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승철학의 시작] ② 우리의 추모(축)제에는 다 맥락이 있다 장윤석2024년 6월 26일조회 433 오는 2024년 6월 29일에 신승철 1주기 추모(축)제 “지금, 여기, 가까이”가 열립니다. 기다리고 모시면서 신 소장님의 말과 글, 이야기를 소개하는 글을 매일 부칩니다. 관계망 사랑 생태적지혜 신승철 추모 관련글 [신승철학의 시작] ① 1주기 추모(축)제 ‘지금, 여기, 가까이’를 준비하며 [행사] 故 신승철 소장 1주기 추모(축)제
[스피노자의 사랑] ⑦ 사랑이 시작됐다, 새로운 세계가 열렸다 故신승철2024년 6월 18일조회 450 철학자 스피노자, 문인 카프카는 절절하게 사랑을 바치는 여성이 있었음에도 결혼이라는 제도 속에서 자유를 속박당할 것이 두려워 결혼을 포기했습니다. 그러나 저는 사랑은 우리에게 자유를 준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또한 일상을 영원한 시간으로 만드는 힘 또한 사랑에 있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결혼 사랑 스피노자 자유 제도 관련글 [스피노자의 사랑] ④ 우리 안에 내재한 놀라운 능력 [스피노자의 사랑] ⑤ 사랑이 만들어내는 놀라운 그림 [스피노자의 사랑] ⑥ 사랑이 세상을 재창조한다
[스피노자의 사랑] ⑥ 사랑이 세상을 재창조한다 故신승철2024년 6월 3일조회 771 사랑은 시간을 느리고 여유롭게 만들며, 삶의 작은 변화를 촉진합니다. 사랑하는 마음은 일상 속에서 차이를 발견하여 내면의 잠재성을 통해 삶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사랑을 비롯한 모든 정동은 관계 속에서 활성화되며, 고립된 개인은 정지된 감정과 환상을 경험할 뿐입니다. 지금 우리에게는 강한 상호작용을 통해 정동을 생성하고 활성화하는 관계가 중요합니다. 들뢰즈 사랑 스피노자 정동 차이 관련글 [스피노자의 사랑] ③ 경우의 수에 따르는 사랑의 수학 [스피노자의 사랑] ④ 우리 안에 내재한 놀라운 능력 [스피노자의 사랑] ⑤ 사랑이 만들어내는 놀라운 그림
[스피노자의 사랑] ④ 우리 안에 내재한 놀라운 능력 故신승철2024년 5월 3일조회 765 스피노자의 내재성의 철학은 바로 특이한 공동체의 철학의 연장선에 있습니다. 더불어 호혜와 돌봄, 증여의 공동체 사상이라고도 말할 수 있겠지요. 스피노자는 주저 없이 자신의 능력과 삶의 자기원인의 영역을 벗어난 초월적인 종교와 국가권력에 대해선 괄호를 쳐버립니다. 대신 공동체와 삶, 욕망, 일상, 생활세계, 사랑 등의 내재성에 대한 긍정으로 향합니다. 돌봄 사랑 스피노자 정동 호혜 관련글 [스피노자의 사랑] ① 나를 이토록 변하게 하는 사랑, 사랑, 사랑 [스피노자의 사랑] ② 작은 사랑이 돌이킬 수 없는 변화를 일으킨다 [스피노자의 사랑] ③ 경우의 수에 따르는 사랑의 수학
[스피노자의 사랑] ② 작은 사랑이 돌이킬 수 없는 변화를 일으킨다 故신승철2024년 4월 3일조회 925 보편적인 사랑과 한 사람에게 행하는 특별한 사랑 중 무엇이 중요하냐고 묻는다면, 인류애와 같은 보편적인 사랑이 중요하다고 말하기 쉬울 것입니다. 그러나 스피노자는 작고 국지적인 사랑이 우리 삶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출발점이 된다고 말했습니다. ‘국지적 절대성’은 익숙한 일상과 사람들을 뻔하게 보지 않고 깊이와 잠재성을 들여다보는 개념입니다. 변화 사랑 스피노자 욕망 정동 관련글 [스피노자의 사랑] ① 나를 이토록 변하게 하는 사랑, 사랑, 사랑
[스피노자의 사랑] ① 나를 이토록 변하게 하는 사랑, 사랑, 사랑 故신승철2024년 3월 18일조회 1.6K 우리는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살아가기 위해서는 좋든 싫든 누군가와 접촉해야 하고, 그 접촉이 사랑과 정동과 욕망을 만들어내고, 그것을 통해 우리가 삶을 유지해가는 이유가 드러납니다. 우리는 그 안에서 공통성, 즉 공동체를 끊임없이 만들어나가야 합니다. 각자도생에 지친 이 시대의 외로운 사람들에게 자신의 삶을 재창안하고 재발견할 수 있도록 스피노자가 건네는 사랑의 지혜― 故신승철 선생의 『사랑할수록 지혜로워진다』(사우, 2019)를 통해 들여다봅니다. 변용 사랑 스피노자 정동 지혜
[지금 여기 가까이] ㉒ 사랑할수록 지혜로워질까? 故신승철2024년 1월 18일조회 682 지혜는 책이나 검색을 통해 얻는 정보나 지식과는 다릅니다. 지혜는 행동에서, 실천에서, 연결망에서, 삶과 생명과 자연에서 그리고 사랑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되기 사랑 생태적지혜 스피노자 연결망 관련글 [지금 여기 가까이] ⑲ 아직 태어나지 않은 아이들을 위해 무엇을 할까? [지금 여기 가까이] ⑳ 혁명(revolution)인가? 역행(involution)인가? [지금 여기 가까이] ㉑ 우리 사이의 배치가 강렬해질 때
[뉴스레터 100호 특집] 편집위pick #돌봄 생태적지혜2023년 11월 24일조회 347 ‘돌봄’은 생태적지혜 웹진에서 주요하게 다뤄지는 키워드 중 하나입니다. 대개 돌봄은 노동과, 특히 역사 속에서 인정받지 못했던 여성 위주의 재생산 노동과 연결됩니다. 그러한 돌봄 노동의 가시화는 매우 중요합니다. 웹진에 기고된 다양한 돌봄 관련 글에도 그러한 글이 많습니다. 다만, 이번 편집위pick에서는 그러한 돌봄 노동의 재정의 너머에 있는 여러 이야기들을 꼽아보았습니다. 돌봄은 더 이상 가족 내에서만 이뤄지거나 노동력 재생산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모든 차원에서 모두의 일상 속에서 내재되어야 할 가치일지 모릅니다. 관계 돌봄 사랑 서로돌봄 연결
[지금 여기 가까이] ⑩ 성공주의밖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을까? 故신승철2023년 7월 3일조회 2.5K [지금 여기 가까이] 시리즈는 단행본 『저성장 시대의 행복사회』(삼인, 2017)의 내용을 나누어 연재하고 있다. ‘저성장을 넘어 탈성장을 바라보는 시대에, 가난하고 평범한 사람들은 어떻게 행복해질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지금, 여기, 가까이’에서 찾고자 하는 이야기다. 들뢰즈가타리 사랑 성공주의 지각불가능하게되기 탈성장 관련글 [지금 여기 가까이] ⑦ 공동체가 언제나 거기 있을 거라는 착각 [지금 여기 가까이] ⑧ 빈곤은 찬양될 수 있을까? [지금 여기 가까이] ⑨ 소비를 줄이면 욕망도 줄어들까?
[지금 여기 가까이] ② 살림은 사랑을 증폭시킬까? 故신승철2023년 2월 18일조회 621 [지금 여기 가까이] 시리즈는 단행본 『저성장 시대의 행복사회』(삼인, 2017)의 내용을 나누어 연재하고 있다. ‘저성장을 넘어 탈성장을 바라보는 시대에, 가난하고 평범한 사람들은 어떻게 행복해질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지금, 여기, 가까이’에서 찾고자 하는 이야기다. 사랑 살림 생명 여성 철학공방 별난 관련글 [지금 여기 가까이] ① 왜 같은 말도 엄마가 하면 간섭 같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