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울컴퍼니] ⑮ 서로의 수다new 김준영2025년 10월 26일조회 142 서로의 말을 들을 준비가 되지 않은 관계가 있다. 말을 듣고 싶지 않으니 무관심이 더 익숙하다. 심지어 가족 간에서도 이 무관심과 경청의 부재는 존재할 수 있다. 그렇다고 너무 진지하고 먼 이야기로 이 문제를 풀어나갈 마음은 없다. 서로의 귀를 빌려줄 용기가 점점 사라지고 있는 사회에서 우리가 마련할 자리는 어디일까. 살아 있는 이들과 함께 말할 수 있는 대화의 계기는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정말 대수롭지 않은 이야기, 큰 이야기가 아니더라도 서로를 이해해하기에 앞서 수다를 한번 떨어보자. 경청 공동체 미시정치 소울컴퍼니 수다 관련글 [소울컴퍼니] ⑫ 삶의 한가운데, 다시 말 걸기 [소울컴퍼니] ⑬ 긴 호흡으로 쓰기 [소울컴퍼니] ⑭ 간단하게 볼 일이 아니다
자신에 이르러 세계까지, 구원의 통합 서사 – 《케이팝 데몬헌터스》에 관해 유정길2025년 10월 11일조회 705 《케이팝 데몬헌터스》 신드롬을 일으킨 힘은 어디에서 왔을까? 이 글에서는 멋진 음악과 한국문화를 넘어 인물의 자기 성찰과 각성에서 오는 구원의 서사를 읽고, 그것이 사람들을 치유하고 통합하는 힘으로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본다. 공동체 구원 구원서사 치유 케이팝
사람이 모여 삶을 읽는 곳- 『도서관은 살아 있다』를 읽고 이환성2025년 10월 3일조회 220 모든 세대와 계층이 이용하는 공공 도서관은 단순히 책만을 읽는 한정적인 공간이 아니라, 나와 다른 타인을 읽는 곳이기도 하며, 다채로운 활동이 펼쳐지는 살아 움직이는 공간, 그리고 공동체가 서로 소통하며 공감을 키우는 공간이기도 하다. 또한 도서관은 누구나 공짜로 갈 수 있는 공간, 누구도 소외당하지 않는 공공의 공간이다. 공공도서관 공공의 공간 공동체 삶 읽기 소통공간 관련글 기후의 경고, 성장의 신화를 멈춰라 – 『미래를 위한 새로운 생각』을 읽고 도시, 욕망을 넘어 생태를 품다 – 『도시 인문학』을 읽고 민주주의는 아직 도착하지 않았다 -『국가의 딜레마』를 읽고
지역에서 일을 어렵게 하는 기술 이무열2025년 9월 11일조회 1.0K 지역재생은 익숙한 방식만 반복해 소모적 결과를 낳고 있다. 활력을 되찾으려면 어렵지만 의미 있는 실험과 관계망 구축 같은 정성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는 놀이·식사·대화·시간을 함께하는 생활 속에서 자연스레 만들어지며, 결국 지역의 활력을 되살리는 기반이 된다. 공동체 관계망 시스템 지역 혁신 관련글 지역은 전환의 시간을 어떻게 통과할 것인가? 지역활성화가 안 되는 진짜 이유 –지역활성화 사업에 필요한 9가지 관계의 리더십문화
[스피노자의 사랑] ㉖ 우주의 먼지와도 같은 사랑 故신승철2025년 9월 3일조회 838 스피노자의 삶은 눈에 잘 보이지 않지만 진실한 삶, 즉 ‘투명한 삶’의 의미를 보여준다. ‘먼지와도 같은 사랑’이란 작은 친절과 보이지 않는 나눔을 실천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바로 그들을 말한다. 소비적 욕망이 아니라 사랑과 정동이야 말로 공동체를 지탱하는 힘이 되는 것이다. 사랑과 돌봄은 보상을 바라지 않는 ‘순수한 선물’ 같은 것이며, 이런 태도가 삶을 더 단단하고 의미 있게 만든다. 스피노자가 말한 특이성도 ‘지각 불가능하게 되기’도 결국 보일 듯 말 듯 먼지같이 작은 생명을 향해 대가를 바라지 않는 순수한 증여로서의 사랑을 할 때 일어날 수 있는 사건이다. 공동체 돌봄 스피노자 증여 특이성 관련글 [스피노자의 사랑] ㉕ 도구적 이성을 넘어 야생을 사유하라 [스피노자의 사랑] ㉔ 생명은 모두 물음표, 세상은 민주주의 놀이터 [스피노자의 사랑] ㉓ 공동체가 소수자를 더 발명해야 하는 이유
[콜로키움 특집] ② 『도플갱어』와 불교의 탈자아적 응시 이명호2025년 6월 11일조회 897 이 글은 나오미 클라인의 『도플갱어』와 그에 대한 발제문 「얽힘과 말걸기」를 토대로, 실체론적 자아에서 벗어나 불교적 탈자아의 시각을 통해 새로운 사회적 관계성과 실천의 가능성을 성찰한다. 특히 ‘아니 보기(unseeing)’라는 개념을 통해, 인식은 있으나 실천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현대인의 심리적・구조적 원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불교의 여실지견과 자비실천의 대안을 제시한다. 공동체 도플갱어 불교 연결망 타자 관련글 [콜로키움 특집] ① 얽힘과 말걸기 – 『도플갱어』를 읽고 [콜로키움 특집] ③ 나와 닮은 적: 언캐니한 민주주의, 도플갱어의 문화정치학 [콜로키움 특집] ④ 도플갱어와 나는 연결돼 있다
미호동 에너지 전환 마을, 미래를 위한 현재의 실험 -『에너지전환마을 발명록』을 읽고 두더지2025년 2월 3일조회 2.2K 『에너지전환마을 발명록』(2024)은 한 마을이 이루어낸 실천적 변화의 중요성을 조명한다. 우리의 실천은 미래를 준비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며, 미호동의 이야기는 이를 증명한다. 작은 실천이 모여 큰 변화를 이루는 것처럼, 미호동의 실험은 거시적 담론을 구체적인 현실로 변환시키는 강력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공동체 대안 마을 지역 탈탄소
[스피노자의 사랑] ⑮ 사랑은 흐름에 몸을 싣는 것이다 故신승철2024년 11월 18일조회 599 사랑과 욕망, 정동의 흐름은 유일무이한 사건의 원천을 만들어냅니다. 우리가 이 흐름에 따라 해방되는 삶을 살아간다면 강렬하면서도 부드러운 사랑은 삶의 원칙이 되고, 사랑하기 때문에 더 많이 보살피고 더 많이 웃고 더 많이 움직이게 될 것입니다. 공동체 스피노자 욕망 정동 특이성 관련글 [스피노자의 사랑] ⑫ 사랑하면 달라집니다 [스피노자의 사랑] ⑬ 사랑이 지금-여기를 바꾼다 [스피노자의 사랑] ⑭ 일상의 작은 마주침 속에서 우주를 발견하다
[새 책] 넷제로를 꿈꾸는 미호동 에너지전환마을 이야기 – 『에너지전환마을 발명록』 생태적지혜2024년 11월 8일조회 756 『에너지전환마을 발명록』(도서출판 모시는 사람들, 2024.11.18 출간 예정)은 에너지전환해유 사회적협동조합이 세상에 하나 밖에 없는 넷제로공판장을 중심으로 미호동에서 시작한 에너지자립과 주민들이 즐겁게 어울려 살아가는 공동체살림 이야기입니다. 이제는 주민들이 어려운 넷제로, RE100 등을 술술 설명하고 직접 지은 작물을 공판장에 내놓고, 밭과 식당, 양봉장을 넷제로 교육장으로 쓰기까지의 쌉싸름한 이야기들입니다. 넷제로장터, 주민학교, 윙윙꿀벌식당, 솔라시스터즈, 넷제로캠핑 등 듣기만 해도 흥미로운 넷제로라이프스타일과 마이크로그리드사업까지 해유의 실험들을 소개합니다. 공동체 넷제로 미호동 삶의전환 에너지전환
[스피노자의 사랑] ⑭ 일상의 작은 마주침 속에서 우주를 발견하다 故신승철2024년 10월 18일조회 983 현대인이 접촉하고 있는 수많은 정보는 과연 참된 진리가 될 수 있을까요? 앎은 나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는 지혜를 나의 신체변용을 통해 습득하는 것입니다. 스피노자가 말하는 참된 앎은 공동체적인 삶의 산물이며 이는 생태적 지혜의 복원과 연결됩니다. 공동체 사랑 스피노자 신체변용 일상 관련글 [스피노자의 사랑] ⑪ 씨앗 한 알에도 깃들어 있는 신 [스피노자의 사랑] ⑫ 사랑하면 달라집니다 [스피노자의 사랑] ⑬ 사랑이 지금-여기를 바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