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용・성찰・소수자 됨과 우분투 – 기후 위기 속에서 『삼국유사』 「감통」 ‘선도산 성모가 불사를 좋아하다’ 읽어보기

서정주가 그의 시 「꽃밭의 독백 - 사소 단장」의 소재로 삼기도 하였던 『삼국유사』 「감통」 ‘선도산 성모가 불사를 좋아하다’를 읽을 때, 사람들은 대개 선도산 성모에 집중하게 된다. 그런데 그 이야기 속에는 지혜라는 비구니도 등장할 뿐만 아니라 이야기의 앞부분을 장식하고 있다. 그는 어떤 행적을 남겼길래 그 글 속 그 위치에 자리하게 된 걸까?

아득함을 견디게 하는 이야기의 힘 -기후 위기 속에서 『삼국유사』 「신주」 ‘혜통이 용을 항복시키다’ 읽어보기

종교에 신통력을 발휘하는 만능 해결사가 끼어있는 것은, 분명 위험하지만, 피하기 어려운 듯하다. 『삼국유사』 「신주」편에는 세 명의 만능 해결사가 등장한다. 이 글에서는 그 가운데 한 명인 혜통의 이야기를 살펴보고, 여러 문제가 끼어있음에도, 혜통의 이야기와 같은 종류의 이야기를 기후 위기 시대에 가져다 놓는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지에 관하여서도 논하여 본다.

이런저런 휴머니즘 시대의 참회 – 기후 위기 속에서 『삼국유사』 「의해」 〈진표가 간자를 전하다〉 읽어보기

포스트휴머니즘과 트랜스휴머니즘은 존재를 끊임없이 재정의한다. AI를 사람과 대등한 존재로 자리매김하기도 하며, 고통이 제거된 사람을 만들려고 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즘들 앞에 불교의 참회를 놓아보면, 이즘들은 참회를 존재의 재정의에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듯하다. 그렇듯 끊임없이 재정의되면서 상호교섭하는 존재들은 기후 위기의 당사자이며 가해자이며 희생자이며 수혜자일 것이고, 속된 말로 호구이기도 할 것이다.

불교적 이상을 향하여 나아간 진흥왕의 탄소발자국 – 기후위기 속에서 『삼국유사』 「탑상」 ‘황룡사의 장륙존상’ 읽어보기

『삼국유사』 「탑상」 편에는 삼국시대의 탑과 불상들이 모두 불교적 이상을 현실 세계에 구현하고자 하는 열망의 결정체라고 적혀있다. 그런데 그 글을 읽다 보면 글 속의 탑과 불상 그리고 절들에 탄소발자국이 아주 어지럽게 잔뜩 찍혀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결코, 불교적 이상은 함부로 조롱할 수 없다. 그렇지만 거기에 탄소발자국이 찍혀있다면 그 또한 확인하고 인정한 이후에야 더 확고하게 그 이상을 추구하든지 말든지 할 수 있을 것이다.

자기 식민화에 대한 뼈아픈 후회 너머 – 기후 위기 속에서 『삼국유사』 「흥법」 ‘순도조려’ 읽어보기

새로운 것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이미 내 안에 있던 것을 일부라도 허물어 밖으로 내보내야 가능할 듯하다. 그 과정은 즐거울 것 같지만, 조금은 서글플 수도 있고, 무엇보다도 그 과정에서는 무엇인가를 ‘여분의 것들’, 더 이상은 쓸모가 없게 된 것들‘ 달리 말하자면 ‘쓰레기’로 낙인찍어야 하는 것 같다. 이 쓰레기는 어떤 쓰레기보다도 크고 넓지만, 발생을 피할 수 없어 보인다. 이 쓰레기를 어찌할 것인가?

샤머니즘 리부트, 가능할까? 괜찮을까? – 기후위기 속에서 『삼국유사』 「기이」 ‘왕검조선[고조선]’ 읽어보기

리부트[reboot]. 쭉 해오던 행위를 새삼스럽게 다시 시작하는 것을 말한다고 할 수 있겠다. 리부트는 이미 시효를 상실한 것으로 치부되고 있는 것을 재생시키기도 한다. 그렇다면 샤머니즘도 리부트될 수 있을까? 왠지 까딱 잘못하면 엄청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을 듯한, 샤머니즘 리부트를 생각해 본다.

이전과는 조금 다르게 자리매김되어야 할 듯한 홍익인간과 재세이화 – 기후 위기 속에서 『삼국유사』 「기이」 ‘서왈’・‘단군조선’ 읽어보기

언제부터인가 홍익인간과 재세이화는 꽤 많은 한국 사람들의 의식 속에 대한민국의 교육 이념으로 자리잡았으며, 미래 사회에서도 지향할만한 가치로 남아있을 듯하다. 그러나, 기후 환경 위기를 거치면서, 이 가치들은 그 위기 이전과는 조금 다르게 자리매김 되어야 할 듯도 하다.

결국은 사랑하기 – 한병철 『리추얼의 종말』 독후기

“없는 집에 제사 돌아오듯 한다”라는 말이 있다. 시간을 아주아주 많이 거슬러 올라가면, 의례 즉 리추얼이 일상에서 대단히 중요한 것이었던 때가 있었지만, 그때도 그것은 돈이 많이 드는 부담스런 의무였다. 이런 부담때문에라도, 리추얼은 점차 소멸되는 중이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리추얼의 종말』은 리추얼을 지금의 세계의 핵심의 대척점에 놓았다.

나눔의 원칙과 방도 그리고 실마리를 찾다 -기후 위기 속에서 『예기』 「곡례」 상·하 읽기

인간관계를 원만히 하기 위해서 행위와 언어사용 방식에 관한 약속을 정할 때, 모든 사람이 그 약속을 기꺼이 지키는 것을 기대할 수는 없다. 그 약속이 자신의 이익과 무관하거나 이익을 침해한다고 느끼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고, 약속을 지키기 어려워하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면서도 사람들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자기의 일상을 어느 정도는 그 약속에 맞추어 꾸려나가고 있기 마련이다. 예(禮)는 이러한 약속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예기』 「곡례」 상·하는 이러한 예를 나눔과 동일시하는 설명체계로 재구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문서이며, 그런 만큼 갈등의 중심에 놓일 수 있는 문서이다.

왕들의 마음 씀이 중요했던 시절을 들여다보기 – 기후 위기 속에서 『서경집전』 「우서」 읽기

중국 역사 속 요・순시대 왕들의 마음 씀은, 역사의 맥락에서 떼어놓고 보면 간결하고 매력적인 개념들로 보여서 지금까지도 인구(人口)에 회자(膾炙)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그것들을 살펴보는 일은, 그 마음 씀 가운데 몇몇이 지금의 기후 위기 시대에 요청되는 정동일 수 있다는 기대 때문에, 중요한 일일 수 있다. 알고 보면 요・순시대도 기후 위기 시대였으니, 그 시대는 지금의 우리가 가장 먼저 돌아보아야 할 시대일 수도 있다.

맨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