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에는 왜 강하고 사나운 생명이 드물까? 박종무2023년 2월 18일조회 919 우리는 과도한 경쟁 사회를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과도한 경쟁은 학교 또는 직장 내 폭력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경쟁이 자연스러운 듯 이야기하지만, 실제 자연 속 생명들은 경쟁하기보다 협력하며 살아간다. 포식동물 역시 생존을 위해서는 경쟁을 피한다. 가장 강하고 사나운 포식동물의 유전자는 다음 세대에 전달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공생 공생명 공존 폭력 협력
[탈성장토론회 특집] ④ 부엔 비비르 사상과 지구의 권리, 그 불편한 동거 그리고 그 너머 박종무2023년 2월 11일조회 485 이 글은 2022년 12월 22일에 '탈성장 전환에서의 생태헌법정신'을 주제로 한 [탈성장 대토론회] 논평문으로 발표된 내용으로, 『다른 세상을 위한 7가지 대안』 (착한책가게, 2018)에 대한 서평형식을 띠고 있다. 생명은 개별적 존재가 아니며 상호의존적인 유기적 존재로서, 모든 것은 연결된 하나라는 부엔 비비르의 세계관을 우리는 얼마나 체화하고 삶에 반영할 수 있을 것인가 라는 질문을 담고 있다. 공생명 부엔비비르 상호의존 연결 인간중심주의 관련글 [탈성장토론회 특집] ③ 오래된 미래의 삶, 부엔비비르 – 『다른 세상을 위한 7가지 대안』을 읽고
세상의 존재 사이에 분명한 경계는 없다 박종무2022년 8월 3일조회 1.4K 인간중심적 사고로 자연을 대하고 파괴하면서 기후 위기는 심화되고 있다.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타자와의 관계를 재고해야 한다. 우리는 다른 생명과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으며 생명의 흐름 속에 살아간다. 그렇기에 우리는 관계성에 대한 생각을 심화시키고 그 흐름을 온전히 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공생명 권리론 기후위기 더불어삶 생명
기후 변화에 국내 축산이 미치는 영향과 공동체가 고민해야 할 과제들 박종무2022년 3월 3일조회 2.7K 기후위기는 갈수록 심화되고 있고 그 위기에 축산이 일정부분 기여하고 있다. 축산은 개별적이고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 국내 정치상황 뿐만 아니라 세계정치경제 상황과 연관된 문제이다. 따라서 그러한 관계들을 고려하여 국내축산이 장기적으로 나아갈 바를 고민하여야 한다. 공장식축산 기후위기 농업 온실가스 지속가능성
기후위기의 시대, 동물들은 어떻게 될까? 박종무2021년 10월 17일조회 3.1K 인류가 일으킨 기후위기로 인해 수많은 동물이 위기 상황에 내몰리고 있다. 이러한 위기 상황은 우리 눈에 보이는 동물뿐만 아니라 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우리는 생태계에 영향을 끼치는 인간의 행위를 경계해야 한다. 공생명 공장식축산 기후위기 생명 지속가능성
[제7회 콜로키움 특집] 우리는 동물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가? 박종무2021년 8월 17일조회 2.5K 지구에는 인간 외에도 수많은 생명들이 살아가고 있다. 인간이 만든 동물과의 공존의 문화에 문제는 없는가? 그리고 왜 지금 이 질문이 인간에게 필요한가? 이 글은 제7회 생태적지혜연구소 콜로키움 《동물과 더불어 삶, 동물되기와 공생명 이야기》에서 박종무 저 『우리는 동물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가』(2021, 리수)에 대한 발제문으로 발표되었다. 공생명 동물권 생명 인간중심주의 콜로키움 관련글 [제7회 콜로키움 특집] 동물-되기의 역사적 고찰과 현대적 모색 -『동물되기』 발제 [제7회 콜로키움 특집] 기후위기・탈탄소 시대의 동물권 -『우리는 동물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가』를 읽고 [제7회 콜로키움 특집] 동물을 바라보는 관점의 전환: 앎에서 함으로- 『동물되기』 논평
[산안마을 방문기] ② 야마기시즘 실현지, 산안마을의 삶 들여다보기 박종무2021년 3월 10일조회 5.8K 경기도 화성에는 야마기시 미요조(山岸巳代藏)가 제창한 야마기시즘을 실현하며 살아가는 산안마을이 있다. 산안마을에 방문하여 야마기시즘의 삶이 어떠한지 인터뷰하였다. 공동체 대안적 삶 산안마을 야마기시즘 연찬 관련글 [산안마을 방문기] ① 산안마을 닭들을 어떻게 할 것인가?
[산안마을 방문기] ① 산안마을 닭들을 어떻게 할 것인가? 박종무2021년 2월 10일조회 4.6K 조류인플루엔자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면서 많은 가금류가 살처분되고 있다. 2020년 12월 화성시에도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하여 많은 농장의 가금류가 살처분 되었지만, 화성의 산안마을은 살처분을 거부하고 있다. 산안마을을 방문하여 어떤 이유를 살처분을 반대하고 있는지 또 지금 상황은 어떤지 인터뷰하였다. 공동체 산안마을 살처분 생명 야마기시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