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뇌로 기후위기 극복을 상상하라 -『이토록 뜻밖의 뇌과학』을 읽고new 이환성2023년 5월 26일조회 37 『이토록 뜻밖의 뇌과학』을 쓴 저자는 신경과학 전문가로, 이 책에는 기존의 상식으로 알고 있던 개념이나 관념을 뒤흔드는 주장들이 속속 등장한다. 뇌의 핵심 임무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이성, 상상, 또는 창의성에 있지 않다는 것이다. 뇌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생존을 위해 에너지가 언제 얼마나 필요할지 예측함으로써 가치 있는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해내도록 신체를 제어하는 것이라고 한다. 가소성 네트워크 뇌과학 사회 희망
[디지털 코드로의 통합세계와 기술의 도구화된 인간] ① 새로운 기계(Machine)의 시대 이영두2023년 2월 11일조회 184 데이터 저장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을 기반으로 형성된 메타버스와 같은 가상 세계 속에서 우리는 어떤 자아로 살고 있는가? 가상 세계를 이루는 새로운 기계기술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가상 기술 네트워크 데이터 메타버스
[기획대담] ⑤ 사회적 경제는 플랫폼을 통해서 유연성을 가질 수 있는가? 신승철2022년 6월 26일조회 647 2022년 6월 21일 일요일 3시에 3명의 구성원들이 사회적 금융모임의 다섯 번째 아이디어 회의를 했다. 이 자리에서는 플랫폼으로서의 협동조합과 공제조합, 노동조합의 관계 맺기의 차이점과 네트워크와 플랫폼의 차이점 등을 논의하였다. 네트워크 사회적경제 유연성 플랫폼 협동조합
[지역의 발명] ㉓ 지역과 돌봄 이무열2022년 3월 26일조회 927 셀프케어 시장의 성장과 함께 돌봄은 마치 아기돌봄, 노인돌봄, 건강돌봄 등 취약계층이나 건강상 독립이 어려운 자들을 대상으로 그 범위가 좁혀지고 있다. 하지만 집에서 키우던 반려동물을 잠시 맡기거나 아이의 점심을 부탁하는 등의 일상적 돌봄이 모두에게 필요하다. 지역은 ‘관계돌봄’의 장이 되어야 하며 공동의 자원과 시간을 지역 안에서 나누며 마음을 만들고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다. 돌봄의 실천이 그물망 공동체로 재구성되면 얼마나 좋을까? 관계 네트워크 돌봄 여성 지역 관련글 [지역의 발명] ㉒ 지역을 위한 예술, 예술을 위한 지역 [지역의 발명] ㉑ 지역의 발명을 위한 희망의 가설들 [지역의 발명] ⑳ 인문운동가 이남곡 선생 인터뷰
정동특별팀_『래디컬 헬프』(online) 생태적지혜2021년 7월 25일조회 546 힐러리 코텀 저, 『래디컬 헬프』(2020, 착한책가게)에 관한 정동특별팀 모임이 2021년 7월 24일(토) 오전11시 온라인 ZOOM을 통해 진행되었다. 8월 28일(토)로 예정된 다음 모임에서는 박형신.정수남 저 『감정은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한길사, 2015)를 읽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참여 문의: 010.9칠44.칠칠56 관계 네트워크 배치 연결 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