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살 앓는 제주] ⑱ 송악산 개발역사를 거슬러 지속가능한 모습 상상하기 김정임2025년 3월 26일조회 1.4K 지질학적으로 매우 희귀한 지형일 뿐만 아니라, 천혜의 경관을 자랑하는 송악산. 그 생태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1980년대부터 시작된 개발사업에 끊임없이 몸살을 앓아왔으며, 2019년 ‘송악산뉴오션타운’이 환경영향평가 심의까지 통과되어 개발사업을 착수하게 될 위기에 처했다. 이에 발 벗고 나선 ‘송악산 개발 반대대책위’가 개발 부동의를 끌어내기 위해 벌인 활동을 소개하고, 2025년 또 다시 위기에 빠진 송악산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고민하고자 한다. 개발 송악산 유산 제주 지속가능성 관련글 [몸살 앓는 제주] ⑮ 제주 제2공항과 제주도민의 자기결정권 [몸살 앓는 제주] ⑯ 곶자왈에 산업단지라니… “메께라!” [몸살 앓는 제주] ⑰ 제주에서 만난 정치, 그리고 우리의 목소리
[생활詩] 세신왈츠 달개비2025년 3월 26일조회 1.1K 봄을 대하는 자세로, 내 몸 돌보기부터 시작하자는 의미에서 세신하는 내용을 시로 썼다. 이 시는 요한스트라우스의 〈봄의 소리〉 왈츠를 들으며 읽어 주시기 바란다. 목욕 봄 세신 시작 왈츠
기후 위기 세상에서 탈출구 찾기 – 『폭염 살인』을 읽고 이환성2025년 3월 26일조회 942 제프 구델은 이 책을 통해 ‘폭염’을 ‘눈에 보이지 않는 살인자’라고 정의하며, 이제라도 우리가 폭염의 위험성에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경고한다. 더위는 이제 단순히 환경 문제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불평등과 부정의라는 깊은 균열을 만들기에 절대로 가볍게 보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기후위기 불평등 인권 자연재해 폭염
야만의 도시를 떠날 수 있을까? 조윤지2025년 3월 18일조회 1.2K 자본주의는 우리의 삶을 생존으로 일축시킨다. 생존 경쟁이 되어 버린 인간의 삶 속에서 우리는 자유로울 권리를 잃고 말았다. 자연으로부터 소외되기를 자처한 현대 사회는 결국 서로의 생존을 쥐고 갑질하는 사회로 전락했다. 이러한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진정한 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없다. 우리는 과연 삶의 자율성과 민주주의를 되찾을 수 있을 것인가. 농촌 도시 민주주의 자유 탈자본주의
공기 다섯 알이 담은 위로 한승욱2025년 3월 18일조회 1.1K 일단 몇 년 몇 년 넘다 보면 뻣뻣한 몸에 열감이 돌고 조금 더 지속하면 마음이 리듬감을 얻는다. 사람도 점과 선과 면이라는 생각이 든다. 고독한 개별과 개별을 잇고 손아귀에 다섯을 꼭 쥐어본다. 개인 공기놀이 마음 사회 연결
[스피노자의 사랑] ⑳ 되기의 철학과 이기의 철학 故신승철2025년 3월 18일조회 1.4K 사랑은 합일이 아니라 차이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창출하는 '되기'의 과정이다. 서로를 닮아가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특이성을 강화하며, 끊임없이 변화하고 생성되는 흐름이다. 들뢰즈와 가타리는 이를 '되기'로 설명하며, 사랑은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 차이를 낳는 차이의 연속이다. 이를 통해 되기의 철학을 따라가 보고자 한다. 가타리 되기 들뢰즈 사랑 스피노자 관련글 [스피노자의 사랑] ⑰ 스피노자의 사랑의 혁명, ‘자유인의 해방전략’ [스피노자의 사랑] ⑱ ‘되기’를 통한 삶의 변용이 곧 사랑이다. [스피노자의 사랑] ⑲ 나선형으로 얽는 들뢰즈와 가타리 그리고 스피노자
[초록산책] ⑥ 봄을 맞이하는 자세 강세기2025년 3월 11일조회 1.8K 3월을 눈과 함께 시작했지만 봄을 이기는 겨울이 없기에 마침내 봄은 꽃을 흩뿌리며 오고야 말 것입니다. 겨우내 죽은 듯 잠들어 있던 초록 생명들이 단단한 땅과 메마른 나뭇가지 끝에서 부활하여 모두를 위한 밥상을 마련하며 뭇 생명의 축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삭막한 겨울 풍경을 새로운 볼 것들로 풍성히 채우고 있는 아름다운 봄을 맞이하는 우리의 자세는 어때야 할까요? 나무 봄 생명 생태 풀 관련글 [초록산책] ③ 그 많은 잎들은 어디로 가야 할까요? [초록산책] ④ 눈 덮인 어린 소나무의 꿈은… [초록산책] ⑤ 어떤 봄을 준비하고 계신가요?
[예술로 지역활력] 일본의 ‘에츠코츠마리 대지예술제’가 증명하는 것 이무열2025년 3월 11일조회 1.2K 예술이 어떻게 지역의 활력을 가져올 수 있는지 증명해 보일 좋은 사례로 일본 ‘에츠코츠마리 대지예술제 트리엔날레’를 들 수 있다. 그 전까지 에츠코츠마리는 일본에서도 가장 추운 곳이면서 인구감소, 고령화 문제가 심각한 농촌지역이었다. 이처럼 활력을 잃어가던 지역에서 어떤 특별함이 에츠코츠마리 대지예술제를 지속가능하게 했는지 그 이유를 알아보자. 예술 예술제 인구감소 지역 지역활력
[월간 기후송_작곡일지 시즌2] ⑥생쥐나라 고양이대표(마우스랜드)-인간작곡편 김영준2025년 3월 11일조회 1.3K 이번 곡은 ‘생쥐나라 고양이대표’라는 곡으로,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 선거 때마다, 보통의 시민들이 자신들과 다른 부류의 엘리트들을 선출하게 되는 아이러니를 ‘생쥐나라 고양이대표’라는 비유를 통해 풍자하는 곡. 토미 더글라스의 유명한 연설 ‘마우스랜드’ 이야기로 만든 노래. 선거 시민의회 월간기후송 정치 직접민주주의 관련글 [월간 기후송_작곡일지 시즌2] ③ 걷는 나무- AI작곡편 [월간 기후송_작곡일지 시즌2] ④ 걷는 나무- 인간작곡편 [월간 기후송_작곡일지 시즌2] ⑤ 생쥐나라 고양이대표(마우스랜드) -AI작곡편
[한국철학 조각 모음] 대동(大同), 차이를 인정한 연대 이유진2025년 3월 11일조회 1.1K 대동은, 중국과 한국에서, 오랜 세월에 걸쳐, 정치적·사회적 변화에 따라 재정의되면서, 집권세력 내부에서의 정치적 관계의 매개가 되거나, 인민이 주도하는 변혁의 동력이 되었다. 그 과정을 살펴보면서, 지금 여기에서 대동을 어떻게 재정의하는 것이 적절할지 생각해 본 바도 제안하여 본다. 결사 대동 대동제 변혁 연대 관련글 [동양철학 조각모음] ② 새로움이 가치인 세계의 명암 [동양철학 조각모음] ① 화(化), 연대를 통해 모두 함께 더 나아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