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판 미소지니’의 무속신화 -〈광청아기 이야기〉를 읽고 이유진2023년 11월 3일조회 693 이 글은, 한국의 옛 이야기 광청아기 이야기를 읽으며, 그 속에서 탈성장·저성장 시대가 요청하는 대안적 공동체를 지탱하여줄 수 있는 행동방식·가치·규범을 찾아보려 한 작업의 결과 내지는 잔여물이다. 광청아기 이야기에서 자기객관화를 주저하고 있는 나를 발견하게 되었다. 무속 섬신화 자기객관화 제주도 조선시대
“당신이 찾고 있는 게 이거 아니었어요, 이러려고 그러는 것 아니었어요?” – 『문을 열고 나오면, 마을』을 읽고 이무열2023년 10월 26일조회 867 생태적지혜연구소 웹진 ‘만화리 통신’의 이야기들이 엮어진 『문을 열고 나오면, 마을』을 읽고 만난 평범한 일상 속 마법과 같은 마을살이의 따듯함과 여유로운 감각을 나눕니다. 마을살이 만화리통신 생태적인 삶 오래된 미래 지역의 발명
[듣기의 윤리] ➂ ‘떠도는 말’을 따라 – 응답하기 보배2023년 10월 26일조회 1.0K 불투명한 주체의 말에 적극적으로 경청하기 – 타자에게 질문을 멈추지 않음으로써 불공정한 사회에 도덕적 책임을 지고, 우정과 연대로 나아갈 것을 제안한다. 데리다 듣기의 윤리 버틀러 정의 환대 관련글 [듣기의 윤리] ① 너도 말하라 [듣기의 윤리] ② 그림자를 드리운 말
자각이 필요한 이유 – 『시간과 물에 대하여』를 읽고 이환성2023년 10월 26일조회 795 환경 재난이 임박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인들은 지구 온난화나 지구 위기 등의 단어에 무감각하다. 또한 사람들은 신문과 책을 통하여 세상을 이해하고 있다고 믿으며 지구온난화 같은 단어들은 대수롭지 않게 들어 넘기면서 훨씬 사소한 단어들에는 쉽게 발끈한다. 즉 온난화, 해수면 상승 산성화 같은 단어들은 침략, 화재, 중독과 달리 의미 있는 반응을 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교육 기후변화 빙하 협력 환경위기
거북이와 남생이 이야기에서 반복의 힘을 찾다 이유진2023년 10월 18일조회 882 이 글은, 한국의 옛이야기를 통해 그 속에서 탈성장·저성장 시대가 요청하는 대안적 공동체를 지탱하여줄 수 있는 행동방식·가치·규범을 찾아보려는 시도이다. 한국의 옛이야기 속에는, 옛 맥락 속에서 떼어내서, 새삼스럽게 자리매김하여, 지금 여기에 재맥락화해 볼 만한 것이 없지 않을 것이다. 그런 것이 있을 수 있는데도 그냥 흘려보내는 것은 문화자원의 낭비가 될 듯하여, 짐짓 옛이야기를 읽고 글을 써본다. 도움 믿음 반복 살림 희망
만족을 모르는 자본을 넘어 새로운 번영으로 – 『포스트 성장 시대는 이렇게 온다』를 읽고 박기헌2023년 10월 11일조회 980 팀 잭슨은 책을 통해 주류 경제학의 한계를 넘어 경제와 번영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주장한다. 성장보다는 인간 번영을 우선시하며 GDP와 같은 양적 지표보다 지표화 할 수 없는 행복, 생태, 가사, 돌봄 등을 고려해야 한다. 권력자들은 변화를 원치 않지만, 현재 시스템의 변화가 필요하다. 정상상태, 엔트로피, 은유와 스토리텔링 등 새로운 경제학을 뒷받침하는 다양한 주제를 전개한다. GDP 경제학 독후감 진화론 탈성장
〈강림도령 이야기〉에서 경청·개벽·상생을 찾다 이유진2023년 10월 3일조회 1.8K 이 글은, 한국의 옛이야기를 하나 읽으며, 그 속에서 탈성장·저성장 시대가 요청하는 대안적 공동체를 지탱하여줄 수 있는 행동방식·가치·규범을 찾아보는 시도를 정리하는 것이다. 한국의 옛이야기 속에는, 옛 맥락 속에서 떼어내서, 새삼스럽게 자리매김하여, 지금 여기에 재맥락화해 볼 만한 것이 없지 않을 것이다. 그런 것이 있을 수 있는데도 그냥 흘려보내는 것은 문화자원의 낭비가 될 듯하여, 짐짓 옛이야기를 읽고 글을 써본다. 갈아엎음 개벽 경청 살림 상생
구원을 향한 비행, 세계를 ‘새’롭게 만들자 -『새들에 관한 짧은 철학』을 읽고 이환성2023년 9월 26일조회 606 인간은 지금 갈림길에 서 있다. 우리는 생존의 갈림길에 서 있음에도 그 사실을 직시하려 하지 않는다. 현재의 모든 환경 문제를 미래의 과학이 해결해 줄지도 모른다는 무책임한 과학 맹신주의에 현혹되어 있다. 우리는 새들로부터 삶의 지혜를 배워 지구생태계와 문명을 살리는 행동을 개시해야 한다. 지구생태계
제주도 굿의 ‘삼공본풀이’에서 발견한 대안적 공동체 이유진2023년 9월 18일조회 1.0K 지금 여기에서 우리는 자본주의 작동기제로부터 벗어날 수 없는 삶을 살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을 품곤 한다. 그럼에도 때로 자본주의 자체가 허약함을 드러내기도 한다. 그럴 때 우리는 일상에서부터 많은 틈을 보게 된다. 틈은 자본주의 작동기제를 벗어나 자유의지를 발휘할 수 있는 조건이 되어 줄 수 있다. 제주도 굿의 ‘삼공본풀이’에서 그런 틈을 포착할 수 있는 여유의 바탕을 찾아본다. 무속 삼공본풀이 일상 제주 틈
저부터 먼저 탈성장하겠습니다 두더지2023년 9월 3일조회 809 세계 각국 정부는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탄소배출을 급격하게 줄이겠다고 약속하면서 동시에 탄소배출 산업에 막대한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탄소배출이 실질적으로 감축되는 시점은 무한하게 지연되고 있다. 그 속에서 한 개인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할 것인가? 특히 물질조건과 행복을 동조화하는 수 많은 개인들이 어떻게 탈성장을 선택할 것인가? 그레타툰베리 기후위기 영성 탈성장 탈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