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턱대고 비건] ⑤ 비건과 돌봄 김이중2022년 9월 3일조회 734 3박 4일간 논산집에 계신 할머니와 집에서 기르는 동물들을 돌보게 됐습니다. 일이 끝난 후에도 자꾸 생각나고 그 공간에서의 감각이 생생해서 글로 정리했습니다.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 중 ‘요양보호사는 대상자의 사생활을 존중하고 업무상 알게 된 개인정보를 비밀로 유지한다’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할머니의 명예를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글을 쓰려 노력했습니다. 돌봄 동물 비건 요양보호사 할머니 관련글 [무턱대고 비건] ④ 논비건 h와 1박 2일 여행 [무턱대고 비건] ③ 비건은 체취가 없다고? [무턱대고 비건] ② 10년 차 아마추어 비건
가정과 돌봄-영케어러의 아버지 돌봄 기록지② 동그랑2022년 8월 18일조회 922 중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옮긴 아버지는 당장은 입으로 식사할 수 없었고 호흡기에 의지해 호흡해야 했다. 걸을 수 없었고, 소변이나 대변을 보기 전에 의사 표현을 제때 하지 못했다. 말도 뭉개졌다. 못 알아들을 발음들로 겨우 목소리를 낼 뿐이다. 과연 나아질까? 다치기 전 지랄 맞던 그 아버지로 돌아올 수 있을까? 가족돌봄청년 돌봄 아버지 정동 정동적사건으로서의 돌봄 관련글 가정과 돌봄-영케어러의 아버지 돌봄 기록지①
팬데믹이 우리에게 알려준 것들 – 팬데믹과 생태적 마음 故신승철2022년 7월 18일조회 1.1K 팬데믹은 우리 자신이 얼마나 세상과 깊게 연루되어 있고, 연결되어 있는지를 잘 보여주었다. 우리는 사회, 자연, 생명, 미생물 등과 연결되어 살아가고 있으며, 그 마음 속에는 생태적 연결망이 갖고 있는 다이내믹한 요소가 들어가 있다. 그래서 우리의 마음은 역동적이고 활기차게 이행하고 횡단하고 변이된다. 우리에게는 정동과 활력의 판을 짤 능력이 있으며, 용기와 의지를 갖고 생명위기 시대를 헤쳐나갈 주체성 생산을 할 수 있는 생태적 마음, 역동적인 연결망의 마음, 마음을 응시하는 마음이 있다. 관계 돌봄 마음생태 연결망 팬데믹
[초보견주일지] ① 식구가 될 운명이라니 민재희(세모)2022년 7월 11일조회 915 서울을 떠나 시골로 이사를 했다. 동시에 우연히 길에서 만난 강아지와 함께 살게 되었다. 우리는 가족이 될 운명이었을까? 지나고 보니 태풍이와의 만남은 필연이었던 것 같다. 1인가구 돌봄 반려동물 시골살이 초보견주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본 영 케어러의 돌봄과정] ① 연구참여자 소개 조명아2022년 6월 18일조회 1.5K 이 연구는 학술적인 관점에서 영 케어러들에 대한 돌봄과정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이번에는 영 케어러의 돌봄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표집한 6명의 참여자들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다. 가족 돌봄 영 케어러 청년 청년 케어러
가정과 돌봄-영케어러의 아버지 돌봄 기록지① 동그랑2022년 6월 18일조회 1.1K 아버지를 돌보는 ‘돌봄청년’이라는 자격을 지금의 나는 상실했으므로 어쩌면 이 글을 쓸 자격 역시 상실했을지 모른다. 엄밀하게 보면 나는 법에서 정한 ‘청년’이 아니게 되었고, 그 전에 산업재해로 장애인이 된 아버지를 돌봤던 시간이나 역할 또한 비교적 제한적이었기 때문이다. 물론 돌봄 수행 범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아버지를 돌보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지만 적어도 지금의 내게 ‘아버지 돌봄’은 현실이기 보다 돌아보고 기억하고 기록해 내야 하는 과거의 경험에 더 가까워졌다. 가족돌봄청년 돌봄 영케어러 정동적사건으로서의돌봄 한부모가족 관련글 가정과 돌봄-영케어러의 아버지 돌봄 기록지②
[보성댁 이야기] ③ 고초 당초 시집살이 최은숙2022년 4월 10일조회 889 어머니가 닭고기를 좋아한다는 것을 뒤늦게 알게 된 딸이 보성댁에게 닭고기 요리를 종종 해드리게 되고 보성댁은 자신이 젊었을 적 아기를 가졌을 때 닭고기를 맛있게 먹었던 이야기를 들려준다. 돌봄 시집살이 여성 임신 젠더 관련글 [보성댁 이야기] ① 보성댁의 육이오 이야기 [보성댁 이야기] ② 할아버지의 노래, 어머니의 노래
[지역의 발명] ㉓ 지역과 돌봄 이무열2022년 3월 26일조회 1.5K 셀프케어 시장의 성장과 함께 돌봄은 마치 아기돌봄, 노인돌봄, 건강돌봄 등 취약계층이나 건강상 독립이 어려운 자들을 대상으로 그 범위가 좁혀지고 있다. 하지만 집에서 키우던 반려동물을 잠시 맡기거나 아이의 점심을 부탁하는 등의 일상적 돌봄이 모두에게 필요하다. 지역은 ‘관계돌봄’의 장이 되어야 하며 공동의 자원과 시간을 지역 안에서 나누며 마음을 만들고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다. 돌봄의 실천이 그물망 공동체로 재구성되면 얼마나 좋을까? 관계 네트워크 돌봄 여성 지역 관련글 [지역의 발명] ㉒ 지역을 위한 예술, 예술을 위한 지역 [지역의 발명] ㉑ 지역의 발명을 위한 희망의 가설들 [지역의 발명] ⑳ 인문운동가 이남곡 선생 인터뷰
생태주의세미나_정동적 평등(online) 생태적지혜2022년 3월 18일조회 811 『정동적 평등-누가 돌봄을 수행하는가』(2016, 한울아카데미)에 관한 생태주의세미나가 2022년 3월 12일(금) 오후7시 온라인 ZOOM을 통해 진행되었다. 2022년 4월 20일(수)로 예정된 다음 모임에서는마뚜라나·바벨라의 『앎의 나무』(2007, 갈무리)를 읽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참여 문의: 010.9칠44.칠칠56 돌봄 사랑노동 시스템 정동 젠더불평등
일본의 사례를 통해 본 한국의 영 케어러(young carer) 지원정책에 대한 제언 조명아2022년 3월 11일조회 5.1K 정부의 영 케어러 첫 지원정책 발표에 맞추어 조금 더 세부적으로 영 케어러에 대한 정의와 역할을 밝히고, 일본의 지원정책을 소개하면서 이번에 시행될 영 케어러 지원정책에 대한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가족 돌봄 영 케어러 청년 청년 케어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