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기후송_작곡일지] ② 채식하는 호랑이_숲에 찾아온 평화 김영준2022년 3월 26일조회 3.1K 〈월간 기후송〉의 작곡 일지 3월편(두 번째 곡). 이번 달 노래는 ‘채식하는 호랑이’라는 곡으로, 호랑이가 기후위기로 동물들이 사라져 먹을 게 없게 되자 결국 채식을 하게 된다는 내용. 즉 ‘채식’이란 주제를 육식을 대표하는 호랑이를 통해 표현한 노래. 공장식축산 비거니즘 월간기후송 채식 하늘소년 관련글 [월간 기후송_작곡일지] ① 멸종 애가(哀歌)_사라지는 것들의 이름 부르기- 절멸한 종들과 60종의 멸종위기 생물들을 기억하며
[월간 기후송_작곡일지] ① 멸종 애가(哀歌)_사라지는 것들의 이름 부르기- 절멸한 종들과 60종의 멸종위기 생물들을 기억하며 김영준2022년 2월 26일조회 3.7K 〈월간 기후송〉의 ‘작곡 일지’. ‘월간 기후송’의 다른 이름은 ‘달달이 기후송 만들기 프로젝트’, 줄여서 ‘딸기송 프로젝트’. 그 첫 번째 곡은 ‘멸종 애가’라는 곡으로, 한국의 멸종위기 1급 야생생물의 이름을 가사로 하여 만든 곡. 딸기송프로젝트 멸종위기종 생물다양성 월간기후송 하늘소년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 라캉의 응시 이론부터 들뢰즈의 촉지적 시각까지 최소현2022년 2월 11일조회 7.8K 예술은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무한 부딪힘이다. 라캉은 ‘응시이론’을 통해서, 메를로 퐁티는 ‘상호 신체성’을 통해서, 들뢰즈는 ‘촉지적 감각’을 통해서 이를 증명해내고 했다. 상상력의 층위에서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교류를 통해 무한 가능성을 담지하고 있는 예술을 철학자들은 어떻게 밝혀내고자 했을까. 들뢰즈 라캉 메를로퐁티 응시 촉지적감각
[보성댁 이야기] ② 할아버지의 노래, 어머니의 노래 최은숙2022년 1월 26일조회 1.0K 어머니께 들은 ‘어머니의 아버지와 할아버지 이야기’입니다. 어머니가 기억하고 있는, 어머니의 할아버지는 나름 자수성가를 하셨지만 첫 번째 부인이 병으로 세상을 뜬 후 재혼과 상처를 거듭하셨고, 그로 인해 어머니의 아버지는 어린 시절 어머니를 여의고 서럽고 힘들게 살아가셨다고 합니다. 그런 아버지를 기억하는 어머니는 아버지가 들려 주셨던 노래를 지금도 기억하고 그 노래를 한 번씩 부르시곤 합니다. 가족 경험 아버지의 노래 어머니의 노래 여성 관련글 [보성댁 이야기] ① 보성댁의 육이오 이야기
도표적 안면성-수많은 가면 중 진실한 가면이 있을까? 이하영2022년 1월 17일조회 947 ‘부캐’ 열풍과 창작그룹 이동시(이야기와 동물과 시)의 〈절멸〉 퍼포먼스, 김소정 작가의 작품을 넘나들며 얼굴성에 대해 고민한 내용을 정리했다. ‘수많은 가면 중 진실한 가면이 있을까?’ 중요한 건 있고 없음이 아닐지도 모르겠다. 가면 도표적 안면성 부캐 얼굴성 천개의 고원
[보성댁 이야기] ① 보성댁의 육이오 이야기 최은숙2021년 11월 17일조회 994 어머니께 들은 ‘어머니가 겪었던 육이오 이야기’를 소설 형식을 빌려 써 봤습니다. 인민군에게 의용병으로 끌려간 아버지를 만나러 가던 어머니가 폭격을 당한 이야기입니다. 경험 돌봄 여성 육이오 전쟁
음악이 되어 볼까요? – 음악-되기에 대하여 신동석2021년 10월 2일조회 1.2K 음악-되기는 음악의 새로운 생성으로 점 체계에서 생성 (되기)되는 선은 점들 사이를 지나가고 점들 중간을 통해 돌출됩니다. 즉, 둘 사이 경계선, 도주선이라 합니다. 그 도주선은 하나의 블록을 형성하며 두 점과는 아무것도 아닌 땅을 형성합니다. 다성음악 되기 들뢰즈가타리 음악-되기 천개의고원
코드 레드 시밥2021년 9월 2일조회 1.1K 캐나다의 폭염, 캘리포니아의 화재, 독일의 홍수, 중국의 가뭄, 브라질의 가뭄 등 기후 양극단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IPCC가 '6차 평가 보고서'를 공개하자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인류에 대한 '코드 레드' 즉 심각한 위기에 대한 경고"라고 평가했다. IPCC 기후위기 지구온난화 코드레드 탄소
산맥을 따라 떠나는 여행- 전시 《약속》 이연우2021년 8월 17일조회 1.1K 6월 29일부터 7월 18일까지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에서 열렸던 전시 《약속》과 이연우 작가의 작품을 소개한다. 남북관계 북한 약속 이연우 작가 전시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