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대의 정신으로 야생의 사고하기 -​ 해림 한정선 그림 읽기

해림 한정선 작가의 그림은 ‘야생성’을 화두로 한다. ‘늑대의 화가’로 알려져 있는 작가는, 현대인이 가축화 되었다고 진단한다. 학교, 병원, 군대, 감옥, 회사 등 권력에 의해 제도화된 기관들은 규범과 규율을 통해 현대인들의 신체는 물론 생각, 행동, 장래의 계획조차도 길들이고 만들어 낸다. 소비사회에 철저히 길들여져 있고 양적 관계과잉 강박증에 시달리는 현대인의 일상은 풍요롭기보다는 오히려 빈곤하고, 초라하고, 구차하고, 비루하다. ‘슬픈 눈으로 냉엄하게 세상을 응시’하는 작가의 작품세계를 들여다보자.

1935년의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 탈성장 담론의 실마리를 보여주다 ; 버트런드 러셀 「게으름에 대한 찬양」 독후기

버트런드 러셀의 수필 「게으름에 대한 찬양」은 문자 그대로 게으름에 대한 찬양이기도 하지만, 여가의 중요성을 힘주어 말하는 글이기도 하다. 이 수필에서 러셀은 노동의 신성함이라는 거짓 이야기가 노동을 노예적인 것으로 만들어서 유지시켜왔으며, 그 거짓을 유포해서 이득을 본 사람들의 의식마저도 병들게 하였다고 보았다.

학교에서 탈성장을 가르칠 수 있을까?

근대사회에서 교육은 무엇을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와 같은 교육의 방향이나 내용에 대해서는 무관심했다. 공교육은 성장주의의 토대로 학교는 경쟁의 장으로 기능해왔다. 근대교육은 자본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교육은 기존 질서의 적응과 새로운 질서에 대한 가능성이라는 두 가지 속성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문명으로의 가능성이 교육에서부터 시작될 수 있다.

새롭지 않고 새롭지 않은 것도 아닌 플랫폼 자본주의

이 글은 닉 서르닉의 『플랫폼 자본주의』를 읽고 발제한 글이다. 플랫폼 산업은 우리의 삶에 깊이 침투해있다. 저자에 의하면 이들은 새로운 산업인 듯 보이지만 자본주의의 기본적 속성에서 벗어나 있는 것은 아니다. 저자는 플랫폼 산업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대안을 제시한다.

가속주의와 탈자본주의

가속주의는 편협한 상상력으로 일관하며 스스로의 모순 이상의 문제들을 만들어낸 자본주의에 대한 문제제기로부터 출발하여, 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동력을 자본주의 안에서 추출해내며 그 동력들의 변화 양상을 포착하고 그를 위한 새로운 계급의 역할을 강조한다. 그러면서 가속주의를 실행하는 동력학적 요소들과 작동형태를 짚어낸다.

맨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