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턱대고 비건] ⑨ 닭 죽이기new 김이중2025년 7월 26일조회 216 고통을 느끼는 존재를 직접 죽이는 것, 그에 따른 책임을 느껴보고 싶다는 이유로 닭을 죽이는 것은 과연 합리화가 가능한 일일까요? 그에 관한 고민을 썼습니다. 고통 닭 동물권 비건 존재 관련글 [무턱대고 비건] ⑥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느타리버섯(전편) [무턱대고 비건] ⑦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느타리버섯(후편) [무턱대고 비건] ⑧ 고래와 종차별주의
[월간 기후송_작곡일지 시즌2] 【번외편】인간 vs. AI, 탄소배출이 더 많은 음원 제작방식은?new 김영준2025년 7월 26일조회 385 이번 월간 기후송은 번외편. 작곡 대신 전통적인 음원제작 방식과 AI를 활용한 음원제작 방식 중 어느 것이 더 많은 전력소비를 하는지 따져보고, 앞으로 음원제작은 어떻게 하는 게 좋을지 모색해 보는 내용. AI 기후한계선 월간기후송 음원제작 탄소배출 관련글 [월간 기후송_작곡일지 시즌2] ⑦ 함께 흐르는 강 -AI작곡편 [월간 기후송_작곡일지 시즌2] ⑧ 낮은 곳으로 흐르는 강 -AI작곡편 [월간 기후송_작곡일지 시즌2] ⑨ 톱니바퀴 속 피어난-AI 작곡편
[몸살 앓는 제주] ㉒ 한라산 조망권은 누구의 것인가?new 유리2025년 7월 26일조회 205 최근 제주도 도심의 고도 제한을 완화하는 조례가 통과되어 한라산 조망권이 사유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조망권은 누구나 누릴 수 있어야 할 공공재이지만, 자본과 개발의 논리 속에서 점점 배제되고 있다. 이 글은 도시의 풍경을 둘러싼 불평등과 시민이 감시하고 기록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공공재사유화 난개발 압축도시 제주도정 조망권 관련글 [몸살 앓는 제주] ⑲ 제주 4.3과 ‘우주·AI 산업’의 위험한 결합 [몸살 앓는 제주] ⑳ 우리 사회는 시민참여를 허용하는가? -제주특별자치도 숙의민주주의조례 시행 8년을 돌아보며 [몸살 앓는 제주] ㉑ 국토부 앞 집시법 위반(?) 최후진술문
도시, 욕망을 넘어 생태를 품다 – 『도시 인문학』을 읽고new 이환성2025년 7월 26일조회 192 도시란 인류에게 있어서 무엇일까? 도시는 인류가 만들어낸 수많은 발명품 중에서도 인간의 삶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존재이며, 또한 멈출 줄 모르고 달려온 인간의 욕망을 상징하는 곳이기도 하다. 저자는 건축 전문가로 전 세계 13개 국가의 21개 도시를 방문하며 다양한 건축물과 건축가를 소개하고 있다. 건축 도시 문명 생태 아파트
[무턱대고 비건] ⑧ 고래와 종차별주의new 김이중2025년 7월 18일조회 627 고래를 좋아하는 친구와 대화를 나눴습니다. 그는 고래를 아끼면서도, 고래와 비슷한 인지 능력을 가진 다른 동물은 먹고 있다는 점에서 모순을 느꼈습니다. 이 대화로 저는 종차별주의에 관해 생각했습니다. 돌고래 동물권 비건 생명 종차별주의 관련글 [무턱대고 비건] ⑤ 비건과 돌봄 [무턱대고 비건] ⑥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느타리버섯(전편) [무턱대고 비건] ⑦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느타리버섯(후편)
7세대 후를 생각한다 – 북미 선주민의 지혜에서 배우는 ‘장기주의’new 유정길2025년 7월 18일조회 559 이로쿼이족의 7세대 원칙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긴 것 중 하나가 바로 ‘생명의 연속성’이었다. 족장들은 결정을 내릴 때마다 “이 선택이 우리 아이들의 아이들의 아이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물었다. 생명이 끊어지면 7세대를 생각할 이유도 없어지기 때문이다. 미래 세대의 복지를 현재 세대와 동등하게 고려하고, 수백 년 후의 결과까지 내다보며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북미 선주민 이로쿼이족에게는 ‘7세대 원칙’을 살펴본다. 미래세대 생태민주주의 장기주의 전환 지혜
[스피노자의 사랑] ㉓ 공동체가 소수자를 더 발명해야 하는 이유new 故신승철2025년 7월 18일조회 567 소수자라고 하면 사회적 약자나 양적 소수, 피해자를 연상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알고 보면 소수자는 우리 자신을 풍부하게 만드는 사람들입니다. 동시에 공동체의 차이와 다양성을 증폭시켜 주는 존재이면서, 사랑과 욕망, 정동, 돌봄의 흐름을 강렬하고 반복적이게 만들어주는 특이점이기도 하지요. 어떤 공동체나 집단에 아이, 장애인, 노인, 성소수자 같은 소수자가 등장하면, “소수자를 어떻게 대할 것인지”에 대한 암묵적인 태도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관계망의 좌표를 수정합니다. 여기서 ‘문턱이 있는 유토피아’가 될지, 열린 공동체로서의 배치를 가질지 결정됩니다. 그런 점에서 소수자는 공동체에 심원한 변화를 주는 특이점입니다. 내재성 사랑 소수자 차별 특이점 관련글 [스피노자의 사랑] ⑳ 되기의 철학과 이기의 철학 [스피노자의 사랑] ㉑ 증오의 해독제는 사랑 [스피노자의 사랑] ㉒ 사랑은 무궁한 존재의 떨림에 나를 맡기고, 노래하는 것
[초록산책] ⑩ 다시 시작하기 위한 각오 강세기2025년 7월 11일조회 1.2K 추위와 어두움 속에서 새로운 봄에 대한 기대와 함께 단단하게 각오를 다지며 새해를 시작했건만 기다림은 길고 만남은 짧았던 봄은 훌쩍 우리 곁을 떠나가 버렸습니다. 그렇게 벌써 일 년의 반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아직 일 년의 반이 남았습니다. 덥고 습한 날씨 속에서 어떤 각오로 남은 반년을 계획하시는지요? 7월 각오 생명 생태 숲 관련글 [초록산책] ⑦ 그 꽃과 관계가 어떻게 되시나요? [초록산책] ⑧ 나는 나의 잎을 낸다 [초록산책] ⑨ 6월이 됐다는 건
두 얼굴의 AI,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홍순용2025년 7월 11일조회 1.0K 최근 여러 범용 AI가 일반인들에게 대중화되면서, AI를 활용하는 사례들이 사회 전반적으로 확대되었다. 그러나 기술의 속도가 빠른 만큼, 이를 이용한 범죄와 여러 부작용도 급증하고 있다. 이미 사회 깊숙이 침투한 AI를 제재하기 위한 유럽의 법제화 동향을 살펴보면서, 우리가 개선해야 할 부분과 가져야 할 경각심을 점검해본다. AIact 유럽연합 인간기본권 인간존엄성 인공지능기본법
[신승철 2주기 추모(축)제 후기] 가까이서 만나 따뜻하고 자유로운 시간을 나누다 이유진2025년 7월 11일조회 886 떠나간 누군가를 추모한다는 것은, 잊어서는 안 되는 누군가를 기리는 것이기도 하지만, 잊지 않겠다는 생각을 함께 하는 사람들이, 그 누군가를 떠나보낸 이후, 이전보다 더 나아져서, 잊지 않기 위한 앞으로의 모임들을 즐거운 만남의 장으로 만들어가려는 다짐이어야 할 것이다. 공생 나눔 성선설 신승철 추모 관련글 축제를 혼자 미완성으로 만들고 온 사람의 보고서- 故 신승철 소장 1주기 추모축제 참여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