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의 핵심 ‘그린프리미엄’ – 『How to avoid a climate disaster』를 읽고 홍순용2024년 6월 26일조회 1.1K 2021년 2월, 빌 게이츠의 『How to avoid a climate disaster』가 나오고 번역판을 기다릴 새 없이 원서를 주문하여 바로 읽어보았다. 이 책은 내게 2050년까지 전 세계 모든 분야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흐름이 주류가 될 것이라는 확신을 주었다. 그래서 MBA에서 ESG 전공을 하게 되고 졸업한 지금 시점에서, 다시 이 책을 읽어보며 오늘날 이러한 '지속가능성'을 위해 어떤 변화가 필요하고 또 그린프리미엄이 왜 중요한지 살펴보았다. 그린프리미엄 기후변화 기후위기 빌게이츠 탄소중립
투자의 관점에서 보는 자연 -『나는 자연에 투자한다』를 읽고 이환성2024년 6월 26일조회 385 저자는 만약 우리가 자연이 제공하는 것은 무료가 아니라 하나의 자본이라고 생각한다면 오히려 자연 생태계를 보호하는 데 유리하며, 또한 자연에 투자하면 다양한 이득이 있다고 믿게 되어 지금까지와는 달리 자연 생태계 보존을 위한 행동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 예측하며, 지금까지의 환경운동가들이 외치는 자연 생태계를 보호하는 방법에 커다란 전환으로 자연 자본이라는 개념을 제시하며, 기업과 연대하는 방안을 소개하고 있다. 기업 연대 자연 보호 자연 자본 지속가능성
작지만 중요한 것을 속삭이기 – 〈자청비와 문도령(세경본풀이)〉 독후기 이유진2024년 6월 26일조회 676 중요한 것을 이야기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이다. 예컨대, 반복을 한다든가, 크게 외친다든가 하는 방식들이 중요한 것을 이야기하는 흔한 방식이다. 그렇지만 속삭임을 통하여 중요한 것이 전하여지고 보존되는 경우가 있다는 것 또한 이야기꾼들은 알고 있을 것 같다. 옛 이야기를 읽으며 그러한 속삭임을 찾아본다. 속삭임 신화 여성 자청비 종자
[회색지대의 정치학] ③ 적대 없는 협력, 협력 없는 적대 현우식2024년 6월 18일조회 890 회색지대의 정치학은 한국의 진보·좌파 진영에 의해 제기되어 온 두 가지 헤게모니 프로젝트(hegemony project)가 시민사회의 다양한 민주적 요구를 대표하는 데 실패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두 프로젝트에 의해 가려진 회색지대의 영역을 드러내고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라클라우 정당 정치 헤게모니 회색지대 관련글 [회색지대의 정치학] ① 제3지대가 아니라 회색지대를 구축하자 [회색지대의 정치학] ➁ 포퓰리즘이라는 관점
[쿵덩야 일지] ⑩ 플로랄폼이 되는 꿈 김이중2024년 6월 18일조회 437 쿵덩야라는 이름의 보도블록을 매일 만나서 닦고 있습니다. 그 과정을 일지로 기록합니다. 공공성 관계 묘행 사물 실존 관련글 [쿵덩야 일지] ⑦ 나의 장난꾸러기 신 [쿵덩야 일지] ⑧ 빠름을 가장 느린 방식으로 향유하기 [쿵덩야 일지] ⑨ 살과 피가 흐르는 보도블록
부끄러움을 아는 미성숙의 신 –〈칠성풀이〉 신화 독후기 이유진2024년 6월 18일조회 527 지금은 많이 잊혀졌지만, 한국 사람이라면 한번쯤 들어보았을 만한 신격인 칠성님, 알게 모르게 지금의 한국인에게도 영향을 주었을지 모르는 이 신격에 관한 이야기를 읽어보고, 지금 여기의 현실 속에서 재해석할 점을 찾아보았다. 미성숙 부끄러움 전통신앙 체면 칠성신앙
[스피노자의 사랑] ⑦ 사랑이 시작됐다, 새로운 세계가 열렸다 故신승철2024년 6월 18일조회 454 철학자 스피노자, 문인 카프카는 절절하게 사랑을 바치는 여성이 있었음에도 결혼이라는 제도 속에서 자유를 속박당할 것이 두려워 결혼을 포기했습니다. 그러나 저는 사랑은 우리에게 자유를 준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또한 일상을 영원한 시간으로 만드는 힘 또한 사랑에 있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결혼 사랑 스피노자 자유 제도 관련글 [스피노자의 사랑] ④ 우리 안에 내재한 놀라운 능력 [스피노자의 사랑] ⑤ 사랑이 만들어내는 놀라운 그림 [스피노자의 사랑] ⑥ 사랑이 세상을 재창조한다
지속가능한 삶 없이는 지속가능한 발전도 없다. 홍순용2024년 6월 11일조회 3.5K 우리의 생활 방식을 검토하는 것은 단순히 소비를 줄이고 낭비를 해결하는 게 아닌, 우리의 관행이 사회와 지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데서 출발한다. 지속가능한 삶을 사는 것은 현재와 미래의 모든 사람의 복지에 매우 중요하기에 이에 대해 살펴보자. 생활방식 소비주의 지속가능성 지속가능한발전 탄소저감
먹어야 사는 존재라는 것 조윤지2024년 6월 11일조회 543 먹어야 사는 존재라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모든 생명체는 먹는 행위를 통해 삶을 유지하지만 유독 현대인의 식탁만은 삶을 유지하기 위한 살림의 음식 대신 죽임의 음식으로 가득 차 있다. 그 결과, 우리의 식탁이 지구를 갉아먹는 원인이 되고 말았다. 우리는 먹을거리 혁명을 통해 먹는 행위가 삶을 지속하게 해줄 수 있도록 되돌려야 할 것이다. 돌봄 살림 생태 음식 탈소비
[보성댁 이야기] ㉒ 가시내가 매갑시 사람을 퉁을 주네 최은숙2024년 6월 11일조회 397 의료용 침대가 도착하는 날 건강보험공단 직원이 요양등급심사를 위해 방문한다. 찾아온 자식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공단 지원과 보성댁의 질의 응답이 이어지고 결과를 기다리는 중 추석이 다가온다. 추석이 다가오자 보성댁은 미자에게 식혜를 담아 달라 부탁하지만 어머니를 간병하며 무릎에 무리가 와 몸이 불편해진 미자는 거절을 하고 병원에 가서 퇴행성 관절염이라 진단을 받는다. 간병 노인 노화 딸 요양등급심사 관련글 [보성댁 이야기] ⑲ 그래도 병수발은 딸이 하는 게 안 낫소? [보성댁 이야기] ⑳ 아들의 일, 딸의 일 [보성댁 이야기] ㉑ “나 혼자 일어나 볼란다. 나또 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