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생태모임(online) 생태적지혜2021년 10월 12일조회 654 『래디컬 헬프』(2020, 착한책가게)와 『다른 세상을 위한 7가지 대안』(착한책가게, 2018)에 관한 마음생태모임이 2021년 9월 30일(화) 오전10시 온라인 ZOOM을 통해 진행되었다. 10월 21일(목)로 예정된 다음 모임에서는 『다른 세상을 위한 7가지 대안』(2018, 착한책가게) 나머지 부분을 읽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참여 문의: 010.9칠44.칠칠56 관계 부엔비비르 비효율성 커먼즈 활력
커먼즈의 시대, 무소유에 대한 성찰 유정길2021년 9월 17일조회 1.1K 소유한다는 것은 사회가 만든 관념적 합의일 뿐이며 모든 욕망의 시작이 된다. 모두가 공유하는 커먼즈를 통해 오늘날의 배타적 소유에 대해 돌아보며, 본래 내 것이란 존재하지 않는 무소유의 풍요로운 삶에 대해 성찰해 보고자 한다. 공유 무소유 소유의 허상 욕망 커먼즈
커먼즈를 지키기 위한 기독교적 반란 -『마그나카르타 선언』을 읽고 김희룡2021년 3월 10일조회 1.8K 자기의 소유로 된 토지라 하더라도 빈틈없는 자기만의 것은 아니라는 것, 자신의 토지 안에서 남과 함께 사용해야 하는 공통재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 상생의 삶을 실천하는 것이야말로 구약성경의 전통에서 말하는 인간과 삶의 거룩함을 실현하는 길이다. 이러한 신앙에 기반하여 공유지를 빈틈없이 사유화하려는 종획운동에 맞선 반란은 예나 지금이나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 다람쥐회 경제학습모임 마그나카르타선언 영등포산업선교회 종교 커먼즈
우리를 가두는 우리를 허물고, 우리된 삶을 가능하게 하는, 우리의 복원을 상상하다 이유진2021년 2월 10일조회 1.4K 사람들은 오랫동안 인권과 재산권이 확립되기를 바래왔다. 〈마그나카르타〉는 그러한 바람의 근거가 되어주었다. 〈삼림헌장〉은 〈마그나카르타〉와 함께 만들어졌는데 거기에는 13세기 잉글랜드 사람들이 기본적인 삶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것을 숲, 즉 공유지, 혹은 공통재에서 얻는 것이 보장되어 있었다. 인권과 재산권은 자본주의의 전개와 함께하면서, 때로는 침해되었지만, 점차 신장되어왔다. 그것들은 사적 소유와 유기적으로 결합되기도 하였다. 반면 기본적인 삶의 보장은 인권과 재산권의 산장과는 양상을 달리하였다. 틈 날 때마다 무시되었다. 그럼에도 공유지에 기댄 살림의 기억에는 쉽사리 지워지지 않은 듯하며, 오늘도 세계 어디에선가는 그곳이 공유지인지 모르면서도 거기에 꽤 잘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다. 마그나카르타선언 삼림헌장 에스토버스 인클로저 커먼즈 관련글 불완전성과 살아가는 방식을 보여준 세계 – 『마그나카르타 선언』을 읽고②
다람쥐회 대안경제공부모임 – 『마그나카르타선언』(online) 생태적지혜2021년 2월 9일조회 933 피터 라인보우의 『마그나카르타선언』(2012, 갈무리)에 관한 대안경제모임이 2021년 1월 29일(금) 오후7시 온라인 ZOOM을 통해 진행되었다. 2월 23일(화)로 예정된 다음 모임에서는 『헨리 조지와 지대개혁』(2018, 경북대학교출판부)을 읽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참여 문의: 010.9칠44.칠칠56 마그나카르타선언 마녀사냥 생태적지혜 종획운동 커먼즈
커먼즈가 성공하려면 이나미2021년 1월 10일조회 4.2K 몇 년 전부터 한국사회에 커먼즈(commons) 개념이 회자되면서 곳곳에서 공유운동과 관련한 다양한 실험과 실천들이 벌어지고 있다. 서울 지역의 커먼즈 사례들을 살펴보고, 커먼즈가 성공하려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점검해본다. 공동체 공유 마을운동 민주주의 커먼즈
『플랫폼 자본주의』를 읽고 (닉 서르닉 저, 킹콩북 2020) 홍승하2020년 9월 25일조회 3.0K 공유경제, 긱경제, 4차 산업 혁명, 기술경제는 서로 어떤 연관을 갖고 있나? 빅데이터가 생산수단이 되고, 실물생산에도 전부 관여하는 플랫폼의 역할은 어디까지 확장되어질까? 직장의 형태가 바뀌고, 상품과 서비스가 혼재되어 있고, 노동의 외주화는 더욱 가속화되는 지금의 플랫폼 자본주의에서 노동기본권은 어떻게 찾을 수 있나? 4차 산업혁명 노동 대안경제 커먼즈 플랫폼 자본주의
[솔방울커먼즈 시리즈] ③도시계획과정에서 참여와 커먼즈: 송현주민 되기 솔방울커먼즈-최희진2020년 8월 25일조회 2.7K 송현동 부지에 대한 커먼즈화 구상을 소개하는 [솔방울커먼즈 시리즈]의 세 번째 글이다. 송현동 부지를 둘러싼 도시계획과정의 틈새를 찾아보고 “주민 됨”을 수행하는 솔방울커먼즈의 활동에 주목한다. 더 나아가 송현동 공간에 작동하는 불균등한 힘의 얽힘을 드러내고, 다양한 연대를 통해 공동의 것(commons)을 위한 상향식 도시계획 모델을 구상해 볼 것을 제안한다. 도시계획 솔방울커먼즈 송현동 참여계획 커먼즈 관련글 [솔방울커먼즈 시리즈] ①도시의 땅을 딛고 사유하기, 그리고 커먼즈를 만들어가기 [솔방울커먼즈 시리즈] ②소유 절대주의 도시를 넘어서: 송현동 숲공원은 어떻게 만들어지게 될까?
[솔방울커먼즈 시리즈] ②소유 절대주의 도시를 넘어서: 송현동 숲공원은 어떻게 만들어지게 될까? 솔방울커먼즈-안새롬2020년 6월 10일조회 3.3K 송현동 숲공원화는 절대적 소유권 모델의 유지·재생산 측면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송현동은 소유에 대한 권리와 제도를 어떻게 재구성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송현동 한진그룹 소유지에 대한 커먼즈화 구상을 소개하는 [솔방울커먼즈 시리즈] 총 4회 중 이번이 두 번째 글이다. 공원 도시 소유 절대주의 솔방울커먼즈 송현동 커먼즈 관련글 [솔방울커먼즈 시리즈] ①도시의 땅을 딛고 사유하기, 그리고 커먼즈를 만들어가기 [솔방울커먼즈 시리즈] ③도시계획과정에서 참여와 커먼즈: 송현주민 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