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울컴퍼니] ⑪ 실패할 수 있는 사회 김준영2025년 6월 3일조회 1.4K 경제적 불평등이 심화되고, 교육 기회의 불균형이 지속되는 사회에서 ‘실패’를 긍정하는 시도는 어리석다. 젊은 세대조차 사회 양극화에 질려 버린 현실에서 ‘실패’를 어떻게 이야기 할 수 있을까. 어쩌면 ‘실패’ 역시 특정 계층이나 여유를 가진 이가 거머쥔 카드일 수도 있다. 점차 더 계층 이동성이 좁아지고 있고, 과열된 교육과 불평등의 문제가 고착화된 우리 사회에서 ‘실패할 수 있는 사회’를 생각해본다. 배치 변용 소울컴퍼니 실패 회복탄력성 관련글 [소울컴퍼니] ⑧ 적의를 보이는 것들 [소울컴퍼니] ⑨ 영웅에 관하여 [소울컴퍼니] ⑩ 기도하는 마음으로
지역은 전환의 시간을 어떻게 통과할 것인가? 이무열2025년 6월 3일조회 2.5K 자본중심주의가 초래한 지금의 위기 상황을 되짚어 보면, 지역사회의 관계망이 해체된 자리에 물신주의가 자리잡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위기 앞에서 문명의 전환을 꾀해야 하고, 그 전환 운동은 지역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마을공동체 마을자치 전환운동 지역 지역전환
[계절동화] ③ 5월_오래 전에 죽은 자를 생각하는 달 규리2025년 6월 3일조회 787 시간은 흐른다. 시간에 따라 나는 무언가 바뀌고 있다. 보였던 것이, 보였다가 사라지고, 다시 새로운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나는 건반을 더듬으며, 그것이 나타나고 사라지도록, 가만히 바라보는 시간이 좋다. 나타나기 더듬기 바라보기 사라지기 시간 관련글 [계절 동화] ① 3월_초록 잎이 가지 끝에 숨은 계절 [계절 동화] ② 4월_바람이 분다, 머뭇거리는 빛을 싣고서
돌봄의 정치: 무엇을 돌볼 것인가? 권범철2025년 6월 3일조회 1.5K 현재의 질서 안에서 수행되는 생산 노동이 문제적인 자본주의 시스템을 계속해서 유지하고 재생산 노동이 그 문제적인 노동을 계속해서 뒷받침하는 상황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그 (재)생산 노동의 평등한 접근/분배 이전에 노동 자체를 문제화하는 것 아닐까? 그러니 돌봄을 보편화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돌봄의 불평등한 분배만이 아니라 돌봄의 사회적 기능 자체를 문제화해야 한다. 노동거부 돌봄 부채 커먼즈 페미니즘
[동양철학 조각모음] ⑥ 박혁거세 이야기로 읽는 자기객관화 이유진2025년 6월 3일조회 911 역사적 상상력을 발휘하는 데 있어서, 비교는 대단히 유용한 수단 내지는 계기가 되어줄 수 있다. 이는 일상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비교는 자기객관화와도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또한 균형 잡힌 사고를 위하여 유용하다. 『삼국사기』의 첫 부분을 읽어보며 비교와 자기객관화에 관하여 고찰한다. 박혁거세 비교 삼국사기 자기객관화 한국철학 관련글 [한국철학 조각 모음] 대동(大同), 차이를 인정한 연대 [동양철학 조각모음] ④ K컬처는 21세기 한국판 화이론인가? [동양철학 조각모음] ③ 동인(東人), 주변이었기에 중심이 되다
[新유토피아 안내서] ① 기후위기시대, 새 판 짜기 -기후생태헌법 김영준2025년 5월 26일조회 2.1K 기후위기는 기후재난, 사회적 위기, 생태위기라는 예측불허의 새 국면을 맞게 했다. 더 이상의 과거의 규칙으로는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 따라서 이제 국가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헌법을 기후생태헌법으로 개정해야 한다. 7공화국은 생태공화국이 되어야 한다. 기후생태헌법 민주주의 사회대개혁 시민의회 신유토피아 관련글 [新유토피아 안내서] 프롤로그: 새 문명을 찾아 떠나는 여행지도
[몸살 앓는 제주] ⑳ 우리 사회는 시민참여를 허용하는가? -제주특별자치도 숙의민주주의조례 시행 8년을 돌아보며 김순애2025년 5월 26일조회 1.2K 2017년에 제주특별자치도숙의민주주의 조례가 제정되었다. 조례 제정 8년을 돌아보며 시민들의 참여를 보장하기 위한 조례가 유효하게 작동하였는지 질문을 던졌다. 버스공영화 숙의민주주의 시민참여 제주 조례 관련글 [몸살 앓는 제주] ⑲ 제주 4.3과 ‘우주·AI 산업’의 위험한 결합 [몸살 앓는 제주] ⑱ 송악산 개발역사를 거슬러 지속가능한 모습 상상하기 [몸살 앓는 제주] ⑰ 제주에서 만난 정치, 그리고 우리의 목소리
[보성댁 이야기] ㉕ “나 서울에 요한이 입학식 갔다 올라요.” 최은숙2025년 5월 26일조회 958 집에서 가까운 국립대학 사범대학에 합격해 다니던 요한은 하고 싶은 공부가 있다며 재수를 결정하고 학원에 다니지 않고 공부해 서울에 있는 대학에 합격한다. 보성댁은 8남매 중 유달리 사랑하던 요한의 입학식에 참여하고 싶어 요한과 함께 밤기차를 타고 서울로 향한다. 근대 꿈 대학 서울 아들 관련글 [보성댁 이야기] ㉒ 가시내가 매갑시 사람을 퉁을 주네 [보성댁 이야기] ㉓ 먼 아가 책만 보믄 정신을 못 채리는지, 참. [보성댁 이야기] ㉔ “우리 큰아들이 장개를 잘 갔네.”
바다에서 배우는 삶의 철학 – 『모든 삶은 흐른다』를 읽고 이환성2025년 5월 26일조회 934 프랑스의 철학자인 저자는 자연의 일부인 바다로부터 삶의 철학을 배울 수 있다고 하며, 바다와 관련된 14개의 테마를 소개한다. 인간이 바다라는 거대한 대양을 눈앞에 둔다면 우리는 지구에 초대받은 손님에 불과하니 자연과 바다에서 겸손함을 배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간이 모든 것을 지배할 수 없고 모든 것을 계획한 대로 할 수 없다는 교훈을 배울 수 있다고 한다. 겸손함 기후위기 무관심 바다 욕망 관련글 번영 뒤에 숨겨진 착취체제, 자본세를 넘어서 – 『저렴한 것들의 세계사』를 읽고 기후 위기 세상에서 탈출구 찾기 – 『폭염 살인』을 읽고 불평등의 재구성 -『쌀 재난 국가』를 읽고
목적과 목표 없이 어울릴 때, 관계는 시작된다 이무열2025년 5월 18일조회 2.2K 마을에서 열리는 공동체 영화 상영, 운동회, 플리마켓 등 다양한 예술·문화 이벤트는 이해관계와 차이에서 벗어나 즐겁게 어울리며 가까워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성공적인 지역 활성화 사례로 주목받는 국내외 지역을 살펴보다 보면 예술과 문화가 드러나지 않게 지역 활성화 기반이 되고 있다는 것을 눈치챌 수 있다. 관계 네트워크 마을 지역 지역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