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성장토론회 특집] ② ‘전자의 숲’에서도 마그나카르타 정신은 유효할까? 배선우2023년 1월 11일조회 492 이 글은 2022년 12월 22일에 '탈성장 전환에서의 생태헌법정신'을 주제로 한 [탈성장 대토론회]에서 논평문으로 발표된 내용이다. ‘(대)도시는 어떤 숲일까?’ 오늘날 대다수의 인구가 살아가는 도시라는 생태적 환경에서는 어떠한 공통권을 추구할 수 있을지 주목해보자. 공동체 자급자족 자본주의 자유 커먼즈 관련글 [탈성장토론회 특집] ① 마그나카르타와 공통의 숲 – 『마그나카르타 선언』을 읽고
[콜로키움 특집] ① 미래를 주술화하기 – 「딥 에콜로지」를 읽고 권범철2022년 11월 26일조회 1.1K 제13회 생태적지혜연구소 콜로키움에서 『딥 에콜로지』(원더박스, 2022) 전반부(1~6장)에 대한 발제문으로 발표된 글이다. 오늘날 생태위기는 “심층”의 근본적 개혁을 필요로 한다. 질주하는 기차를 탈선시키려 하는 심층생태학의 사고를 재주술화라고 부르는 저자의 주장에 귀기울여 보자. 생태주의 영성 주술 커먼즈 탈성장
위기 시대를 살고 넘기 위한 안내서 – 『정동의 재발견』을 읽고 권범철2022년 11월 11일조회 1.3K 신승철의 책 『정동의 재발견: 가타리의 정동이론과 사회적 경제』는 위기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정동이 갖는 의미를 상세하게 알려주는 책이다. 그는 이 책에서 노동, 살림, 돌봄, 젠더, 인지자본주의, 정동자본주의, 사회적 경제에 이르는 다양한 영역을 정동의 관점에서 재구성하고 그것의 함의를 기술한다. 기후위기 돌봄 사회적경제 정동 커먼즈
공유(共有), 그 상상력의 한계를 허물자 – 『피지털 커먼즈』를 읽고 물루2022년 10월 3일조회 808 우리가 만든 콘텐츠뿐 아니라 감정, 정서, 생체 리듬까지 데이터로 만들어지는 데이터 세상에서 데이터 권력을 독과점하면서 공개하지 않는 플랫폼 자본주의와 기업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이러한 인클로저 대항하여 이들 데이터가 공동자산화되고 호혜의 문화로, 서로 공생하는 실천과 희망에 대해 이야기한다. 카피레프트 커먼즈 플랫폼 기업 플랫폼 자본주의 피키털
연구와 연구자 그리고 커먼즈 권범철2022년 6월 18일조회 2.1K 오늘날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연구가 쏟아지고 있지만 연구자의 삶은 그와 달리 갈수록 취약해지고 있다. 풍요로운 연구와 빈곤한 연구자라는 이 기묘한 사회적 연결 상태를 바꾸기 위해서는 연구자들의 자율적인 재생산 커먼즈뿐 아니라 공적 지원의 공통화가 필요하다. 대학 실존 연구자 제도 커먼즈
생태경제모임_『피지털 커먼즈』 1회(online) 생태적지혜2022년 5월 28일조회 1.1K 『피지털 커먼즈』 (갈무리, 2021)에 관한 생태경제모임이 2022년 5월 23일(월) 오전10시 온라인 ZOOM을 통해 진행되었다. 6월 20일(월)로 예정된 다음 모임에서도 『피지털 커먼즈』 (갈무리, 2021)를 이어서 읽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참여 문의: 010.9칠44.칠칠56 디지털 배달노동 시스템 커먼즈 플랫폼
다람쥐회 대안경제모임_『세계사의 구조』 3회(online) 생태적지혜2022년 2월 13일조회 685 가라타니 고진 『세계사의 구조』(2012, b)에 관한 대안경제모임이 2022년 1월 12일(수) 오후6시 온라인 ZOOM을 통해 진행되었다. 2022년 2월 28일(월)로 예정된 다음 모임에서도 『세계사의 구조』(2012, b)를 이어서 읽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참여 문의: 010.9칠44.칠칠56 공동체 보편종교 자본주의 종교 커먼즈
기후 위기에 맞서는 적극적인 제안 – 『디그로쓰』 읽기 주호2021년 12월 25일조회 1.2K 경제 성장만을 추구하는 현재 시스템의 한계가 팬데믹의 모순 아래 더욱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는 지금, 성장중심주의에서 벗어나 새로운 세계를 구축하기 위한 실천 사례들을 살펴보고 행동의 방향을 제시하는 책. 기후위기 디그로쓰 커머닝 커먼즈 탈성장
경계면의 흐릿함, 가장자리효과와 생태계 故신승철2021년 12월 17일조회 3.1K 생명, 사물, 인간 간에는 명확한 경계가 있는 것이 아니라, 그 가장자리에 존재하는 무수한 영역들이 있다. 경계를 분명히 하는 과학적 시선에서 보자면, 경계의 모호함, 중간현실, 혼합현실이 인간사에 늘 붙어 다닌다는 것은 치명적이다. 이 모호한 지점을 해석학자 가다머는 간주관성(Inter-subjectivity)이라고, 들뢰즈와 가타리는 사이주체성이라고, 전남대 김상봉 교수는 서로주체성이라고 불렀다. 그러한 모호하고 흐릿한 지점들을 없애기 위해서 합리적인 사유방식이나 과학기술의 객관적 진리론은 노력해 왔지만, 삶을 살다보면 우리는 '이것일 수도 저것일 수도 있는' 모호한 지점과 더 자주 조우한다. 가장자리 사이주체성 생태계 채색법 커먼즈
탈성장 전환에서의 토지개혁과 토지공유제 故신승철2021년 12월 2일조회 1.5K 탈성장 전환사회를 위해서는 농업 중심의 사회로의 이행과 수많은 농가치를 실현하는 사람들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유명무실화 되어가고 있는 경자유전 원칙을 넘어 토지공유제라는 획기적인 정책으로 이행을 논의하기 시작해야 한다. 전환사회 정동 자본주의 커먼즈 탈성장 토지공유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