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그리세미나(3월 모임 후기) 연구공간L2021년 5월 9일조회 760 네그리 『맑스를 넘어선 맑스』에 관한 세미나가 2021년 3월 한달간 매주 화요일마다 오후1시 연구공간L 주최로 온/오프라인을 통해 진행되었다. 4월 모임에서도 『맑스를 넘어선 맑스』를 이어서 읽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참여 문의: 010.2716.0746 네그리 노동 맑스 요강 주체성
돌봄, 취약하고 불안정하다는 조건으로부터 다시 시작한다면 – 『정동적 평등 : 누가 돌봄을 수행하는가』 리뷰를 겸해 김미정2021년 3월 10일조회 2.3K 인간은 태어나서 세상을 떠날 때까지 돌봄을 경험한다. 그럼에도 돌봄을 수행하는 일은 폄하되어 왔다. 그렇기에 돌봄이 노동의 지위를 얻은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한편 돌봄은 노동으로만 환원될 수 없다. 돌봄은 일방적인 주고받음이 아니라, 특별한 관계를 생산하는 정동적 활동이다. 오늘날 돌봄은 존재에 대해 근본적으로 다르게 사유할 것을 요청한다. 인간은 자립적이고 능동적인 개체이기 이전에, 늘 서로가 서로를 필요로 하는 미약한 존재라는 인식으로부터 다시 관계의 문제를 생각해야 할지도 모른다. 노동 돌봄 시민성 너머 정동 평등
정의로운 전환의 유용성과 딜레마 김현우2021년 3월 10일조회 4.0K 정의로운 전환은 기후위기 대응에서 노동자와 지역사회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유용한 개념으로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며 체제 전환과의 관계 속에서 여러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정의로운 전환의 유용성과 함께 딜레마의 이유를 밝히고, 개념의 한계를 넘어 더 생산적인 이야기를 열어젖혀야 한다. 그린뉴딜 기후위기 노동 녹색성장 정의로운 전환
네그리의 『맑스를 넘어선 맑스』 세미나(online) 연구공간L2021년 2월 25일조회 967 네그리 『맑스를 넘어선 맑스』에 관한 세미나가 2021년 2월 23일(화) 오후1시 연구공간L 주최로 온라인을 통해 진행되었다. 3월 2일(화)로 예정된 다음 모임에서도 『맑스를 넘어선 맑스』를 이어서 읽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참여 문의: 010.2716.0746 네그리 노동 맑스 요강 주체성 생산
『플랫폼 자본주의』를 읽고 (닉 서르닉 저, 킹콩북 2020) 홍승하2020년 9월 25일조회 3.1K 공유경제, 긱경제, 4차 산업 혁명, 기술경제는 서로 어떤 연관을 갖고 있나? 빅데이터가 생산수단이 되고, 실물생산에도 전부 관여하는 플랫폼의 역할은 어디까지 확장되어질까? 직장의 형태가 바뀌고, 상품과 서비스가 혼재되어 있고, 노동의 외주화는 더욱 가속화되는 지금의 플랫폼 자본주의에서 노동기본권은 어떻게 찾을 수 있나? 4차 산업혁명 노동 대안경제 커먼즈 플랫폼 자본주의
새벽에도 사랑을 하자 송기훈2020년 9월 25일조회 1.3K 플랫폼자본주의라는 책을 읽고 플랫폼 노동에 얽힌 우리들의 삶을 시와 그림으로 표현해 보았습니다. 노동 배달노동 사랑 청년 플랫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