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울산바위 케이블카는 기후위기 생물다양성에 역행하는 행위new 한주영2022년 5월 11일조회 132 지난 4월 18일 대한불교조계종 금강산 화암사가 고성군과 더불어 설악산 성인대(신선대)를 연결하는 ‘고성 울산바위 케이블카’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만일 이곳에 케이블카가 설치된다면 수 십 년간 막아내고 있는 설악산 〈오색케이블카〉사업과 〈백담사 케이블카〉사업을 촉발하는 계기가 될 것이고, 현재 무등산과 지리산, 월출산 등 전국의 명산에 케이블카 건설의 물꼬를 트게 하여 결국 온 국토의 난개발을 촉발하게 될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에 대한 불교환경연대의 분명한 입장을 밝히고, 불교공동체가 지켜야 할 가치와 전통에 대해 짚어 보았다. 난개발 불교환경연대 생물다양성 지속가능성 케이블카
비열한 인간이 되지는 말자 – 『인간 존재의 의미』를 읽고 이환성2022년 4월 10일조회 169 과학이 발전하면서 인간 존재의 의미를 잃어가는 현대인들에게 사회 생물학자인 에드워드 윌슨이 전하는 이야기를 읽어보았다. 인간 인공지능 존재 지속가능성 진화
기후 변화에 국내 축산이 미치는 영향과 공동체가 고민해야 할 과제들 박종무2022년 3월 3일조회 496 기후위기는 갈수록 심화되고 있고 그 위기에 축산이 일정부분 기여하고 있다. 축산은 개별적이고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 국내 정치상황 뿐만 아니라 세계정치경제 상황과 연관된 문제이다. 따라서 그러한 관계들을 고려하여 국내축산이 장기적으로 나아갈 바를 고민하여야 한다. 공장식축산 기후위기 농업 온실가스 지속가능성
기후위기의 시대, 동물들은 어떻게 될까? 박종무2021년 10월 17일조회 467 인류가 일으킨 기후위기로 인해 수많은 동물이 위기 상황에 내몰리고 있다. 이러한 위기 상황은 우리 눈에 보이는 동물뿐만 아니라 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우리는 생태계에 영향을 끼치는 인간의 행위를 경계해야 한다. 공생명 공장식축산 기후위기 생명 지속가능성
육식은 메탄을 발생시키고 연민의 대척점에 선다 ; 영화 《카우스피라시》 관람후기 이유진2021년 9월 17일조회 328 공업화에 수반되는 환경오염은 기후 위기의 원인 가운데 하나다. 그에 못지 않게 육식도 기후 위기의 원인 가운데 하나다. 공장형 목장, 방목장, 가사농장이 모두 열대우림을 밀어버리고 그 자리에 재배한 유전자 조작 옥수수나 콩으로 만든 사료, 공유지의 목초지화, 메탄의 발생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육식을 하고자 하는 사람은 직간접으로 살생을 피할 수 없다. 공장식 축산 메탄 연민 육식 지속가능성
웃고 즐기며 해양을 오염시키는 동안 노예제는 계속되고 있었다는 이야기 ; 영화 《씨스피라시》 관람후기 이유진2021년 8월 17일조회 532 이 다큐멘터리는 알리 타브리지가 아름답고 생명력 넘치는 바다를 기록하는 해양 다큐 작가가 되려다가 알게 된 각종 해양 오염의 실태와 해상에서 벌어지는 노예노동을 영화로 만든 것이다. 이 다큐가 보여주는 해양 오염 실태는 편파적이며 과장되었다는 지적들과 함께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그러나 고깃배에서의 노예노동은, 적어도 남한 사람들에게는 논란의 여지가 없을 듯하다. 나는 다큐 속 태국 고깃배의 노예노동을 보며 즉각적으로 멍텅구리배에서의 새우잡이, 멸치잡이 그리고 염전노예를 떠올렸다. 이 다큐는 다양한 해양 오염과 해양 생물 학살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대서양에서 18세기에 성행했던 해적질과 노예매매가 아직도 변형된 형태로 이어져 오고 있다는 걸 보여주기도 한다. 노예노동 다큐멘터리 지속가능성 플라스틱 해양오염
RE100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과 가볍게 생각하는 것들에 관하여 박숙현2021년 5월 10일조회 838 RE100은 기업이 자신이 사용하는 에너지를 100% 재생에너지로만 공급하겠다는 약속이다. 그러나 이것이 재생에너지의 확대 정책으로만 귀결된다면 온실가스를 줄이기는 어려울 것이다. 재생에너지 확대뿐 아니라 에너지 수요를 줄이는 다양한 접근법들이 함께 실행될 필요가 있다. 기후위기 재생에너지 지속가능성 친환경 탄소중립
[불교기후행동] 기후위기시대, 예토(穢土)의 땅에서 정토(淨土)를 일군다 이해모2021년 5월 10일조회 528 코로나19는 성장주의에 중독된 채 살아가는 오늘날의 삶이 불교의 전도몽상임을 깨닫게 하는 역행보살이다. 부처님의 연기법을 통해 인간중심주의와 소비주의의 업식을 끊어내고 소박한 생태적 삶으로의 대전환을 일구어 내야 한다. 기후위기 생태적 삶 전환 종교 지속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