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래예술가공부모임_〈오늘날 한국문학의 포스트 휴먼, 관계적 상상력〉(online) 생태적지혜2021년 12월 10일조회 746 〈오늘날 한국문학의 포스트 휴먼, 관계적 상상력〉에 관한 문래예술가공부모임이 2021년 11월 23일(화) 오후7시 온라인 ZOOM을 통해 진행되었다. 12월 22일(수) 오후7시로 예정된 다음 모임에서는 조윤경 님을 모시고 〈기후위기 시대의 장애인의 현실〉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참여 문의: 010.9칠44.칠칠56 공생 관계 문학 정동 포스트휴먼
[류하의 사유정원] ⓷코비드19를 만나며 드는 생각 류하2020년 5월 25일조회 2.9K 코로나19 사태로 우리는 바이러스가 우리 삶에 ‘상수’인 시대에 살게 되었다. 이 현상은 우리 문명 자체에 대한 성찰과 포월(抱越)적 전환을 요구한다. 인류는 더 이상 근대문명이 창출한 자연에 대한 수탈과 화석에너지에 기댄 도시기반의 풍요 문명을 누리기 어렵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보다 성숙한 새로운 문명으로 전환을 꾀해야 할 것이다. 공생 문명의 전환 진화 코로나19 포월
공동체연구모임- 크로포트킨 『만물은 서로 돕는다』(2015, 여름언덕) 읽기 생태적지혜2020년 2월 10일조회 2.1K 공동체연구모임은 1월 21일 모임에서 크로포트킨의 『만물은 서로 돕는다』(2015, 여름언덕) 1장~4장을 읽었으며, 여기서 공생적이고 종 내 협동을 통해서 살아남는 동물과 협동을 통해서 자원의 부족에도 불구하고 살아남을 수 있는 미개인들의 삶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가난이 협동의 원천이며, 이에 따라 공동체가 갖고 있는 연결과 연대의 망이 참된 삶의 지속가능성이라는 점을 알았다. 다음 모임도 크로포트킨 『만물은 서로 돕는다』(2015, 여름언덕)의 5장~8장까지를 읽는다. ※참여 문의: 010.9칠44.칠칠56 공생 다윈 상호부조 진화 협동
사물에 대한 예의 노마드2019년 4월 25일조회 2.3K 쉽게 썩지 않는 것은 음식이든 물건이든 모두 독 될 수 있다는 조상들의 지혜가 절실한 이 시대에, 우리는 공생이 아니라 도구화 타자화해 온 자연과, 경제논리와 편리를 위해 대량생산한 물건들에게 거대한 순환의 역습을 맞고 있다. 공생 관계 순환 타자화 플라스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