속문학사전(설화 편)) [집필: 강소전] 참조.

  4. [네이버 지식백과] ‘서귀동 본향당(西歸洞 本鄕堂)’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참조.

  5. [비짓제주 (http://www.visitjeju.net/)] 참조

  6. [네이버 지식백과] ‘서귀포본향당본풀이’ (한국민속문학사전(설화 편)) [집필: 강소전] 참조.

  7. [네이버 지식백과] ‘바람운과 고산국(서커본향당본풀이)’ (문화원형백과 새롭게 펼쳐지는 신화의 나라, 2004.,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8. 돌창을 날렸다고 하지않고, 뿡개질을 했다고 하는 노래도 있다. 뿡개질이란 ‘한 발쯤 되는 노끈을 접어 겹친 사이에 돌을 끼우고 노끈 끝을 쥐고 돌리다가 돌을 멀리 날려 보내는 일’이다. 돌팔매질이라고 볼 수 있다.

  9. [네이버 지식백과] ‘바람운과 고산국(서귀본향당본풀이)’에는 고산국으로 적혀있으나, 오타인 듯하다.

  10. [네이버 지식백과] ‘바람운과 고산국(서귀본향당본풀이)’ (문화원형백과 새롭게 펼쳐지는 신화의 나라, 2004.,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11. [네이버 지식백과] ‘서귀포본향당본풀이’ (한국민속문학사전(설화 편)) [집필: 강소전]

  12. [네이버 지식백과] ‘서귀본향당본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유진

1979년 이후 정약용의 역사철학과 정치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1988년 8월부터 2018년 7월까지 대학에서 철학을 강의하였다.
규범과 가치의 논의에 도움이 될 만한 일을 하고 싶어 한다.

댓글

댓글 (댓글 정책 읽어보기)

*

*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맨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