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치소의 하늘빛 모포 아래, 로맨스소설을 읽는 작은 일탈의 이야기. 규율로 둘러싸인 수감생활 속에서도, 아이러니한 방식으로 자유를 꿈꾸며 ‘법무’와 ‘무법’의 경계에서 ‘인간다움’의 의미를 묻는다.
이번에도 두 곡입니다. ‘나무가 된 사람들’이라는 곡은, 제주 제2공항 진입로 공사를 핑계로 베어진 비자림로 수천 그루의 삼나무를 애도하는 노래이고, 또 한 곡은 ‘성난 오름과 숨골의 노래’로, 제주제2공항 건설 예정지로 파괴될지 모르는 성산의 오름과 숨골에 대한 노래입니다.
생태적지혜연구소가 기획한 책 『기후 협치 – 지구 거주자들의 공생과 연대』(알렙, 2025)의 내용을 바탕으로, 대표저자가 독자들과 소통한 내용을 Q&A형식으로 총5회에 걸쳐 연재한다.
별 것 아닌 것 같아도, 입장 차를 인정한다는 것이 쉽지 않을 때가 있다. 인정 이전에 누군가의 입장을 파악한다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닐 경우가 많다. 만약 역사 읽기가 입장 파악과 인정의 훈련이 될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역사 공부는 가치있는 일이 될 듯하다.
오늘 하룻밤 자고 나면 올 거라는 내일은 자고 나니 오늘이 되어 버렸고, 기다리던 내일은 여전히 내일입니다. 우리는 언제 올지 모를 내일의 행복을 위해 오늘의 즐거움을 뒤로 미루며 사는 데 익숙합니다. 지금 나무는 곧 남김없이 떨궈 버릴 잎들을 곱게 물들이며 이별을 위한 축제를 열고 있습니다. 오늘을 경축하며 사는 나무 아래서 잠깐 숨을 골라 보는 여유를 가져보면 어떨까요.
일상 속 숨은 동물 착취를 돌아보고, 비건으로서 생명에 대한 책임을 확장해보려 합니다.
생명의 소중함을 자각하고 건강한 삶을 격려하는 시 한 편.
이 글은 스페인 국민이 자국의 투우, 사냥개 법을 알수록 법안에 개정 요구나 지지로 이어지는지 결과를 분석한다. 그리고 한국과 스페인 각각의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가설과 관련된 응답률을 살펴본다. 결론에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인식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