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리통신] ㉜ 밥 같이 먹자! 김진희2023년 5월 3일조회 610 마을공동체만들기 사업의 성과공유회에 『생명으로 돌아가기』 책에서 읽은 ‘재연결작업’을 응용해보았습니다. 생명평화결사 온라인 zoom 모임에서 유정길 님의 안내로 재연결작업 워크샵을 한 적이 있어 도움이 되었습니다. 로컬디자인 마을 마을공동체 마을학교 재연결작업 관련글 [만화리통신] ㉛ 우연 – 뜻하지 않게 저절로 생겨 묘하게 일어나는 일들 [만화리통신] ㉚ 모두가 즐기는 비조마을 배움터 한마당 [만화리통신] ㉙ 햇님은 집에 가고……
우리 삶을 마감할 때를 상상해보는 자리 – 제주할망해방일지 견문록 우수경2023년 4월 11일조회 837 2022년 11월 제주 선흘1리 9명의 할망들이 화가가 되어 빈 창고를 갤러리 삼아 작품을 전시하고 관객을 초대했다. 할망들이 반짝이며 설레는 눈빛으로 다소 쑥스럽게 그러나 자랑스럽게, 낯선 이들을 반갑게 맞이하는 모습이 오래도록 잊혀지지 않는다. 그 모습은 60대 이상의 노인 자살률이 압도적으로 높은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노인 마을공동체 볍씨학교 선흘마을 제주할망 해방일지
[만화리통신] ㉛ 우연 – 뜻하지 않게 저절로 생겨 묘하게 일어나는 일들 김진희2022년 12월 3일조회 561 기후위기 공부하는 마을동아리 ‘지구손수건’은 2022 울주군 평생학습 체험대전에서 기후위기와 지구환경을 생각하는 마음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부스를 운영했습니다. 로컬디자인 마을 마을공동체 마을학교 협동조합 관련글 [만화리통신] ㉘ 마을작가는 마을을 걷는다 [만화리통신] ㉙ 햇님은 집에 가고…… [만화리통신] ㉚ 모두가 즐기는 비조마을 배움터 한마당
[만화리통신] ㉚ 모두가 즐기는 비조마을 배움터 한마당 김진희2022년 11월 3일조회 678 마을과 마을, 마을과 학교가 이어진 비조마을 배움터 한마당입니다. 로컬디자인 마을 마을공동체 마을학교 협동조합 관련글 [만화리통신] ㉘ 마을작가는 마을을 걷는다 [만화리통신] ㉗ 삶을 디자인하는 아이들 – 작은 학교, 큰 아이들 [만화리통신] ㉙ 햇님은 집에 가고……
자치사업의 불편한 진실 둥둥이2022년 3월 3일조회 720 우여곡절 끝에 선정된 사업은 잠잠해질 줄 알았던 코로나 때문에 진행하기가 힘들었다. 집합 금지, 인원 제한 등으로 활동을 제대로 하기가 힘들었지만, 최선을 다해 사업을 마무리했다. 결과보고서, 수많은 증빙자료와 제약에도 불구하고 자치사업에서 얻는 성취감은 엄청나다. 자치사업은 시민으로 살아가기 위한 당연한 권리이자 의무이다. 자치사업을 막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시민의 힘을 무서워하는 사람일 것이다. 마을공동체 마을사업 자치사업 학부모 희생
자원순환을 위한 청년의 역할: 마을공동체와 대학을 중심으로 김현지2021년 12월 17일조회 1.8K 자원순환과 지속가능한 사회가 화두이다. 일반적으로 이는 소비자, 산업계, 정부 등 큰 단위와 경제적 구조 속에서 논의되고 있다. 이번 글은 청년이라는 세대와 지역성에 집중하여, 마을공동체와 대학을 통해 발휘될 수 있는 청년의 역할을 고민해보았다. ESD 마을공동체 자원순환 지속가능발전 청년
[지역의 발명] ⑲ 지역에 사건이 필요할 때 이무열2021년 12월 10일조회 1.2K ‘사건’은 침체되고 굳어진 지역의 분위기를 깨뜨려서 주민들이 지역 활동에 관심과 흥미를 갖게 하는 틈을 만든다. 사람들은 보통 자기 주위에서 벌어지는 비일상적인 일에 감각적으로 감지하고 느끼고 생각하고 행동한다. 침체되고 굳어진 지역 분위기를 바꾸고 주민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싶다면 ‘사건’을 만들어보자. 마을공동체 사건 주민참여 지역 협업 관련글 [지역의 발명] ⑱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이 지역의 발명에 적절하다. [지역의 발명] ⑰ 지역과 기후위기 [지역의 발명] ⑯ 디지털기술과 지역의 발명
버린 쓰레기, 주운 쓰레기 김은제2021년 7월 25일조회 2.2K 우리는 흔히 쓰레기를 버리는 것을 양심을 버리는 것으로 표현한다. 인생을 살아오면서 무심코 혹은 일부러 버린 쓰레기, 내 양심 중에 몇 번은 기억이 나는 것 같기도 하다. 그렇다면 버려진 쓰레기를 줍지 않고 지나친 것은 뭐라고 표현할 수 있을까? 내가 무심코 지나친 쓰레기는 내 양심일까? 버린 사람의 양심일까? 기후위기 마을공동체 생태전환 파워플로거 플로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