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 살림은 곧 아이 살림이자 하늘 살림이다 김용휘2022년 7월 26일조회 144 『중용』에 “천지의 화육을 돕고 천지와 더불어 셋이 된다”고 했다. 인간은 하늘과 땅 사이에서 이 둘이 잘 순환하도록 매개하는 존재이다. 기후위기의 시대, 인간의 역할이 더 중요하다. 수운 선생의 ‘다시개벽’이란 결국 천지 사이에서 천지를 매개하고 돌보고 살리는 인간의 창조적 주체성에 대한 자각이라고 생각한다. 기후소송단 기후위기 미래세대 방정환 어린이
생태경제모임_『성장을 넘어서』 1회(online) 생태적지혜2021년 7월 25일조회 246 『성장을 넘어서』(2016, ㈜열린책들)에 관한 생태경제모임이 2021년 7월 12일(월) 오전10시 온라인 ZOOM을 통해 진행되었다. 8월 16일(월)로 예정된 다음 모임에서도 『성장을 넘어서』를 이어서 읽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참여 문의: 010.9칠44.칠칠56 기술발전 농업 미래세대 지대 탈성장
10-30대 세대들이여 반란하라 -세대간 대립은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유정길2021년 7월 11일조회 504 기성세대는 현재 기후위기를 초래한 책임자들이다. 반면 30대 이하의 젊은 세대들은 앞 세대들이 버린 엄청난 쓰레기와 오염된 지구를 치우면서 살아야 하는 공포의 운명을 갖고 태어난 세대가 되었다. 586 기성세대 기후위기 미래세대 세대론
사회적 응집도와 미래세대 한영미2021년 7월 2일조회 498 때는 바야흐로 춘추기후시대다. 생태적 감수성과 환경 마인드 장착이 국룰인 세상이 되었다. 안데스산맥 지역의 케추아족 원주민들이 애용한다는 용어 ‘수막 카우사이’ 정신과 같이 다양성 속에서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좋은 삶의 길이 우리의 미래세대들에게도 인디언 춤을 추고 뛰어 노는 상상이 현실이 될 수 있을까? 기후위기 미래세대 영등포청소년문화의집 워칼리스 청소년기후활동단
『지속 가능한 미래』를 읽고 (21세기북스, 2017 김우창 외 저) 이환성2020년 9월 25일조회 905 우리가 자초한 것으로 인하여 지구촌 모두가 고통속에 살아가고 있다. 과연 우리가 추구한 문명이라는 것은 미래에도 존속할 수 있을 것인가 의문이다. 미래는 자연스럽게 도래하는 것이 아니라는 우리가 만들어가야 하는 것임을 알아보는 소중한 책을 소개한다. 기후위기 미래세대 생태적 사고 인류세 지속 가능성
공동체연구모임 -제프리 삭스의 『지속가능한 발전의 시대』 두 번째 시간 생태적지혜2019년 6월 10일조회 1.2K 제프리 삭스의 『지속가능한 발전의 시대』(2015, ㈜21세기 북스)에 관한 공동체연구모임 두 번째 세미나가 2019년 5월 27일(월) 저녁 7시 문래동 ‘철학공방 별난’에서 진행되었다. 다음 달 이 모임은 6월 17일(월) 『탈성장 개념어 사전』(그물코, 2018)을 읽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참여 문의: 010.9칠44.칠칠56 미래세대 삶의 전환 생태위기 지속가능한 발전 탈성장
공동체연구모임 – 제프리 삭스의 『지속가능한 발전의 시대』 생태적지혜2019년 4월 15일조회 1.5K 공동체연구모임에서는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이 성장주의가 갖고 있는 무한성장, 무한진보의 가능성에 대한 성찰로서의 지구와 자원의 유한성에 대한 긍정으로부터 시작한다는 점에서 사실상 탈성장 진영의 우회적 전략임을 명확히 하였다. 한 번도 성장의 모드에서 벗어나보지 못한 우리의 삶을 성찰하고, 탈성장사회를 탐색하면서 우리를 돌아보게 된 시간이었다. 미래세대 삶의 전환 생태위기 지속가능한 발전 탈성장
기후변화와 이미 도래한 미래 신승철2019년 3월 11일조회 1.6K 기후변화의 막대한 위기 앞에서 염려와 불안,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꿋꿋이 발언하고 행동하고 있는 미래 세대들의 등장은 인류사회의 미래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미래가 무심결에 다가오는 것이 아니라, 항의하고 저항하고 행동하는 미래 세대의 모습에서 현현하고 있음을 느끼게 되는 대목이다. 기후변화는 주어진 미래가 아니라, 바꾸어야 할 미래임이 분명하다. 기후변화 미래세대 주체성 생산 지구온난화 관련글 희망을 찾지 않는 생태적 감수성 : TED강연 by 그레타 툰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