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은 없다(上)

최근 출산율 저하와 노령인구 증가가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관련 기관들은 앞다투어 ‘30년 뒤면 우리나라 지자체의 1/3이 소멸한다’라고 하는데, 이는 명백한 사실 왜곡이다. 현재 우리가 직면한 지역 위기, 국가 위기, 인류 위기가 어디서 비롯되었을까? 우리는 너무 많이 만들었고, 너무 많이 소비했고, 너무 많이 가졌다. '적정인구'를 가늠하는 기준부터 다시 점검해봐야 할 것이다. 지방소멸론이 허구일 수밖에 없는 이유를 하나하나 짚어보자.

기후위기시대, 문명전환의 전략과 불교적 해법찾기 – 조안나 메이시의 재연결작업(WTR)과 생명으로 돌아가기 ①

이 글은 조안나 메이시의 '재연결작업(WTR)과 생명으로 돌아가기'에 대한 첫 번째 글이다. 재연결작업은 이제까지의 성장주의 반생명적 산업문명의 패러다임에서 어떻게 생명친화적인 문명, 생명지속사회으로의 대전환을 이룰 수 있을 것인지 희망의 근거와 해법, 구체적인 실천을 제시한다.

학교에서 탈성장을 가르칠 수 있을까?

근대사회에서 교육은 무엇을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와 같은 교육의 방향이나 내용에 대해서는 무관심했다. 공교육은 성장주의의 토대로 학교는 경쟁의 장으로 기능해왔다. 근대교육은 자본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교육은 기존 질서의 적응과 새로운 질서에 대한 가능성이라는 두 가지 속성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문명으로의 가능성이 교육에서부터 시작될 수 있다.

[플라스틱과 친하게 지내는 법] ① 언제부터 플라스틱?

인류 문명의 발달 정도를 재료에 의해 구분하기도 합니다. 그 결과가 구석기-신석기-청동기-철기 시대의 구분일 것입니다. 그러면, 우리는 지금도 철기시대에 살고 있는 것일까요? 그렇다고 할 수도 있지만, 1980년대 중반을 지나면서 사용량 측면에서 철기를 앞지르는 재료가 나타났습니다. 오늘의 주제인 플라스틱입니다. 눈을 조금만 돌리면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찾아 볼 수 있는 플라스틱이 지금은 환경오염의 주범이라는 의심을 받고 있습니다. 고분자화학을 전공하고, 플라스틱 기업에서 오랫동안 근무했던 필자의 관점에서 보면, 플라스틱의 양가성, 즉 유용한 재료와 환경오염 물질 사이의 접점에 대해 고민하게 되는데요. 플라스틱 없이 살 수 없다면, 일상에서 플라스틱을 잘 사용하는 법을 찾아야 하는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우리가 플라스틱과 같이 잘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몇 편의 글을 통해 해법을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계적인 석학 7인으로부터 듣는다 – 『오늘부터의 세계』를 읽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해 세계적인 석학 7명과 인터뷰를 통하여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의 인류 생존을 위한 조언을 정리한 내용이다. 우리 인류는 생태계 파괴로 인한 문명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공동체 운동, 연대, 안정감을 주는 국가정책, 생태 중심의 세상 만들기 등이 우리 앞에 놓여 있는 코로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석학들은 진단한다.

[저성장시대 협동운동의 전략지도] ⑥ 문명의 전환과 전환사회의 전망 수립

기후위기 상황에 대응하는 전환사회의 설립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그 일을 해낼 사람과 그 일에 나설 사람을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관계망에서 사람들은 너도 아니고 나도 아니지만, 너와 나 둘 다 될 수 있는 간주관성, 사이주체성, 서로주체성의 영역을 발견하게 된다. 그러한 관계망에서의 주체성 생산은 결국 하나의 특이점이 되어 새로운 전환사회의 형태와 생활양식 등을 구성해낼 것이다.

[류하의 사유정원] ⓷코비드19를 만나며 드는 생각

코로나19 사태로 우리는 바이러스가 우리 삶에 ‘상수’인 시대에 살게 되었다. 이 현상은 우리 문명 자체에 대한 성찰과 포월(抱越)적 전환을 요구한다. 인류는 더 이상 근대문명이 창출한 자연에 대한 수탈과 화석에너지에 기댄 도시기반의 풍요 문명을 누리기 어렵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보다 성숙한 새로운 문명으로 전환을 꾀해야 할 것이다.

맨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