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발명] ⑫마을에서 에너지전환을 디자인하는 ‘미호동넷제로공판장’ 인터뷰

2021년 5월, 과거 대통령별장이던 청남대의 경비 파출소 자리에 친환경 주민 공간 미호동 넷제로공판장이 문을 열었다. 이곳에서는 주민들이 직접 내놓은 농산물, 지역의 친환경 농산물, 지구에 해를 끼치지 않는 생활용품(제로웨이스트 상품), 에너지전환 아이템 등을 판매하면서, 삶에서 넷제로를 실천할 수 있는 방법들을 시민들에게 안내한다. 이 글은 미호동 넷제로공판장의 설립부터 운영까지 함께해온 에너지전환사회적협동조합 ‘해유’ 양흥모 이사장과의 인터뷰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지역의 발명] ⑪극적인 발명

극적인 발명을 아이디어 발상법에서는 “극단적 결합(Radical Collaboration)”이라고 한다. 지역이 지향하는 것을 이루기 위해 낯선 결합을 시도해보자. 이럴 때 전에 없었던 새로운 지역의 발명이 탄생된다.

[지역의 발명] ⑩ 지역과 행복

그동안 우리는 '고소득'을 행복을 위한 유일한 선택으로 강요받았다. 많은 이들이 소득이 많아질수록 더 행복할 수 있다는 근거 없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정말 소득이 늘어나면 행복해질 수 있을까? 이 글은 'NO'라고 단언한다. 예상외로 많은 사람들이 더 많은 소득이 아니라 자기 생각이 지지 받는 것에서 기쁨을 느끼고, 그 생각이 실현되는 과정에서 행복감을 느낀다는 것이다. '더 많은 소득'이 아니라 '더 믿을 수 있는 관계'의 중요성에 대해 짚어본다.

[지역의 발명] ⑨ 비어있는 주민학교

지역활성화는 주민들 스스로가 필요와 욕구를 드러내고 해결 방법을 찾아 무언가를 해야 한다. 배우고 가르치는 과정이 모두 주민 사이에서 일어나는 ‘비어있는 주민학교’를 통해 개인과 마을을 서로 연결시켜 보자.

[지역의 발명] ⑧ 지역과 사회적 경제

지역과 사회적 경제는 통합되어 있고, 서로의 필요에 따라 서로 맞물려 작동한다. 지역은 사회적 경제를 양성하고 사회적 경제는 지역을 지지하는 관계에 있다. 코로나19로 가중된 경제적인 부담 속에서 지역의 해체가 가속화되고 있다. 사회적 경제의 행위자들이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해 ‘가장 큰 역할’을 도맡아야 할 때다.

[지역의 발명] ⑦ 커뮤니티 디자이너 야마자키 료 Studio L 대표 인터뷰

이 글은 야마자키 료 Studio L 대표와 e메일을 통해 서면 인터뷰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야마자키 료는 지역의 과제를 지역 주민들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게 돕는 일본의 유명 커뮤니티 디자이너이다. 커뮤니티 디자인은 ‘우리 사회가 직면한 과제를 해결하는 도구’로서, 최근 마을만들기와 공동체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지역의 발명] ⑥ 지역을 발견하는 관찰

최근 지역조사나 마케팅조사에서 관찰조사가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지역 주민들의 보편적 욕구를 알아보는 설문조사나 인터뷰와 달리 관찰조사는 지역의 특이성을 발견할 수 있는 조사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관찰조사 방법과 사례를 간단하게 소개한다.

[지역의 발명] ⑤ 계획을 넘은 계획, 커뮤니티 픽션(Community Fiction)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스타트렉⟫등의 소설과 영화로만 알려졌던 SF가 초가속 혼돈의 시대에 현실적인 경험과 감각으로는 도저히 예측할 수 없는 미래를 예측하는 계획을 넘은 계획이 되고 있다. ‘우리가 손가락을 들어 가리키면 그것이 바로 SF다’라고 했던 SF작가이자 편집자인 데이먼 나이트(Damon Knight)의 SF가 눈앞에 나타나고 있다. SF(Science Fiction)의 오마주인 커뮤니티 픽션(Community Fiction)은 ‘지역을 위해 상상을 해보는 방법’이다.

[지역의 발명] ④ 질문으로 할 수 있는 것들

질문은 지역활동가(사회혁신가)들에게 필요와 문제를 발견할 수 있게 하고 아이디어를 개발할 기회를 준다. 주민들은 질문에 대답하면서 본인들이 지역활동의 주인이라는 것을 경험하고 지원금이나 전문가들이 세워놓은 계획의 수혜자가 아니라 기획자가 되어 지역에서 경험한 자신들의 욕구와 나름대로의 방안을 말하고 표현한다. 지역과 주민이 질문으로 연결되고 주민들의 지역활동 경험이 시작되는 순간이다.

[지역의 발명] ③ 지역에 있어야 할 10가지 원칙

지역은 성장을 놓지 못한 채 끊임없이 규모를 키우고, 모든 것을 평균에 맞추어 수도권으로 빨아들이는 고장난 문명을 바꿀 수평적이고 개성적인 대안이다. 지역이 ‘여러 사람이 생활하면서 함께 살아가는 곳’이라는 사실에 공감한다면 지역을 정의하는 이 말 속에 중요한 단어와 어울리는 적정한 것들을 연상하면서 지역의 원칙을 발견해 나갈 수 있다. ‘여러 사람’, ‘생활’, ‘함께’, ‘살아가는’ 이 네 가지가 연상을 시작하는 중요한 단어가 된다.

맨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